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한국노동조합총연맹과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등 양대 노총을 21일 연달아 방문했다.
조기대선 가능성이 커지는 상황에 계속된 '우클릭'으로 다소 멀어진 노동계와의 거리를 다시 좁히는 모습이다.
그는 민주노총과의 만남에서 '주4일 근무제' 도입 등에 대한 노동계 의견을 청취했다.
조승래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간담회가 끝난 직후 기자들과 만나 "이 대표는 주4일제로 전환함에 있어 혜택이 공공이나 공무원, 대기업에 집중되는 것이 아닌지, 임금 감소로 귀결되는 것이 아닌지에 대한 우려가 있다는 것에 대해 질문했다"고 전했다.
관련 뉴스
이어 "민노총 현장에 있던 분들은 주4일제가 노동자들에게 안정감을 준다는 것이 시범사업으로 확인됐다고 답했다"고 부연했다.
보다 앞서 한국노총을 방문한 이 대표는 '주52시간제 적용 예외' 논의에 대한 노동계의 반발을 의식한 듯 "어제(20일) 국회에서 진행된 여야정 국정협의외에서 '주52시간 적용 예외' 문제와 관련해 논쟁이 있었다”며 먼저 말을 꺼냈다.
그는 "제가 (기존 사용자 측의 요구를 검토하다 보니) 주52시간 총 시간을 늘리지 않고 초과근무수당도 전부 예외 없이 지급하는 조건에, 특정 분야의 연구개발직 중에서도 연봉 1억3000만원 이상 고소득자가 개인적 동의하는 경우에 한해 아주 한시적으로 하면 기존의 변형 근로제를 이용하지 않고 이걸 이용할 가능성이 거의 없어보였다"며 "그래서 왜 이런 걸 가지고 대치를 할까 (고민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사용자 측에서 자신에게 기존 변형 근로제도를 노동부가 쉽게 승인하는 조항을 (반도체 특별법에) 넣어달란 요청을 해왔다고 말했다. 기존 '주52시간 적용 예외'를 말하던 사용자 측의 요구사항에 변동이 생겼단 것이다. 이 대표가 말한 ‘변형 근로제’란 현행 시행 중인 선택적·재량 근로제 등을 언급한 것으로 보인다.
이 대표는 “(어제 협의회 자리에서)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국민의힘에 그게 왜 필요하냐고 물어봤다”고 당시 상황을 전했다.
그는 “(변형 근로제는) 노동부에 승인 권한이 이미 있으니 법 개정이 아니라 기존 고시를 바꾸면 되는 게 아니냐고 하니 우리(민주당) 보고 ‘동의했다’고 해달라고 하더라”고 전했다. 이 대표는 “그건 못하겠다, 옳지 않다. 당신들(노동부)이 권한 내에서 하라. 권한을 행사한 책임을 그만큼 지면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고 한다.
이 대표는 자신의 '중도보수' 발언으로 빚어진 논란에 대해선 우려할 필요가 없다고도 강조했다.
그는 "자꾸 우클릭한다고 하는데 경제성장에 집중하는 것은 민주당 역대 정권이 다 해온 일"이라면서도 "노동 조건 개선 문제는 우리 사회의 핵심 과제이니 걱정 안 하셔도 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