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체 이력 없는데 카드 한도 줄어”…소비자 불만 고조

입력 2025-02-25 05: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본 기사는 (2025-02-24 18:28)에 Channel5를 통해 소개 되었습니다.

일부 고객에 한도 하향조정 통보
소비자 불만 표출···거부 민원도
카드사 "건전성 관리 강화 차원"

카드사들이 가입자들의 신용카드 이용 한도 축소에 나서고 있다. 건전성 관리 강화 차원에서 이뤄지는 조치지만 서민들의 급전 통로가 좁아지는 부작용을 키울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4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신한ㆍ삼성ㆍ현대ㆍ롯데카드 등 국내 주요 전업 카드사들은 최근 일부 회원들에게 한도 금액 하향 조정을 통보했다.

신용카드 표준약관과 이용 한도 관련 모범규준에 따르면 카드사들은 연간 1회 이상 정기적으로 회원들에게 부여된 이용 한도 적정성을 점검할 수 있다. 가처분소득(소득-부채상환금액)과 신용도를 평가해 한도가 과다한 경우 축소할 수 있다. 대다수 카드사는 이번 이용 한도 점검에서 예년보다 엄격한 내부 잣대로 하향 조정 대상을 심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 카드사가 큰 폭의 한도 하향을 통보하자 가입자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개인사업체를 운영하는 A 씨는 “이달 초 이용 한도가 2000만 원에서 1000만 원으로 절반이나 하향 조정된다는 문자 메시지를 받았다”며 “최근 대출이 늘긴 했지만, 신용점수도 900점대로 변동이 없고 카드대금 연체 이력이나 현금서비스, 카드론 사용 이력이 없다”고 밝혔다. 이어 “이렇게 갑작스럽게 한도를 줄인다고 통보받아 당황스럽다”고 토로했다.

직장인 B 씨도 “연체, 미납 이력이 단 한 번도 없는 데 이용 한도가 400만 원에서 100만 원으로 하향 조정된다는 안내를 받았다”며 “당장 다음 달 한도가 마이너스가 될 수 있어 거부 민원을 접수한 상태”라고 했다.

카드사들은 고금리 장기화와 경기 침체로 연체자가 늘어날 가능성이 큰 만큼 어쩔 수 없다는 입장이다. 가계의 이자 부담이 점차 높아지고 있어 한계 차주를 중심으로 원리금 상환 능력이 저하되면 금융사의 연체율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

실제 카드사들의 연체율은 상승하고 있다. 카드업계에 따르면 신한·삼성·KB국민·하나·우리카드 등 카드사 5곳의 지난해 말 단순 평균 연체율은 1.43%로 전년 동기 대비 0.12%포인트(p) 올랐다. 2021년 0.82%에서 2022년 1.01%, 2022년 1.01%, 2023년 1.33%로 상승세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가맹점 수수료 인하 등으로 업황 악화가 길어지다 보니 연체율 예방을 위해 이용 한도 관리를 강화한 것”이라고 밝혔다.

카드사들은 카드 한도 축소로 대금 연체나 부실화될 가능성에 대비해 미리 쌓아두는 대손충당금을 적립 부담도 덜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지난해 말 카드사들의 대손충당금은 대폭 증가했다. 지난해 4분기 기준 4대 금융그룹 계열 카드사들의 대손충당금은 7279억 원으로 전 분기 대비 140% 급증했다.

일각에서는 카드사들의 이번 조치로 저신용자나 다중채무자들이 제도권 금융에서 점점 돈을 빌리기 어려워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금융권 관계자는 “고금리 카드론 이용이 역대 최대를 기록하고 있는 만큼 카드 한도 축소에 이어 다른 대출상품까지 줄일 가능성이 크다”며 “취약차주들이 급전 마련을 위해 대부업체 등 고금리 대출로 밀려날 수 있다”고 말했다.

신용카드 이용이 줄면 개인 신용등급이 하락할 가능성도 있다. 신용카드의 한도 대비 사용률은 신용평가에 중요한 요소다. 이용 한도 축소로 신용등급이 낮아지면 추후 대출 금리 상승과 금융 상품 이용이 제한될 수 있다.

한도 축소로 소비가 위축되면 경기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신용카드 사용이 줄면 소매업과 서비스업 등 소비 기반 산업이 직접적인 타격을 받을 수 있어서다.

한 카드사 관계자는 “카드론도 역대 최대를 기록하고 있고 다중 채무자들이 빚을 감당하기 어려워지면 신용위기가 도미노처럼 연쇄적으로 발생할 위험도 있다”며 “올해도 카드사들이 보수적으로 영업 계획을 세운 만큼 한도 하향 조정은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은행 지점 찾기 어렵네”…ATM 수도 ‘뚝’ [용두사미 대체점포]
  • 단독 LGD 4세대 OLED, 업계 최초 ‘퍼펙트 블랙’ 품질 입증…올해 양산·실적 개선 가속화
  • 글로벌 3위 바이비트, 역대 최대 해킹 …'콜드월렛' 취약성 드러났다
  • 가발 쓴 탈덕수용소ㆍ신상 털린 뻑가…'사이버 렉카', 몰락은 이제 시작? [이슈크래커]
  • 무시하지 말라던 ‘추성훈 아조씨’의 유튜브 떡상기 [요즘, 이거]
  • BYD 韓 상륙에 맞불…막 오른 전기차 ‘할인 대전’ [전기차 메기 BYD]
  • 움츠렸던 삼성 '엑시노스' 재시동… 폴더블폰 첫 탑재
  • 美장 하락에…저가 매수 나선 '서학개미'
  • 오늘의 상승종목

  • 02.2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3,393,000
    • -5.32%
    • 이더리움
    • 3,657,000
    • -11.88%
    • 비트코인 캐시
    • 425,800
    • -11.6%
    • 리플
    • 3,321
    • -12.03%
    • 솔라나
    • 205,700
    • -16.42%
    • 에이다
    • 994
    • -11.88%
    • 이오스
    • 824
    • -12.62%
    • 트론
    • 350
    • -3.31%
    • 스텔라루멘
    • 436
    • -10.84%
    • 비트코인에스브이
    • 49,370
    • -10.56%
    • 체인링크
    • 22,300
    • -13.8%
    • 샌드박스
    • 445
    • -13.7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