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수 “수감·해외 생활로 정치일선과 떨어져…역시 민심 현장에 있어야”

입력 2025-03-18 11:4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서울 종로구 광화문 농성장에서 윤석열 즉각 퇴진을 촉구하며 단식을 이어가고 있다. (뉴시스)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서울 종로구 광화문 농성장에서 윤석열 즉각 퇴진을 촉구하며 단식을 이어가고 있다. (뉴시스)

윤석열 대통령 파면을 촉구하기 위해 10일째 단식농성을 이어가고 있는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는 “광화문에서 단식농성을 해보니 정치는 역시 민심의 현장에 있어야 한다는 걸 새삼 느낀다”고 했다.

김 전 지사는 18일 오전 유튜브 채널 ‘김어준의 겸손은 힘들다 뉴스공장’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귀국 후 초기에 분위기 파악을 못한다고 비판을 많이 받았다’라는 진행자의 질문에 이 같이 답했다.

앞서 김 전 지사는 지난해 12월 비상계엄 사태를 계기로 독일 유학 중 조기 귀국을 택한 바 있다. 김 전 지사는 귀국 후 개헌 추진과 완전국민경선(오픈 프라이머리) 도입 등을 주장하다, 윤 대통령이 석방된 뒤론 서울 광화문 앞 농성장에서 단식을 이어가고 있다.

‘지지자들과 떨어져 지내면서 격변한 정치적 감수성에 대해 잘 몰랐던 측면이 있었다’는 진행자의 말에 김 전 지사는 “제가 아무래도 수감 생활과 해외 생활을 하면서 3년 반 정도 정치 일선과 민생 현장에 떨어져 있었다. 그래서 정서적으로 그런 게 있을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는 “(단식농성을 시작한 뒤) 첫째, 둘째 날엔 (저를 욕하시는) 분들도 꽤 있었다”며 “지난번 이재명 민주당 대표와 우리 당 대선 후보군들이 단식 농성장에 함께 모여 간담회를 한번 열었는데, 그 이후론 확실히 줄었다”고 설명했다.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정치권에선 김 전 지사를 비롯해 비이재명(비명·非明)계 대권 잠룡들이 조기대선을 염두에 둔 정치 행보에 들어갔단 평가가 나왔다. 그 과정에서 대권 선호도 1위를 유지하고 있는 이 대표에 대한 비명계의 견제와 압박도 본격화됐단 게 정치권 시각이다.

김 전 지사는 자신을 향한 비판적 시선이 줄어든 데 대해 “아마 우리가 다 같이 하나로 뭉쳐서 싸우자고 계속 얘기해왔던 제 진심을 알아주신 게 아닌가 싶다”며 “이번 과정을 거치면서 역시 진심은 통한다는 진리도 함께 느끼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광주에서 탄핵 찬성 피켓팅을 하다 민주당원 한 분이 돌아가셨다”며 “명복을 빌고 그분께서 염원하시던 대통령 파면이 꼭 이뤄질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尹 탄핵사건, 4일 오전 11시 생중계 선고…역대 최장 심리 기록
  • 장제원 전 의원 사망…강동구 오피스텔서 발견
  • ‘14명 아빠’ 일론 머스크, 또 한국 때린 이유 [해시태그]
  • "벚꽃 축제 가볼까 했더니"…여의도 벚꽃길, 무사히 걸을 수 있나요? [이슈크래커]
  • 김수현, 카톡 공개에 되레 역풍?…'김수현 방지법' 청원도 등장
  • [트럼프 상호관세 D-1] ‘기울어진 운동장’ 안 통했다…韓 IT업계 촉각
  • "신혼부부의 희망?"…'미리내집'을 아시나요 [왁자집껄]
  • "지브리 풍 이렇게 인기인데"…웹3, 애니메이션으로 돌파구 찾을까 [블록렌즈]
  • 오늘의 상승종목

  • 04.0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6,031,000
    • +2.56%
    • 이더리움
    • 2,835,000
    • +4.07%
    • 비트코인 캐시
    • 461,700
    • +2.58%
    • 리플
    • 3,176
    • +1.93%
    • 솔라나
    • 188,200
    • +0.8%
    • 에이다
    • 1,008
    • +3.28%
    • 이오스
    • 1,015
    • +10.09%
    • 트론
    • 353
    • -0.84%
    • 스텔라루멘
    • 406
    • +2.78%
    • 비트코인에스브이
    • 47,640
    • +1.21%
    • 체인링크
    • 21,020
    • +4.27%
    • 샌드박스
    • 410
    • +1.2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