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이동통신 사업자들의 신성장동력 사업으로 부상하고 있는 앱스토어가 내년부터 본격적인 경쟁에 돌입할 것으로 보인다.
이미 SK텔레콤이 이달부터 'T스토어' 운영에 들어갔고 KT도 오는 11월 'SHOW 앱스토어'를 가동, 개발자와 일반 사용자들 사이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KT는 24일 서울 잠실 롯데호텔에서 애플리케이션 개발자, 파워블로거, 일반인 등 1000여명을 대상으로‘SHOW 앱스토어 사업 정책설명회’를 열고 사업정책 및 개발지원 환경을 소개하며 오픈마켓을 통한 국내 모바일 데이터 사업발전 의지를 내비쳤다.
오느 11월에 오픈하게 될 KT 쇼 앱스토어는 사용자와 개발자 모두를 만족시키는 오픈마켓 환경을 만들기 위해 사용자 편의성과 경제성, 그리고 개발자 수익성과 개발용이성 확보를 최우선으로 삼았다.
이에 따라 저렴한 데이터 정액제뿐만 아니라 근거리 무선통신(WiFi)을 이용한 무료 다운로드로 콘텐츠, 애플리케이션의 요금부담을 덜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상품 등록 및 판매비용 후불 정산과 무료 상품 등록비용 면제를 통해 개발자 참여 부담을 줄였다. 특히 윈도우모바일, 안드로이드 등 개방화된 사용자 환경(OS) 기반 스마트폰 비중 확대와 표준화된 플랫폼 채택으로 개발자들 개발비용 부담을 경감하고 글로벌 판매의 기회까지 제공하는 차별화를 꾀했다.
KT 컨버전스와이브로사업본부 김성철 상무는 “쇼 앱스토어는 소비자의 데이터 요금부담 해소와 함께 개발자의 판매부담을 최소화하고 실질적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정책을 담았다"며 "소비자와 개발자 모두가 만족하는 진정한 오픈마켓 에코시스템을 만들 것이며 향후 다양한 스크린(인터넷, 인터넷전화, IPTV 등)으로 서비스를 확대해 나갈 계획”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