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재무부가 구제금융을 제공하면서 확보한 씨티그룹 주식 15억주를 조만간 매각할 계획이라고 26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는 미 정부가 보유한 씨티그룹의 보통주 77억주 가운데 20%에 해당하는 것이다.
씨티가 미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파일에 따르면 재무부는 매각 주간사로 선정한 모건스탠리에 15억주의 매각 권한을 부여했다. 이후 나머지 지분에 대해서도 모건스탠리가 추가로 매각할 수 있다.
블룸버그 통신은 재무부의 이번 방침이 씨티가 지난해 12월 공적 자금을 상환한 이래 자립을 위한 최대 진전이라고 전했다.
미 정부는 금융위기가 최고조에 달했던 2008년 10월 부실자산구제프로그램(TARP)을 통해 씨티그룹에 450억달러를 지원했다.
이후 지원자금 중 200억달러를 대출로 전환했고 나머지 250억달러는 이 회사의 보통주로 확보해 현재 미 정부는 씨티그룹 지분 27%를 보유하고 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씨티의 주가는 오전1048분 현재 지난 주말 대비 2.7% 빠진 4.73달러에 거래됐다. 이로써 매각액은 총 360억달러가 된다.
재무부는 250억달러 상당의 구제금융에 대해 취득한 씨티의 우선주를 보통주로 전환했기 때문에 110억달러가 포함된 이익이 생기는 셈이다. 전환가격은 주당 3.25달러였다.
이날 씨티의 주가는 전일 대비 5.14% 급락한 4.61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재무부는 씨티의 보통주를 시장에서 “미리 정해 문서화한 매매계획에 근거해 질서정연한 방식으로 매각하겠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사정을 잘 아는 관계자들은 "당국이 올해 초 "매각 시기를 잘못 선택했다"는 정치적 비판을 피하기 위해 이번 매각을 계획했다"고 말했다.
당국은 매각시기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고 있지만 지난 3월 29일 씨티 지분을 2010년 안에 서서히 매각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씨티는 분기마다 매각 주식 수와 모건스탠리에 지불한 수수료를 보고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