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당 압승 지방선거 증시 영향 미미할 듯

입력 2010-06-03 07:11 수정 2010-06-03 09:1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정부 경제정책 힘 잃어도 여전히 대외 이슈가 주요 변수

전국에서 지난 2일 치러진 지방선거에서 민심이 사실상 야권을 택함에 따라 향후 주식시장에 미칠 영향에 대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서울시 등 주요 광역단체장 득표율에서 3일 오전 6시 잠정 개표 결과 10대 6으로 한나라당의 패배가 가시화됨에 따라 앞으로 정부가 정책을 추진해 나가는 힘이나 영향력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증시 전문가들은 선거 결과에 따른 국내 증시의 영향보다는 유로존의 재정문제와 대북 리스크가 여전히 남아있고 선거 관련 이슈는 상당 부분 증시에 선반영됐기 때문에 선거 결과가 크게 영향을 주지는 못할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당초 예상과 달리 수도권은 물론 전국 주요 지역에서 민주당과 자유선진당, 무소속 등 야권에 속한 후보들이 당선되거나 당선될 것이 유력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선거 이후 정부가 추진할 정책들에 전폭적인 힘이 실리기 어려워 보인다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으며, 4대강 사업은 물론 세종시 수정안 등이 장기적으로 표류할 가능성도 높은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에 따라 4대강 테마주나 건설주 등 관련 업종과 종목의 흐름도 당분간 이같은 정국 움직임에 연동될 수밖에 없을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정부가 선거 이후 추진할 것으로 전망됐던 각종 공공요금 인상도 다소 지연될 수 있다. 한국전력이나 가스공사 등 유틸리티 종목들이 그 대상이다.

전문가들은 하지만 선거 결과가 주가 지수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다는 데에 무게를 두고 있다. 내부적 정치 판도 보다는 해외쪽에 잔존하고 있는 이슈들이 더 큰 영향력을 미칠 것이란 판단이다.

이번주 예정된 지표 중에 ISM제조업지수와 함께 이목을 집중시키는 것은 오는 4일 발표될 비농가취업자수다. 지난 3월 이후 뚜렷한 개선세를 보여주고 있는 취업자수가 시장의 전망대로 전월비 큰 폭 증가한 것으로 나올 경우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가 줄어들면서 증시에 신뢰를 더해줄 것으로 전망된다.

6~7월에 집중된 유로권 국가들의 국채 만기가 원만하게 처리될 수 있을지도 관심있게 지켜봐야 할 변수다. 단기간내 해결되기보다는 장기적으로 안고 가야 할 문제라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민감도가 크게 낮아지기는 했지만 해결과정에서의 진통은 불가피해 보인다는 게 중론이다.

또한 중국시장의 움직임에 다시 눈길이 몰릴 가능성도 있다. 중국의 5월 생산자물가지수(PMI) 지표가 예상을 밑도는 등 둔화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유로존 재정문제가 글로벌 경기 둔화로 이어질 것인 지에 대해 촉각이 곤두서면서 투자심리가 위축될 여지가 크다는 전망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망곰이 유니폼, 제발 팔아주세요"…야구장 달려가는 젠지, 지갑도 '활짝' [솔드아웃]
  • "돈 없어도 커피는 못 참지" [데이터클립]
  • K-푸드, 수출 주역으로 '우뚝'…10대 전략산업 넘본다 [K-푸드+ 10대 수출 전략산업②]
  • "서울 집값·전세 계속 오른다"…지방은 기대 난망 [하반기 부동산시장 전망①]
  • 테더 공급량 감소에 '유동성 축소' 위기…FTX, 채권 상환 초읽기 外 [글로벌 코인마켓]
  • 허웅, 유혜원과 열애설 일축…"연인 아닌 친구 관계"
  • 단독 “1나노 공정 준비 착착”…삼성전자, ‘시놉시스’와 1나노 IP 협업 진행 중
  • 셔틀버스 ‘만원’, 접수창구 순조로워…‘무기한 휴진’ 세브란스병원 [가보니]
  • 오늘의 상승종목

  • 06.2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6,365,000
    • -0.37%
    • 이더리움
    • 4,827,000
    • +1.3%
    • 비트코인 캐시
    • 540,000
    • +1.41%
    • 리플
    • 665
    • -0.45%
    • 솔라나
    • 196,200
    • +1.55%
    • 에이다
    • 539
    • -2.53%
    • 이오스
    • 819
    • +0.61%
    • 트론
    • 174
    • -0.57%
    • 스텔라루멘
    • 128
    • -0.78%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750
    • -0.95%
    • 체인링크
    • 19,670
    • -0.25%
    • 샌드박스
    • 474
    • +0.4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