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의 60% 이상이 은평구에 몰려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부동산경기 침체로 중대형 아파트에 대한 수요가 급감하자 2000년대 중후반 중대형이 대거 공급됐던 은평구가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는 것이다.
20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3월 말 현재 전국적으로 1만8554가구의 준공 후 미분양이 남아있는 가운데 서울에서는 은평구가 435가구로 전체 723가구의 60.1%를 차지했다.
특히, SH공사가 공급한 은평뉴타운 2~3지구의 준공 후 미분양이 383가구로 전체 미분양을 견인했다. 반면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의 미분양 물량은 GS건설의 서초아트자이 단 10가구에 불과했다.
경기권 미분양 2885가구 중 1~3위를 차지한 용인(696가구), 평택(413가구), 고양(350가구) 등도 ‘중대형의 덫’에 걸려 골머리를 앓고 있다.
용인 성복동에 성복자이 1~2차와 수지자이 2차 등 2002가구를 공급한 GS건설은 미분양 374가구를 남겼고, 현대건설은 힐스테이트죽전2차 및 성복힐스테이트 2~3차 1539가구 중 232가구를 처리하지 못하는 등 대형건설사들도 고전을 면치 못하는 실정이다.
지방 5대광역시 중에서는 대구의 미분양이 2588가구로 가장 많았고 울산이 1628가구, 부산 695가구, 대전 289가구, 광주 188가구 순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