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 사망자의 90%가량이 사망 1년 전 1차의료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으며 한 달 이내 의사를 찾은 이용자 비중은 76%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유진 가천의대 정신과 교수는 22일 대한의사협회·보건복지부 주최로 열린 ‘자살예방 전문교육 강사양성 워크숍’ 에서 이같은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이 교수는 “자살은 우울증과 알코올 및 약물의 사용이 가장 큰 위험인자”라며 “일차의료기관 의료인들이 자살 예방 교육을 받으면 자살률을 연간 22%에서 많게는 73%까지 감소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동네의원들이 자살 고위험자들을 자주 접하는 만큼 1차 의료 단계에서부터 자살예방을 위한 활동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자살한 사람과 자살을 시도한 사람 중 80~90%는 진단 가능한 정신질환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우울증은 자살률이 가장 높은 질환으로 환자의 67%가 자살을 시도했으며 조현병(정신분열증)은 최근 퇴원했거나 우울증상이 있고, 과거 자살 시도력이 있는 경우 위험성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살의 단일 원인 1위인 우울증 치료 비율은 선진국에 비해 턱없이 낮은 실정인 것으로 드러났다.
그 이유에 대해 이 교수는 “우울증의 경우 의지부족이나 나약함이 아닌 뇌의 물리적 구조와 신경전달물질의 불균형에서 비롯된다는 사실을 잘 알지 못하는 데다 정신질환이라는 낙인을 두려워하기 때문”이라며 “1차 의료 단계에서 자살의 위험징후를 파악하고 환자가 감정표현을 하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특히 고위험군에 대해서는 인근 정신과 병의원으로 진료의뢰를 하고, 지역자살예방센터로 안내해 줄 것을 권유했다.
이 교수는 국립서울병원과 국립정신보건교육연구센터의 지원을 받아 ‘일차의료 의사를 위한 자살예방 교육’ 연구를 진행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