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입 구직자 10명 중 6명은 최종 합격을 하고도 입사를 포기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9일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에 따르면 신입 구직자 1003명을 대상으로 “최종 합격 후 입사를 포기한 경험이 있습니까?”라는 설문조사를 한 결과, 61.5%가 있다고 답했다.
포기한 횟수는 절반 이상인 65.3%가 ‘2회 이하’라고 응답했다. 이어 △‘3~5회’(30.8%) △‘6~10회’(2.3%) △‘11~15회’(0.7%) △‘16~20회’(0.7%) 등의 순이었다.
취업을 포기했던 기업의 형태는 ‘중소기업’(69%, 복수응답)이 가장 많았고, ‘중견기업’(30.6%), ‘대기업’(11.3%) 순이었다. 계약조건은 ‘정규직’(49.3%, 복수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 밖에 ‘정규직 전환 조건의 비정규직’(19%), ‘정규직 전환 가능한 인턴’(16.5%), ‘비정규직’(14.6%) 등인 경우도 있었다.
합격 후 입사를 포기한 이유로는 ‘직무내용이 공고와 달라서’(28.8%, 복수응답)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또 △‘제시한 연봉이 불만족스러워서’(26.4%) △‘복리후생이 열악해서’(21.7%) △‘인턴 등 계약조건이 불만족스러워서’(20.1%) △‘막상 합격하니 눈을 낮춘 것 같아서’(19.9%) △‘기업 분위기가 맞지 않을 것 같아서’(18.8%) △‘야근, 주말근무 등이 싫어서’(18.5%) △‘면접관 태도 등으로 이미지가 나빠져서’(13.6%) △‘다른 기업에 중복 합격해서’(11%) 등의 이유를 들었다.
응답자의 36%는 후회한 적 “있다”고 밝혔다. 그 이유로는 ‘취업에 계속 실패해 불안해져서’(55.4%,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다음으로 △‘길어지는 구직기간에 지치고 힘들어서’(50.9%) △‘경제적 어려움에 취업이 급해져서’(37.4%) △‘알고 보니 괜찮은 조건의 채용이라서’(17.6%) △‘취업준비 하기가 지겨워서’(16.7%) 등의 답변이 이어졌다.
한편 이들 중 23.4%는 입사를 포기했던 기업에 재지원한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