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중국 11월 HSBC 제조업 PMI 예비치 50.4…예상 밑돌아

입력 2013-11-21 13:0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신규수출주문지수는 3개월래 최저치…“경기둔화, 중국 지도부에 부담 줄 것”

HSBC홀딩스와 영국 마킷이코노믹스가 공동 집계한 중국의 11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예비치가 50.4를 기록했다고 21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이 보도했다.

이는 전문가 예상치 50.8을 밑도는 것은 물론 전월의 50.9에서 하락한 것이다. 또 PMI는 4개월 만에 처음으로 하락세를 보였다. 그러나 기준인 50을 넘겨 중국 제조업 경기확장세가 지속하고 있음을 나타냈다.

지수 세부항목 중 신규수출주문지수는 이달에 49.4로 3개월래 최저치를 기록해 글로벌 수요가 약화하고 있음을 반영했다.

취홍빈 HSBC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중국 성장 모멘텀이 11월 들어 다소 약화했다”며 “그러나 이달 수치는 여전히 지난 7개월 중에서 두 번째로 높은 것이며 인플레이션 압력은 여전히 낮아 중국 정부가 성장세를 지탱하기 위한 정책을 지속할 수 있는 여지를 줄 것”이라고 설명했다.

제조업 경기 성장세 둔화는 정부 경기부양책 위주의 성장전략에서 벗어나 시장에 더 많은 역할을 맡기려는 리커창 총리에게 부담을 안길 것이라고 통신은 전했다.

중국 공산당은 지난주 나흘간의 일정으로 열린 제18기 중앙위원회 3차 전체회의(18기 3중전회)에서 수도와 석유 등에서 가격통제를 완화하고 위안화 태환화를 가속화하는 등 개혁안을 확정했다.

중국의 지난 3분기 경제성장률은 7.8%로 전분기의 7.5%에서 올랐으나 전문가들은 이번 분기 성장률이 7.6%로 다시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케빈 라이 다이와캐피털마켓 선임 이코노미스트는 “올 초 펼친 미니 경기부양책의 영향으로 지난 3~6개월간 경기회복세가 다소 빨라졌으나 이제 그 효과가 서서히 사라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중국 정부는 지난 7월 경기둔화 우려가 커지자 중소기업에 세금우대 혜택을 주고 철도투자 승인을 가속화하는 등의 미니 경기부양책을 펼쳤다.

HSBC는 다음달 2일 제조업 PMI 확정치를 내놓을 예정이다. 이보다 하루 앞서 중국 국가통계국이 집계한 공식 제조업 PMI도 나온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국내보다 낫다"…해외주식에 눈 돌리는 대학생 개미들 [데이터클립]
  • "웃기려다가 나락"…'피식대학'→'노빠꾸 탁재훈'이 보여준 웹예능의 퇴보 [이슈크래커]
  • 손웅정 감독, 아동학대 혐의 피소…"사랑 없는 행동 없었다"
  • 마운트곡스 악재에 '쇼크' 온 비트코인, 6만1000달러로 소폭 상승 [Bit코인]
  • 4.5세대? 5세대?…올림픽 마냥 4년 만에 돌아온 개정 시그널 [멍든 실손보험中]
  • [종합] 엔비디아 6%대 반등 속 뉴욕증시 또 혼조…나스닥 1.26%↑
  • "황재균 이혼한 거 알아?"…뜬금없는 이혼설 중계에 지연 측 "사실무근"
  • 단독 ‘묻지마 현지법인’ 탓에…이마트24, 싱가포르서 철수
  • 오늘의 상승종목

  • 06.26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5,877,000
    • -1.89%
    • 이더리움
    • 4,778,000
    • -0.93%
    • 비트코인 캐시
    • 532,000
    • -3.27%
    • 리플
    • 666
    • -1.33%
    • 솔라나
    • 192,800
    • -1.68%
    • 에이다
    • 550
    • -1.26%
    • 이오스
    • 813
    • -0.49%
    • 트론
    • 174
    • +1.75%
    • 스텔라루멘
    • 128
    • -0.78%
    • 비트코인에스브이
    • 63,350
    • -1.93%
    • 체인링크
    • 19,820
    • -1.15%
    • 샌드박스
    • 474
    • -1.0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