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거래위원회와 한국소비자원은 설 명절을 맞아 피해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는 항공권, 택배, 건강식품에 대해 소비자 피해주의보를 발령했다.
19일 공정위와 소비자원은 "항공권, 택배, 건강식품은 명절 연휴를 전후로 소비자의 구매·이용이 증가하는 품목"이라며 "소비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최근 3년간(2022~2024년) 설 연휴를
현실과 맞지 않는 전자상거래법 플랫폼 위주 재정리 필요소비자 집단 피해 배상할 집단소송법 도입도
플랫폼과 입점업체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시장을 지탱하는 소비자들의 피해 경험은 날로 늘어가고 있다. 현실에 맞지 않는 법체계를 정비하고 플랫폼의 책임을 강화할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5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포장이사, 용역 중개, 배달,
지난달 소비자 상담센터에 '헬스장' 관련 상담이 1300건을 돌파, 최다를 기록했다. 웨딩 스냅 등 사진촬영 관련 상담도 많아, 소비자들의 피해가 빈번한 것으로 파악됐다.
한국소비자원과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가 24일 공개한 지난 달 ‘1372 소비자상담센터’ 상담 분석 결과를 보면 상담 건수는 헬스장이 1313건으로 가장 많았고 의류·섬유(1119건),
여정성 서울대 교수 등 56명(단체 포함)이 소비자 권익 증진에 기여한 공로로 정부 포상을 받았다.
공정거래위원회는 3일 서울 양재 엘타워에서 제29회 ‘소비자의 날’ 기념식을 열고 소비자 상담·교육, 소비자 분야 연구 및 정책 제안, 소비자 권리구제 등으로 소비자 권익증진에 기여한 이들에게 포상을 수여했다.
소비자의 날(12월 3일)은 소비자 권익증
소비자원 "갑작스런 서비스 중단 후, 연락두절 및 사업장 폐쇄 확인"소비자상담센터ㆍ소비자원 총 38건 피해접수…"소비자 주의 당부"
전자상거래(이커머스) 컨설팅ㆍ교육 서비스 업체인 '트렌드헌터'가 서비스를 중단하면서 피해가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소비자원이 피해주의보를 발령했다.
한국소비자원은 트렌드헌터의 갑작스런 서비스 중단으로 피해가 급증하고 있
티몬·위메프(티메프)가 판매한 여행·숙박·항공 상품 미환불에 대한 집단분쟁조정이 본격 개시된다.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 티메프 판매자에 대한 대금정산 지연으로 발생한 여행·숙박·항공 상품의 미환불에 관한 집단분쟁조정 절차를 개시하기로 결정했다고 30일 밝혔다.
집단분쟁조정 절차 개시 결정에 따라 위원회는 내달 15일까지 한국소비자원 홈페이지 및 일간신문
티몬ㆍ위메프 대규모 미정산 피해 악몽이 채 가시기도 전에 중소 온라인쇼핑몰에서 또다시 소비자 피해가 발생해 이용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한국소비자원은 24일 쇼핑몰 ‘스트릿윙스’의 배송·환급 지연 관련 추가 피해를 막기 위해 소비자 피해주의보발령했다. 스트릿윙스는 등산복, 작업복 등을 전문적으로 판매하는 온라인 쇼핑몰이다.
소비자원에 따르면
일명 ‘티메프(티몬·위메프) 사태’ 여파로 8월 신유형상품권(온라인상품권) 소비자 상담이 매우 증가했다.
23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지난달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소비자 상담은 신유형상품권 관련 상담이 가장 많았다.
지난달 접수된 소비자 상담은 모두 5만5277건으로 전년 동월 대비 20.0%(9195건) 증가했다.
소비자 상담 다발 품
#여행사를 통해 인천-나리타 왕복 항공권 2매를 구매하고 37만7000원을 결제한 A씨는 다음 날 일정 변경으로 인해 취소를 요청했다. 이에 여행사 및 항공사는 취소수수료를 제외한 11만7000원만 환급 가능하다고 답했다.
#B씨는 20만 원 상당의 거울을 택배 사업자에 배송 의뢰했다. 수령 후 거울을 살펴보니 파손된 것을 확인하고 택배 사업자에게 배상
한국소비자원이 티몬ㆍ위메프(티메프) 사태발 상품권과 기프티콘 등 피해사례에 대해 집단분쟁조정 신청 절차에 돌입한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달 초 티몬·위메프 사태 관련 전담대응팀을 설치하고 여행, 숙박, 항공권에 대한 집단분쟁조정 참가자를 모집해 9028명이 신청한 데 이어 상품권ㆍ기프티콘에 대한 집단분쟁 조정 참가자를 접수받는다고 16일 밝혔다. 이는 1
티몬ㆍ위메프 정산대금 미지급 사태 후폭풍으로 해당 이커머스를 통해 항공권과 숙박을 예약했던 소비자들이 여행상품을 강제 취소당하는 등 피해 사례가 잇따른 가운데 한국소비자원이 집단분쟁조정 절차에 착수했다.
소비자원은 26일 티몬과 위메프 입점 판매자에 대한 대금정산 지연으로 인한 다수 소비자 피해를 일괄 구제하기 위해 전담대응팀을 구성하고 집단분쟁조정
티몬 1879건 '최다'…이어 위메프·인터파크 순
티몬과 위메프의 판매자 정산금 지연 사태가 일반 판매자를 넘어 소비자, 기업, 금융권 등으로 파장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한국소비자원에 접수된 민원 건수가 이달 들어 2000여 건을 넘어선 것으로 파악됐다.
25일 한국소비자원은 이달 큐텐(Q10)그룹 산하 글로벌 플랫폼인 위시플러스(Wish+)와 위
서울시, 반려견 유치원 64곳·이용자 300명 대상 조사중도환불 불가 37%, 온라인 영업등록번호 미표시 31%“반려견 유치원 이용 시 계약서 꼼꼼하게 확인해야”
#. 서울에 사는 A 씨는 반려견 코코를 위해 지난달 ‘반려견 유치원’ 1개월권을 결제했다. 8일 만에 코코의 건강 이상으로 유치원을 다니지 못하게 돼 환불을 요구했으나, 유치원에서 이미 할인이
한기정 공정거래위원장은 25일 최근 티몬·위메프 정산 지연 사태와 관련해 "대응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 중이며 긴급 현장점검을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한 위원장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출입기자단 간담회에서 이 같이 말했다.
한 위원장의 해당 발언 이후 공정위는 티몬과 위메프 본사에 각각 5명의 조사관을 보내 긴급 현장점검을 했다. 이들은 주
20대 A씨는 해외에서 구입한 나이키 농구화를 한 전문 세탁업체에 맡겼다가 황당한 일을 겪었다. 세탁업체에서 받아본 자신의 운동화는 갑피 코팅이 물에 불은 듯 일어나 세탁 전보다 상태가 엉망이었기 때문이다. A씨는 "신발이 망가졌다"며 이의를 제기했지만 업주는 "의뢰받은 대로 세탁을 했을 뿐"이라며 자신의 책임이 아님을 주장했다. 또다른 여성 B씨도 백
건강식품 판매 시 무료 체험 후 반품이 된다고 소비자들을 현혹한 뒤 정작 반품이나 환불이 쉽지 않아 최근 1년 새 관련 민원이 40% 가량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과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가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5월 소비자상담을 빅데이터 분석시스템을 활용해 살펴본 결과 소비자 상담이 급증한 분야로 건강식품(39.2%)이 꼽혔다고
신한은행은 효성티엔에스·LG CNS와 인공지능(AI) 기술 기반의 미래 은행 구현을 위해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전일 진행한 협약에 따라 3사는 생성형 AI 모델 공동개발, AI·디지털기기 연계를 통한 무인 은행 고도화, AI 상시 협업 플랫폼 운영 등에서 공조할 예정이다.
정상혁 신한은행장은 "AI 기술이 적용된 다양한 기기를 통해
동국제약이 만 25세 이상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기억력 및 인지력 감퇴와 관련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기억력 및 인지력 감퇴 경험자 10명 중 7명이 방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30일 밝혔다.
동국제약은 최근 시장조사기관 코리아리서치에 의뢰해 만 25세 이상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노화의 대표적인 증상이라고 할 수 있는 ‘기억력 및 인지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해외 물품·서비스 구매가 대중화되고 해외여행 수요가 회복되면서 지난해 국제거래 소비자상담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지난해 국제거래 소비자상담 동향을 분석한 결과 총 1만9418건이 접수돼 전년 대비 16.9%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29일 밝혔다.
거래유형별로는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소비자가 직접 물품·서비스를
최근 편의점, 빨래방, 사진관 등 다양한 종류의 무인 매장이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무인 아이스크림 판매점의 결제·환불 관련 불만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최근 3년간(2021년~2023년)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무인 아이스크림 판매점 관련 상담 건수는 총 45건으로 집계됐다. 불만 유형은 키오스크 오류로 결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