뱃값 72% 급등 등 고물가에 유통업계 고충대형마트, 마진 낮추고 물량 확보 사활‘겨울=대목’ 깨지며 패션업계 실적 우울“급변하는 기후에 판매 전략 재수정”
#서울시 구로동에 사는 60대 주부 이혜숙 씨는 올겨울 귤 소비를 줄였다. 겨울만 되면 손끝이 노래지도록 귤을 즐겨 먹었지만 올해는 가격이 평년보다 비싼 탓이다. 귤을 좋아하는 초등학생 손자가 찾아올
삼성패션은 뷰티보다 본업 집중LFㆍF&F, 해외 사업 적극 확대한섬ㆍ신세계인터, 경영 효율화 총력
지난해 높은 물가에 소비심리가 위축되면서 패션업계가 부진한 실적을 기록했다. 올해도 크게 다르지 않은 영업 환경이 지속할 것으로 보고, 전략적으로 수익성 개선에 총력을 다한다.
13일 패션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주요 패션기업의 매출과 영업이익이 대부분 감소
NH투자증권은 10일 신세계인터내셔날의 수익성 개선에 시일이 걸릴 것이라며 목표주가를 1만3000원으로 기존 대비 16% 하향 조정했다.
정지윤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지난해 4분기는 통상임금 관련 일회성 비용 제외해도 기대치를 하회하는 어닝쇼크가 발생했다"며 "지난해 하반기를 기점으로 전 사업부 실적 바닥은 지났으나, 국가 다변화와 어뮤즈 연결 편입
◇KB금융
기대치를 밑돈 자본비율과 자사주 규모
아쉬운 자본비율 관리
4Q24 Review: 연간 5조원대의 순이익 달성
Valuation & Risk: 밸류에이션 프리미엄 일부 희석 예상
은경완 신한투자증권
◇신세계인터내셔날
악재는 끝, 경기만 반등하면 회복할 듯
4Q: 매출 성장 제한적이었던 가운데, 비용 부담 증가 영향
보유 자사주
강남점 거래액 2년 연속 3조 돌파백화점 전체 연간 영업익 7.8% 감소면세점ㆍ패션 사업도 수익성 악화“올해 본업경쟁력ㆍ내실 경영 강화”
정유경 회장이 이끄는 신세계가 작년 3분기 이마트와의 계열분리를 공식화한 이후 첫 연간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고물가와 소비침체 등 영업환경 악화에도 연 매출은 전년 대비 소폭 상승하며 선방했다. 다만 각종 일회성
30~40대 소비자들이 ‘모바일 선물하기 시장’에서 큰 손으로 떠오르고 있다. 경기 불황과 소비 침체가 이어지면서 상대적으로 가처분 소득이 적은 20대보다 3040 세대의 구매력이 높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22일 신세계인터내셔날에 따르면 회사가 운영하는 자체 디지털 플랫폼 에스아이빌리지(S.I.VILLAGE)의 지난해 모바일 선물하기 주문 건을 분석한
롯데·신세계百, 아웃도어 카테고리…최근 강추위에 수요↑LF·블랙야크·신세계인터·코오롱FnC 등도 아우터 판매 호조
최근 연일 영하권의 강추위로 패딩 판매량이 늘면서 패션업계가 모처럼 웃고 있다. 다만 역대급 추위고 실적 반등을 노렸지만, 가을·겨울(FW) 시즌 초반, 이상기후로 따뜻했던 날씨로 전체 판매량은 기대에 미치지 못해 아쉽다는 반응이다.
2
향수, 자기 표현 욕구에 적합해'나만의 향' 니치 향수 인기 여전
경기 침체 상황에서도 차별화한 아이템을 중시하는 MZ 소비자들에게 향수만큼은 그 존재감을 잃지 않고 있다.
16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주요 백화점 3사(롯데·신세계·현대)의 지난해 향수 매출은 전년 대비 평균 약 14%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2023년 향수 매출이 전년보다 15%
흥국증권은 15일 신세계에 대해 소비 환경 악화로 주가가 반등할 모멘텀은 약하지만, 주주환원 확대에 따른 재평가 가능성은 열려 있다고 평가했다. 목표주가 17만 원과 투자의견 ‘매수’는 유지했다.
박종렬 흥국증권 연구원은 “신세계의 지난해 4분기 연결 매출액은 전년 대비 1.4% 증가한 3조2000억 원, 영업이익은 17.5% 감소한 1701억 원으로
패션업계, 고물가·이상기후에 의류 판매 감소포트폴리오 다각화·뷰티 사업 강화아모레·LG생건, 인디 브랜드 인수합병 통해 경쟁력 강화
고물가로 소비자들이 의류비 지출을 먼저 줄이는 데다, 이상기후가 이어지면서 패션업계가 내수 부진으로 막대한 타격을 입고 있다. 이에 각 업체는 수익성 개선을 위해 판매가 부진한 브랜드를 정리, 경쟁력 있는 브랜드를 들여와
삼성패션연구소 “패션 시장·의류 소비심리 지속 하락”패션업계, 해외 사업 강화·사업 다각화·포트폴리오 재편 등으로 돌파구
불황으로 실적 부진에 빠진 패션업계는 2025년 새해에도 고민이 깊다. 고물가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으로 인해 대다수 소비자들이 의류 소비를 가장 먼저 줄이는 데다, 오락가락하는 이상기후까지 겹치면서 내수 시장에서 쉽사리 매출 전망을
신세계인터내셔날의 자체 화장품 브랜드 비디비치(VIDIVICI)는 이달 30일 서울경제진흥원이 개최하는 인플루언서 박람회 ‘2024 서울콘(서울콘)’의 K뷰티 부스트 행사에 참여한다고 29일 밝혔다.
서울콘은 이달 28일부터 내년 1월 1일까지 동대문 디자인플라자(DDP) 일대에서 열리는 글로벌 최대 인플루언서 박람회다. 올해로 2년째를 맞았으며 K팝
올해 자사주 매입에 나섰던 신세계가 향후 3년 간 자사주 20만 주 이상을 소각한다. 기업 가치 제고(밸류업 프로그램) 방안을 통해 본업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취지다.
신세계와 광주신세계, 신세계인터내셔날 등 상장사는 27일 각각 이사회를 열어 향후 개발 계획과 중·단기 자기자본이익율(ROE) 목표를 발표하고 자사주 소각 등을 통한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신세계인터내셔날은 27일 기업 공시를 통해 기업가치제고 계획을 발표했다.
내년부터 2027년까지 3년간 보유 자사주 107만1000주를 소각하는 등 적극적인 주주환원정책을 추진한다.
공시에 따르면 신세계인터내셔날은 주주환원강화, 자기자본이익률(ROE) 개선, 매출액 신장을 통해 기업가치를 높인다는 목표를 세웠다. 향후 3년간 평균 주주환원율을 30%
유진투자증권은 18일 신세계인터내셔날에 대해 높은 기온이 성수기 판매를 저해하는 큰 요소였다며 목표주가를 1만8000원으로 기존 대비 25% 낮춰잡았다. 투자의견은 매수로 유지했다.
이해니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4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2.7% 감소한 3818억 원, 영업이익은 2.3% 줄어든 137억 원"이라며 "10월은 부진했으나 11~1
신세계인터내셔날이 패션에 이어 뷰티를 키운다. 패션 사업과 비슷한 기조로 자체 브랜드와 함께 수입 브랜드 포트폴리오를 확대한다.
신세계인터내셔날은 미국 메이크업 브랜드 ‘베어미네랄’과 국내 독점 유통 계약을 16일 체결했다. 베어미네랄은 1995년 미국에서 론칭한 브랜드로 국내에서는 화장품 애호가 사이 인기를 끌어 인기 직구 상품으로 꼽혀왔다.
베어
론칭 25주년 기념 리브랜딩 '자주앳홈' 전시…“한국적 요소 적용 초점”한옥 구조·창호 모양 등 영감 받아 ‘스트라이프ㆍ격자 패턴’ 적용
“한옥의 창호 모양, 목조구조 선 등에서 영감을 얻어 스트라이프 패턴, 격자무늬 패턴을 적용한 것이 특징입니다.”
11일 오전 찾은 서울 종로구 가회동 ‘자주앳홈(JAJU@Home) SS 2025’ 전시장에서 만난
신세계인터내셔날이 운영하는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자주(JAJU)가 론칭 25주년을 맞아 리브랜딩에 나선다. 자주가 선보이는 의류, 생활용품 등에 ‘한국적인 요소’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차별화 전략에 방점을 뒀다.
11일 자주에 따르면 론칭 25주년을 기념해 현대 사회를 사는 한국인의 삶에 최적화된 브랜드로 리브랜딩을 진행 중이다. 지금까지의 자주가 고객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