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프릴바이오(AprilBio)는 지난해 미국 에보뮨(Evommune)에 라이선스아웃(L/O)한 IL-18 결합단백질(BP) 후보물질 ‘APB-R3(EVO301)’의 임상2상 환자투여가 개시됐다고 18일 밝혔다.
이 약물은 에보뮨이 임상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이번 임상2상은 중등도(moderate-to-sever) 아토피 환자 60명을 대상으로 APB
◇듀켐바이오
알츠하이머 진단 시장은 이제 제 겁니다.
진단용 방사성의약품 제조/판매 전문 기업
알츠하이머 치료를 위한 첫 걸음, PET-CT 진단
알츠하이머 PET-CT 진단의 90%, 압도적인 점유율
약물보단 PET-CT 가 싸다. 보험등재에 따른 진단확대도 기대
여노래 현대차증권
◇헥토파이낸셜
신한 속보; 도약을 위한 성장통
4Q24 Review:
아이브이리서치는 28일 에이프릴바이오에 대해 상장 2년 만에 기술이전만으로 흑자 전환을 달성했으며, 올해는 자체 플랫폼이 본격화하는 해가 될 것으로 분석했다.
에이프릴바이오는 면역학/종양학(Immunology/Oncology) 분야 항체치료제 개발 기업이다. 약효단백질의 혈청 내 반감기를 증대시키는 SAFA 플랫폼을 자체 기술로 보유하고 있다. 동사의
△진에어, 2024년 4분기 실적 설명
△HL만도, 국내기관 IR (Non-Deal Roadshow) 실시
△고영, 해외 NDR 미국(뉴욕)
△현대글로비스, 국내기관 IR (Non-Deal Roadshow) 실시
△아바코, 투자자 이해 증진 및 기업가치 제고
△제이브이엠, IBK투자증권 NDR 참가
△에이프릴바이오, 기업소개 및 질의응답
△케이티스카이라
지난해 빅파마와 기술이전 비롯, 미국 진출‧FDA 허가 성과올해 美 진출 기업 매출 성장과 시밀러‧CDMO 수혜 기대신약 개발에서는 ADC‧비만‧자가면역질환 모달리티 주목
지난해 굵직한 성과를 냈던 K바이오가 2025년에도 글로벌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한다. 올해는 국제정세 영향으로 바이오시밀러와 위탁개발생산(CDMO)이 수혜 산업으로 기대를 받고 있
올해 제약‧바이오 업계의 기술이전 트렌드는 높아진 시장의 불확실성에 총 계약 규모 대비 선급금 비율이 감소하고, 임상 3상에서 계약하는 경우가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조원희 법무법인 디엘지 대표 변호사는 16일 강남구 드림플러스 강남에서 열린 ‘DLG Bio 세미나 24년 회고와 25년 전망’에서 이같이 소개했다.
올해 3분기까지 글로벌 기술이전
에이프릴바이오(APRILBIO)는 19일 유한양행(Yuhan)이 시간외매매를 통해 보유지분 9.84%에 해당하는 215만5750주를 전량 매각했다고 공시했다. 주당 처분단가는 1만6280원으로 총 351억원 규모이다.
유한양행은 지난 2020년 에이프릴바이오의 시리즈B 라운드에 전략적 투자자(SI)로 30억원을 출자했으며, 다음해 제3자배정 유상증자 방
바이오 신약개발 전문업체 에이프릴바이오(AprilBio)는 룬드벡(Lundbeck)으로부터 CD40L 저해제 'APB-A1'에 대한 마일스톤 500만달러(약 70억원)를 수령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마일스톤은 지난달 첫번째 환자투여가 개시된 것에 따른 것으로, 현재 APB-A1은 임상1b상 단계에서 중등도 이상(moderate to severe)의
에이프릴바이오, 룬드벡으로부터 마일스톤 500만 달러 수령
에이프릴바이오는 이달 15일 룬드벡으로부터 마일스톤 500만 달러(약 70억 원)를 받았다. 이에 따라 에이프릴바이오는 올해 2분기에 이어 4분기에도 분기 영업흑자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3분기 누적 매출은 207억 원, 영업이익 132억 원이다.
덴마크 제약사 룬드벡에 2021
샌디에이고에서 세계 ADC 기업‧전문가 한 자리에삼성바이오 첫 부스…셀트리온은 첫 포스터 발표이외 리가켐‧에이비엘‧에이프릴바이오 등도 참가
전 세계적으로 항체약물접합체(ADC) 개발이 활발한 가운데, 국내 바이오기업이 ADC 시장의 주도권을 잡기 위해 치료제 개발부터 이를 생산하는 위탁개발생산(CDMO)까지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31일 제약‧바이오
네이처셀 조인트스템, 미국 FDA로부터 RMAT 지정
네이처셀은 이달 22일(현지 시간)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중증 퇴행성관절염 줄기세포 치료제 ‘조인트스템’의 첨단재생의료치료제(RMAT) 지정을 받았다고 밝혔다. RMAT은 의학적 미충족 수요를 맞출 수 있는 재생의약치료제 개발 및 승인 가속을 위해 FDA에서 도입한 제도다. RMAT 지
에이프릴바이오는 10월 9일부터 11일까지 일본 요코하마에서 개최되는 BIO JAPAN 컨퍼런스에 참석한다고 7일 밝혔다.
일본에서 다수의 글로벌 제약사와 현재까지 실험 데이터와 개발 컨셉 등을 글로벌 제약사들과 공유해 기술수출, 공동개발 등 다양한 사업기회를 모색하기 위해 미팅을 가질 예정이다.
일본에는 ADC 유방암 치료제 엔허투 개발사로 잘 알
에이프릴바이오는 덴마크 제약사 룬드벡에 기술을 이전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APB-A1(Lu AG22515)이 갑상선안병증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에 돌입했다고 4일 밝혔다. 이에 따라 에이프릴바이오는 룬드벡으로부터 마일스톤을 받는다.
해당 임상은 19명의 중증도-중증 갑상선안병증 환자를 대상으로 효능과 안전성, 부작용 등을 평가하는 1b상(NCT06557
△씨에스윈드, 미래에셋증권 Korea Investment Week 2024 참가
△AJ네트웍스, 투자자들의 회사에 대한 이해증진 및 기업가치 제고
△미래에셋증권, Korea Investment Week 2024 참가
△라파스, 미래에셋증권 Korea Investment Week 2024 참가
△씨엔씨, 회사 사업현황 설명 통한 국내 기관투자자들의 회사
코스피와 코스닥이 약보합 마감했다.
26일 코스피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3.68(p)(0.14%) 하락한 2698.01에 거래를 마쳤다.
개인과 기관이 각각 974억 원, 4003억 원 순매수한 반면 외인은 4689억 원 순매도했다.
코스피 업종별로는 전기가스업(3.83%), 운수창고(1.47%), 증권(1.45%), 철강금속(1.31%), 유통업
코스피와 코스닥이 장 중 약보합세다.
26일 오후 1시 49분 기준 코스피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7.96(p)(0.29%) 하락한 2693.73에 거래되고 있다.
개인과 기관이 각각 1860억 원, 2121억 원 순매수 중인 반면 외인은 3800억 원 순매도 중이다.
코스피 업종별로는 전기가스업(3.94%), 운수창고(1.65%), 증권(1.46%
에이프릴바이오(April Bio)는 12일 올해 2분기 매출 207억원, 영업이익 182억원, 당기순이익 186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흑자전환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2022년 상장 이후 처음 흑자전환이다.
회사에 따르면 이번 매출은 지난 6월 에보뮨으로 자가염증질환 치료제 후보물질 IL-18 결합단백질(BP) ‘APB-R3’를 4억7500만달러 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