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에서 불 꺼진 새 아파트가 증가했다. 정치적 불안 등으로 주택 매수 심리가 크게 위축돼 기존 집을 팔리지 않은 게 주요인이다.
13일 주택산업연구원은 지난달 입주율이 63.5%로 전월보다 6.2%포인트(p) 하락했다고 밝혔다. 분양을 받고 입주하지 않은 아파트가 10가구 중 3곳 수준이었는데 4가구 정도로 늘어난 셈이다.
수도권은 79.9%에서
서울 내 대규모 아파트 단지 수요가 뚝 끊겼다. 강북과 강남 핵심지역에서 대단지 입주장이 시작됐지만, 분양권·입주권(분양권) 시장은 잠잠하다. 분양권 가격은 서울 아파트값 약세와 맞물려 최근 들어선 지난해 3분기 때보다 낮은 금액에 손바뀜 중이다. 전세도 매매수요 둔화와 입주 환경 악화로 지난해 하반기부터 적체가 심화하는 모양새다.
24일 건설업계에 따
금융당국의 고강도 대출 조이기로 수요자 관망세가 지속되며 전국 부동산 시장에서 거래 부진이 이어지고 있다. 중견 건설사 신동아건설의 법정관리 개시와 주요 건설사 공사 미수금 증가 등 시장 불안요인이 늘어나며 이 같은 흐름이 장기화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23일 하나금융경영연구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전국 주택 매매가격 변동률 -0.07%로 전월(
다음 달 수도권 입주물량이 이달 대비 반 토막 수준으로 급감한다. 시장 불확실성이 커지며 입주 전망도 어두워진 모습이다.
23일 프롭테크 업체 ‘직방’에 따르면 다음 달 전국 아파트 입주물량은 총 2만1404가구로 전월(3만 3723가구) 대비 37% 줄어든다.
수도권 물량 감소 폭이 크다. 수도권 입주물량은 7250가구로 전월(1만3980가구)의 절
전국에서 불 꺼진 새 아파트가 확대될 전망이다. 대출 장벽이 높아진 데다 경기 침체 우려, 정치적 불확실성 등이 겹치면서 입주율이 떨어질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14일 주택산업연구원은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1월 전국 아파트 입주전망지수가 전월보다 20.2포인트(p) 하락한 68.4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2년 만에 최저치다.
수도권
수도권 새 아파트 입주 전망이 크게 하락했다. 대출 규제 강화로 자금 조달이 어려워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8일 주택산업연구원은 12월 전국 아파트 입주전망지수가 88.6으로 전월보다 5.2포인트(p) 하락했다고 밝혔다.
수도권은 101.9에서 90.6으로 11.3p 떨어졌다. 서울(105.2→100)과 인천(103.4→86.2), 경기(97.0→85
경기도 순이동 인구 수가 지난 10년간 100만 명이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가 몰리면서 아파트 입주율과 입주전망지수 또한 오름세를 보인다. 경기 지역에서 신도시 개발 사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탈서울’ 현상에 가속도가 붙으면서 경기지역으로 수요자들이 몰렸다는 분석이다.
16일 리얼투데이가 한국부동산원 ‘국내인구이동통계’ 자료를 분석
대출 규제가 강화되면서 이달 수도권의 새 아파트 입주 전망이 뒷걸음질 쳤다. 지난달 입주율도 떨어졌다.
12일 주택산업연구원은 11월 전국 아파트 입주전망지수가 93.8로 전월보다 10.7포인트(p) 상승했다고 밝혔다. 전국적으로는 올랐지만 수도권은 하락했다.
수도권 아파트 입주전망지수는 7.3p 낮아진 101.9를 기록했다. 서울(111.4→105
수도권과 지방의 새 아파트 입주 전망이 크게 엇갈렸다. 수도권은 가격 상승 기대감이 반영되면서 빈집이 없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지방은 미분양 적체 등의 영향으로 입주하지 않는 비중이 높을 것으로 보인다.
15일 주택산업연구원은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10월 전국 아파트입주전망지수가 83.1로 5.2p 하락했다고 밝혔다.
수도권은 109
서울의 새 아파트 입주율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이 어려워 지면서 자금조달에 난항을 겪는 경우가 늘어난 영향으로 해석된다.
10일 주택산업연구원은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8월 전국 입주율은 전월보다 3.5%포인트(p) 하락한 65.3%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수도권은 80.3%에서 79.2%로 1.1%p 낮아졌다. 서울이 3.5
서울에서 올해 하반기부터 내년까지 총 7만2000가구의 아파트가 입주할 전망이다.
22일 서울시는 아파트 입주전망을 공개했다. 서울시는 3월 공개한 입주전망보다 올해 6235가구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공사비 상승 등으로 재무 여건이 악화하면서 청년안심주택(4666가구) 비정비사업 입주가 6개월~1년 정도 지연된 데 따른 것이다.
입주 물량을 구
전국 아파트 입주율이 개선됐지만 여전히 10채 가운데 3채 이상은 입주를 못 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과 달리 대부분 지방이 부진한 영향이다.
13일 주택산업연구은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지난달 전국 입주율이 68.8%로 전월보다 5.8%포인트(p) 상승했다고 밝혔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80.3%로 2.7%p 높아졌다. 서울은 7
서울의 새 아파트 입주율이 6개월 만에 70%대로 떨어졌다. 잔금대출을 받기 어려운 게 주요인으로 해석된다.
16일 주택산업연구원은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6월 전국 입주율이 전월보다 0.6%p 하락한 63%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은 76.5%에서 77.6%로 1.1%p 상승했다. 수도권 중 인천·경기권은 72.5
올해 하반기에는 상반기보다 아파트 입주 물량이 늘어날 예정이다. 1만2000가구에 이르는 서울 강동구 '올림픽파크포레온'(둔촌주공) 등 대단지 아파트 입주가 시작되기 때문이다. 다만 그만큼 서울에서도 강동구, 송파구 등 동남권 중심으로 물량이 집중돼 전세시장 안정 기여도는 제한적일 전망이다.
25일 프롭테크 업체 직방에 따르면, 올해 하반기 전국 아파
서울을 중심으로 아파트 매매가가 오르고 거래량도 늘어나는 등 청신호가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청약시장 상황은 여전히 암흑기다. 전문가들은 아직까지 시장 회복을 단언하기 이르다고 보고 있다.
9일 본지가 부동산 정보업체 부동산인포에 요청해 받은 2021년 이후 반기별 청약자 수 현황 자료에 따르면, 7일 기준 2024년 1~2순위 청약자 수는 33만48
지난달 전국의 새 아파트 열 채 가운데 네 채가량은 입주를 못 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주택 매각이 쉽지 않은 데다 대출도 어려워진 영향이다.
6일 주택산업연구원은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5월 전국 입주율이 63.6%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전월보다 0.2%p 상승한 수치다.
수도권은 77.6%에서 76.5%로 1.1%p, 비수도권
지난달 전국 수분양 가운데 40% 가까이는 입주를 포기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싼 분양가와 전세가 상승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10일 주택산업연구원은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4월 전국 입주율이 63.4%로 전월보다 5%p 하락했다고 밝혔다.
수도권은 80.6%에서 77.6%로 3%p 낮아졌다. 비수도권 5대 광역시는 70.
지난달 전국 아파트 입주율이 70% 밑으로 떨어졌다. 새 아파트 열 가구 중 셋 이상은 불이 꺼져 있는 셈이다.
4일 주택산업연구원은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3월 입주율이 68.4%로 전월보다 3.6%p 하락했다고 밝혔다.
수도권과 지방 모두 입주율이 떨어졌다. 수도권은 83.1%에서 80.6%로 2.5%p, 비수도권인 5대 광역시는
새 아파트 입주가 부진한 상황이 계속되고 있다. 기존 집이 팔리지 않거나 세입자를 구하지 못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14일 주택산업연구원은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2월 전국 입주율이 72%로 전월보다 0.1%p 하락했다고 밝혔다.
수도권은 81.1%에서 83.1%, 비수도권인 5대 광역시는 70.4%에서 71.7
올해 서울 시내 아파트 약 3만8000가구가 집들이를 할 것으로 보인다. 내년 예정됐던 둔촌주공 등의 입주 시기가 올해로 당겨지면서 입주 예상 물량이 늘었다.
3일 서울시는 내년까지 총 8만6226가구가 공급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서울 시내 25개 자치구와 부동산R114 등 관계기관의 자료를 총괄 검토해 분석한 결과다.
올해는 3만7897가구, 내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