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션 플랫폼 지그재그 운영사 카카오스타일이 지난해 흑자 전환했다.
카카오스타일은 2024년 매출 2004억 원, 영업이익 22억 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1일 밝혔다. 역대 최대 매출 달성과 동시에 흑자로 전환했다.
카카오스타일은 “지난해 실적에 대해 고물가 기조 속 지그재그와 포스티가 경쟁력 있는 서비스로 자리 잡은 결과”라며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지난해 연결 영업수익 1조9556억 원사용자 기반 확대ㆍ연결 회사 시너지
토스를 운영하는 비바리퍼블리카가 지난해 연간 실적을 발표하며 창사 이래 최대 매출(연결 영업수익)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28일 토스에 따르면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영업수익)은 1조9556억 원으로 전년 대비 42.7% 성장하며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영업이익 907억 원, 당
국내 블랙박스 업계 1위 팅크웨어와 파인디지털의 격차가 더 벌어졌다. 블랙박스 시장의 성장이 주춤한 가운데 사업 다각화를 위한 선택이 명운을 갈랐다.
27일 블랙박스 업계에 따르면 팅크웨어는 지난해 매출액 4891억 원으로 역대 최대 매출을 달성한 반면 파인디지털은 전년 보다 줄어든 708억 원을 기록했다.
팅크웨어의 매출액은 2022년 3367억
국민연금공단, 하이브 보유 목적 '단순 투자' 변경뉴진스-어도어 가처분 신청 인용날과 겹쳐투자 비율은 직전 대비 소폭 증가
국민연금공단이 하이브 지분 보유 목적을 일반투자에서 단순투자로 변경했다. 공교롭게도 변경일은 법원이 뉴진스와 어도어 간 가처분 신청을 인용한 날과 겹친다. 국민연금이 하이브 이슈와 관련해 빠르게 반응해온 만큼, 이번 결정에도 관심이
B2B 등 '질적 성장' 영역 확대인도 등 '글로벌 사우스' 공략
LG전자가 2030년까지 전체 매출에서 기업간거래(B2B), 소비자직접거래(D2C) 등 ‘질적 성장’ 사업 비중을 절반 이상으로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인도·중동 등 새롭게 떠오르는 유망 지역에서의 성장도 가속화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 발 관세 인상 리스크에 관해서는 현
수면 전문 브랜드 시몬스가 역대 최대 매출을 경신하며 침대 업계 1위를 지켰다.
시몬스 침대는 지난해 매출 3295억 원으로 전년 대비 5% 증가한 실적을 기록했다고 24일 밝혔다. 영업이익은 527억 원으로 전년 대비 65% 신장했다.
회사는 △프리미엄 매트리스 △하이엔드 비건 매트리스 N32 등 멀티 브랜드 전략의 성공적인 안착을 매출 상승 요인
여성 패션 전문기업 비비안이 10년 만에 최대 매출을 달성했다.
비비안은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액 2352억 원을 거둬 전년 대비 8% 증가했다고 24일 밝혔다. 반면 적극적인 사업 확장과 신사업 투자로 인해 영업이익은 감소했다.
비비안 관계자는 “원가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홈쇼핑과 미디어 사업부 매출이 대폭 증가했다”면서도 “전체 원가율 및 판관비 증
국내 택스리펀드 기업 글로벌텍스프리(GTF)가 지난해 연결기준 및 별도기준 모두 역대 최대 매출액과 영업이익을 달성했다.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K-뷰티 열풍과 함께 정부의 K-관광 활성화 정책에 힘입어 전년 대비 큰 폭의 성장세를 기록하며 창사 이래 사상 최대 실적을 경신했다.
21일 GTF에 따르면 지난해 별도기준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9
NH투자증권은 코스맥스에 대해 “1분기 한국, 태국 법인의 선전으로 전년 중국, 미국의 높은 실적 기저를 상쇄할 전망”이라며 “현재 별도 법인의 생산능력(CAPA) 증가 타임라인과 수주 동향으로 보아, 분기마다 역대 최대 매출 경신 가능할 것”이라고 했다.
이에 투자의견은 ‘매수’ 및 ODM 업종 탑 픽을 유지, 목표주가는 22만5000원으로 상향 조정
글로벌 팬 커뮤니케이션 플랫폼 기업 디어유가 주주환원 정책을 강화하며 이달 창사 이래 첫 배당을 실시한다고 20일 밝혔다.
디어유는 이날 제8기 정기주주총회를 열고 총 2373만8406주, 1주당 215원씩 총 51억 원을 배당금으로 책정했다. 배당 성향은 약 20%로 지난해 당기 순이익의 20%에 해당하는 금액을 배당으로 지급한다.
디어유는 앞으로
대웅제약과 휴젤, 메디톡스 등 K보툴리눔 톡신 대표기업이 지난해 미용·성형 시장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며 최다실적을 갱신했다. 미용·성형 시장이 지속해서 성장하는 만큼 인수합병(M&A) 형식의 형태로 시장 진출을 노리는 기업이 늘고 있다.
1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휴젤은 지난해 매출 3730억 원, 영업이익 1663억 원을 기록하며 최
스마트폰 35% 성장…주요 가전도 판매↑전기차 약 14만 대 팔려…절반이 4Q 판매
지난해 중국 샤오미 실적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순이익만 무려 41% 급증했다.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백색가전이 큰 성장세를 보였고, 야심 차게 뛰어든 전기차 사업도 예상치를 뛰어넘는 호조세를 보였다. 올해 베이징 전기차 공장 확대까지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셀트리온은 중장기적으로 기업가치를 높이고 주주환원을 극대화하기 위한 내용의 ‘밸류업 프로그램(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18일 발표했다.
셀트리온은 명확한 성장 목표를 시장에 알리고 주주환원 의지와 계획을 제시하고자 이번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밸류업 프로그램은 2027년까지 △매출성장(연평균 매출액 30% 이상 성장) △수익성 개선(자기자본 이익률:
셀트리온(Celltrion)은 중장기적으로 기업가치를 제고하고 주주환원을 극대화하기 위한 내용의 밸류업 프로그램을 18일 발표했다.
셀트리온은 국내 상장기업의 저평가 현상이 이어지고 있는 상황 속에서 명확한 성장 목표를 시장에 알리고 강력한 주주환원 의지와 계획을 제시하고자 이번 프로그램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밸류업 프로그램은 오는 2027년까지 ▲매
코스닥 상장사 FSN은 전년 대비 51% 증가한 매출액 2656억 원을 기록하며 사상 최대 연매출을 달성했다고 17일 밝혔다. 영업이익 역시 8억 원을 기록하며 23년 대비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FSN은 지난해 주요 테크 계열사 지분을 하이퍼코퍼레이션에 매각하고 광고 마케팅, 브랜드 및 플랫폼 상생 사업에 집중하는 형태로 사업구조를 개편했다. 올해 내
폴라리스오피스는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이 전년 대비 156% 증가한 2763억 원을 달성했다고 17일 밝혔다.
2분기부터 폴라리스AI와 폴라리스AI파마가 연결 편입되면서 외형 성장이 본격화됐고, 이에 따라 실적이 크게 상승했다.
건실한 재무구조의 두 회사의 편입으로 자산총계는 지난해 말보다 64% 증가한 5198억 원, 자본총계는 69% 증가한 434
옵티팜이 지난해 매출 196억 원을 기록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는 전년 대비 약 13% 증가한 수치로 3년 연속 창사 이래 최대 매출 기록도 세웠다.
회사 측은 동물진단을 비롯해 동물 약품, 박테리오파지, 메디피그 등 모든 사업 부문이 고르게 성장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지난해는 구제역 검사와 진단키트 등 진단 사업이 호조를 보이면서 매출 상승을 견인
유진투자증권은 더블유게임즈에 대해 신규 사업의 매출 성장 등으로 올해 수익성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투자의견은 ‘매수’ 유지, 목표주가는 기존 6만7000원에서 6만9000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전 거래일 기준 종가는 4만7600원이다.
13일 정의훈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더블유게임즈의 연간 매출액은 2023년 전년 동기 대비 –6%, 2024년
“70년대생 전면 배치‧신산업 대응…올 매출 4000억 달성”지난해 매출 13%↑…3000억 돌파 3년 만에 4000억 눈앞올 2월 단독 대표로 추대…13년 만에 ‘1인 대표’ 체제 복귀그룹별 독자성 부여…“역동적 조직문화로 일류 로펌 도약”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 조직 문화에 바탕을 둔 질적 성장과 매출 규모 확대라는 양적 성장을 균형 있게 추구할 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