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로보틱스가 지난 연말 북미향 자동차 부품 자동화용 자율이동로봇(AMR)을 수주한 데 이어, 새해 들어 추가 수주를 확보했다.
3일 티로보틱스 관계자는 “북미 시장에서 이차전지 배터리 생산 자동화 공정에 이어, 지난해 연말부터 자동차 부품 자동화 공정용 AMR을 잇달아 수주했다”며 “북미 자동차 산업 내 중대형 AMR 점유율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고
K로봇, 제조용 로봇 시장서 두각글로벌 네트워크 영업망 활용…로봇 업계 해외 진출 가속 전망
국내 로봇 업체들이 서비스, 제조, 물류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술력을 인정받으며 글로벌 진출에 속도를 내고 있다. 2030년 약 122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는 미래 로봇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서다.
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3월 31일부터 4월 4일
티로보틱스가 북미 자동차부품자동화공정에 투입되는 자율이동로봇(AMR)을 수주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수주 AMR은 북미 자동차 제조사 공급하고, 부품생산자동화라인에서 주요 부품 이송을 하는 로봇이다.
티로보틱스는 지난해부터 북미 이차전지 공정용 AMR을 대규모로 양산하며 국내외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올해 6월까지도 지속적으로 수주
로봇 전문 기업인 티로보틱스는 제61회 무역의 날을 맞아 '3천만불 수출의 탑'을 수상했다고 12일 밝혔다.
수출의 탑은 정부가 해외시장 개척과 수출 증대에 기여한 국내 기업을 격려하기 위해 매년 수여하는 상으로, 국내 기업들의 글로벌 시장 성과를 기리는 상이다.
티로보틱스는 자율주행로봇(AMR) 및 진공 로봇 등 연간 500억~600억 원대의 제품
티로보틱스가 12일부터 3일간 대전 ICC호텔에서 열리는 ‘대한민국 MRO 국제 컨퍼런스(KMROcon 2024)’에 참가한다.
KMROcon2024는 대전광역시와 (사)한국국방 MICE연구원이 주최하고, 육ㆍ해ㆍ공군과 방위사업청 등이 후원하는 이 행사는 K-방산의 지속가능성을 모색하는 국내 최초의 MRO(유지ㆍ보수ㆍ정비)관련 국제행사다.
이번 컨퍼
로봇 전문회사 티로보틱스가 3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234억 원(QoQ 93.23%↑, YoY 85.81%↑) 영업이익 15억 원을 기록했다고 7일 밝혔다.
별도기준으로는 224억 원의 매출(YoY 91.45%↑), 영업이익 6억 원을 거뒀다.
이 같은 실적은 티로보틱스가 연결기준 10분기, 개별기준 6분 기만의 각 흑자전환성공으로 긴 적자 터널을 지
티로보틱스는 지난 8일 276억 원 규모의 7회차 무기명식 무이권부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CB) 발행을 결정했다고 10일 밝혔다.
전환가액은 8767원이며 전환에 따라 발행할 주식수는 314만8169주로 주식총수대비 15% 규모다. 전환청구기간은 2025년 10월 11일부터 2029년 9월 11일까지이다.
이번 CB발행은 제6회차 신주인수권부사채(B
로봇전문 개발회사 티로보틱스가 그간 국내 고객사에 크린룸 공정용 AMR 로봇을 개발한 후 공정에 투입했고 성공적으로 가동 중이라고 26일 밝혔다.
티로보틱스 관계자는 “이번 AMR로봇은 기존 이차전지 공정용 로봇보다 주행부가 한층 정밀화, 고도화 됐으며 협동로봇과 비전 카메라를 장착해 AMR 로봇이 단순 제품 이송에서 장비 I/F를 통한 이적재까지 담
△LIG넥스원, 방위사업청과 총 2280억 규모 공급 계약
△현대위아, 공작기계사업 매각 추진 보도 관련 '결정된 바 없다' 답변
△한국항공우주, 방위사업청과 1조9610억 규모 공급 계약
△한화시스템, 방위사업청과 1148억 규모 공급 계약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방위사업청과 6662억 규모 공급 계약
△에스케이바이오팜, 에스케이라이프사이언스와 1103억
물류로봇 전문 회사인 티로보틱스는 24일 이차전지 향 물류로봇 대량수주를 받았다고 공시했다.
공시에 따르면 기존 고객사인 이차전지 물류공정 자동화용 물류로봇에 대한 수주이며, 거래처와 금액 등은 비공개했다. 이에 대해 티로보틱스 관계자는 “수주금액이 전년도 매출의 10% 이상이어야만 공시할 수 있는데, 이번 공시는 이 기준금액을 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칩스앤미디어, 주요 사업 내용 및 현황 안내
△티로보틱스, 기업설명회를 통한 투자자 이해 증진
△농우바이오, 2024년 코스닥 小中한 기업 Corporate Day 참가
△제노레이, 2024년 코스닥 小中한 기업 Corporate Day 참가
△제놀루션, 2024 코스닥 小中한 기업 Corporate Day 참가
△에브리봇, 2024년 코스닥 小中한
국내로봇 개발ㆍ제조 전문 업체인 티로보틱스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증착공정용 8.6G 진공로봇의 성능을 조기에 달성하고, 상용화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18일 밝혔다.
티로보틱스가 이번에 개발한 8.6세대 진공로봇은 산업부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이뤄졌다. 4년간 총사업비 215억 원에 이르는 대규모 프로젝트로 국내 대기업을 포함해 여러 업체가
△한전KPS, 2024년 1분기 실적 설명을 통한 기관투자자 이해도 제고
△동아타이어, 개인 및 기관투자자 대상 합병 관련 설명
△티로보틱스, 기업설명회를 통한 투자자 이해 증진
△칩스앤미디어, 주요 사업 내용 및 현황 안내
△오픈놀, 회사에 대한 이해증진 및 기업가치 제고
△랩지노믹스, 미국 분자 진단 시장 현황 및 향후 계획 발표 - 202
티로보틱스가 경기도 오산시 사업장에 AGV/AMR 로봇 생산 시설을 현재의 2배로 확장하는 목표로 스마트 자동화생산 시스템 설계에 돌입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날 티로보틱스에 따르면 지난해부터 대량 수주받은 물류로봇 분야의 수요증가와 디스플레이 산업 회복기로 인한 로봇 수요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생산 캐파(CAPA·생산시설) 증설을 추진한다. AI 기술
◇두산퓨얼셀
한번 더 기다려야 한다
예상보다 더딘 외형 증가 속도
1분기, 연료전지 매출 부진 전망, 고정비 부담 지속 불가피
정연승
NH투자
◇티로보틱스
다가오는 고객사 다변화 시점
연내 물류로봇 신규 수주 기대
중대형 OLED 장비투자 원년
이소중
상상인
◇컨텍
위성 많아질수록 좋다
위성 데이터 종합서비스 전문업체
위성 많아질수록 좋다
이소중
유안타증권은 2일 티로보틱스에 대해 디스플레이 투자 확대와 함께 헬스케어 로봇 등도 준비 중이라며 장밋빛 미래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목표주가와 투자의견은 제시하지 않았다.
권명준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디스플레이 진공로봇과 진공이송모듈 개발 및 제조사업을 영위하고 있는데, 국내 최초로 OLED용 진공로봇을 개발했으며, OLED 6세대, 8세대 제품 라인
증시가 연초부터 부진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중소형 로봇관련주들이 빛나고 있다. 특히 최근 열린 세계 최대 가전·정보기술(IT) 전시회인 ‘CES 2024’에서 삼성전자, LG전자 등 대기업들이 로봇을 신사업으로 채택하고 대규모 투자까지 예고하면서 좋은 흐름이 계속되고 있다.
2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 지수는 연초 2655.28에서 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