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고등학교 1학년이 치르게 되는 2028학년도 서울대 대입에서 내신 영향력이 강화될 전망이다. 입시업계에서는 내신 비중이 높아지겠지만, 합격자 배출 학교 등에 있어서 큰 변화가 있을지는 두고 봐야 한다고 분석했다.
5일 교육계에 따르면 최근 서울대 입학본부는 ‘대입정책포럼’을 열고 ‘2028학년도 대입전형 개편 방안’을 발표했다. 서울대 측은 “의
2026학년도 수능이 300일 앞으로 다가왔다. 올해 수능은 11월 13일 치러질 예정이다. 입시를 처음 겪는 예비 고3 학생들은 대입에 관한 모든 것이 생소할 수 있다. 입시전문기관 진학사의 도움을 받아 예비 고3이 알아야 할 대입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을 알아본다.
대학의 학생 선발 과정은?
대입은 크게 학생부 위주로 선발하는 ‘수시’와 수능 위주
2025학년도 정시모집 원서접수가 오는 31일부터 시작되는 가운데 올해 계열/모집 단위별 탐구 가산점을 부여하는 대학이 크게 늘었다는 점이 정시 지원의 주요 변수가 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입시전문기관 이투스 교육평가연구소의 도움을 받아 탐구 가산점 반영 대학 증가에 따른 입시 전략을 알아본다.
과탐·사탐 가산점 반영 대학 증가
올해 정시 모집부
“정시 눈치싸움 시작”…전체 모집 인원 20.4%인 6만9453명 선발
무전공·첨단학과 등 ‘다’군 선발 대학 증가
‘수능 선택과목 필수 반영’ 폐지 대학 증가
2025학년도 정시모집 원서접수가 이번 달 31일부터 시작된다. 올해 수능은 20년 만에 역대 최고 ‘N수생‘이 참여하고 전 영역이 전년도에 비해 쉽게 출제되면서 정시모집에서 수험생들의 치열한
국민대학교는 2025학년도 정시모집에서 총 1334명(정원 내)을 선발한다. 일반전형 가군에서 674명, 나군 581명, 다군 79명을 선발할 예정이다.
국민대는 올해 전공자율선택제를 신설해 계열 구분 없이 전공 선택의 자율권을 보장하는 유형1로 전국에서 가장 많은 828명을 모집한다. 이중 정시모집에서 선발하는 인원은 728명으로, 가군 인문기술융
서강대학교는 2025학년도 정시모집에서 총 717명을 모집한다. 올해 서강대는 자유전공학부를 신설, 정시 ‘다’군에서 최초 모집한다.
서강대는 ‘나’군에서 Science기반자유전공학부(35명)를 모집하고, ‘다’군에서 인문학기반자유전공학부(47명)와 AI기반자유전공학부(35명)를 모집한다. 해당 학부 학생은 제한 없이 서강대의 모든 전공을 선택할 수
중앙대학교는 2025학년도 정시모집에서 총 모집인원의 44%인 1925명을 선발한다. 가·나·다군 모두에서 학생을 뽑는다.
수능일반전형 ‘다’군에서는 총 1687명을 선발하는 가운데, 전년도와 다른 점은 창의ICT공과대학을 전공개방으로 모집한다. 전공개방 모집으로 들어온 학생은 단과대학으로 합격한 뒤 해당 단과대학에 속한 학과를 선택하게 된다. 선택한 학
올해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서 수학 1등급을 받은 학생 중 자연계 학생은 96%인 것으로 추정됐다. 이번 수능 수학 선택과목에서도 과목별 표준점수 차이가 5점 가까이 나면서 자연계가 무전공 전형 등에 있어서 인문계보다 유리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8일 종로학원에 따르면 이번 수능에서 표준점수 최고점이 미적분은 140점, 기하가 13
지난해 치러진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서 국어, 수학, 영어 등 주요 과목에서 1등급을 받은 학생 비율이 재학생보다 졸업생이 2~3배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표준점수 최고점 격차는 통합수능 도입 이후 가장 작았다.
8일 한국교육과정평가원(평가원)은 이 같은 내용의 ‘2024학년도 수능 성적 분석 결과’를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올해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다소 쉽게 출제되면서 정시모집에서 서울대 의대 합격선(표준점수 기준)이 지난해보다 최대 20점 하락할 것이라는 입시업체들의 분석이 나왔다.
6일 입시업체 메가스터디교육, 종로학원 등에서는 전날 발표된 수능 채점 결과를 토대로 주요 의대 합격 가능 점수를 예측한 결과를 발표했다.
메가스터디교육은 서울대는 414점으로 지
“상위권 점수분포 전년보다 밀집”까다로웠던 사탐…당락 열쇠 되나
지난달 14일 치러진 올해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지난해보다 쉽게 출제된 가운데 최상위권 입시 경쟁은 치열해질 전망이다.
5일 수능 출제기관인 한국교육과정평가원(평가원)에 따르면 주요 과목인 국어와 수학 영역 표준점수 최고점이 지난해보다 10점가량 낮아져 올해 수능은 지난해보다 전 영
표준점수 최고점 국어 139점·수학 140점국어 표준점수 만점자 1055명...전년보다 16배 늘어최상위권 눈치싸움 불가피할듯
이번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은 비교적 평이한 수준으로 출제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명에 불과했던 수능 만점자는 올해 11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이 어려울수록 높게 나타나는 표준점수 최고점은 지난해보다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수학영역에서 교육과정을 벗어난 일명 ‘킬러문항’이 3개 출제됐다는 주장이 나왔다.
교육시민단체 사교육걱정없는세상(사걱세)은 5일 기자회견을 열고 자체 분석 결과 수학영역 공통 22번, 미적분 29·30번이 고교 교육과정의 범위와 수준을 벗어나 출제된 것으로 판정된다고 밝혔다.
이들은 16명의 중·고교 교사와 함께
14일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치러진 가운데 그 난이도에 대해 "물수능에 가깝다. 절대평가인 영어를 제외하고 국어, 수학, 영어 중 수학 한 과목으로만 당락이 결정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15일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작년에는 표준점수 150점으로 나왔던 국어가 현재 136점대라 국어를 잘 풀었던 학
올해 수능은 지난해보다 전반적으로 쉬운 수준으로 출제됐다는 평가다. 올해 의대 입학을 노린 N수생이 대거 유입돼 상위권 변별력 확보가 관건인 가운데 출제본부와 입시업계는 이에 대해 다소 상반된 평가를 내놨다. 최상위권 학생을 겨냥한 적정 변별력 확보와 관련 14일 수능 출제본부는 "N수생 등을 변별할 수 있는 문제가 포함됐다"는 입장이지만, 입시업계는 “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불수능이었던 지난해보다 전반적으로 쉽게 출제됐다는 분석이다. 이번 수능에는 21년 만에 가장 많은 재수생 등 'N수생'이 몰린 가운데 입시업계에서는 최상위권 변별력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14일 2025학년도 수능 출제위원장인 최중철 동국대 교수는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사교
14일 실시된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수학 영역은 작년보다 쉽게 출제됐다는 평가가 나왔다. 이번 수학 영역은 소위 '킬러문항'은 배제하면서도 변별력을 갖춘 문항이 출제된 것으로 분석됐다.
이날 오후 세종시 교육부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EBS 현장교사단 소속 심주석 인천하늘고 교사는 "종합적 사고력이 필요한 문항들이 있어 일부 문항은 다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