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월 분양시장이 지역별로 상반된 흐름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지방 인기 단지에는 청약통장이 몰리며 높은 경쟁률을 기록한 반면 대구 등 미분양 적체가 심한 지역은 대거 미달 되며 지역별 온도 차가 뚜렷한 양상이다.
10일 리얼투데이에 따르면 1월 전국 9개 단지에서 3765가구(특별공급 제외)의 청약 접수가 진행됐다. 이는 전달 공급물량(
이달 전국 분양물량이 지난해 같은 기간의 절반 수준으로 줄어든다. 서울에서 분양하는 단지는 없다.
3일 프롭테크 업체 ‘직방’에 따르면 이달 분양예정 물량은 16개 단지, 총 1만2676가구(일반분양 7821가구)로 조사됐다. 전년 동기(2만5974가구) 대비 51% 적은 물량이다.
권역별로는 수도권 6251가구, 지방 6425가구가 공급된다. 수도권
2025년 1월 분양 시장은 전국적으로 1만여 가구가 공급될 예정이다. 올해 많은 물량을 쏟아낸 건설사들이 공급 시기를 저울질하며 추후 분양을 준비하는 모습이다.
28일 리얼투데이에 따르면 1월 전국에서 총 14곳, 1만646가구(임대 포함, 오피스텔 제외)가 공급되며 이 중 7848가구가 일반 분양될 예정이다. 이는 직전 달(1만2961가구)의 6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은 3기 신도시 사업지인 경기도 고양 창릉지구를 찾아 현장을 점검하고 내년 1월 분양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고 27일 밝혔다.
박 장관은 창릉지구 첫마을 주택착공 현장과 신규 택지인 고양 대곡 역세권 지식융합단지를 방문해 공급 계획과 광역교통 대책 추진 현황을 점검했다.
박 장관은 “빈틈없는 공정관리로 내년 1월 고양 창릉 첫
2025년 새해 첫 달 분양 물량이 1년 전 대비 절반 이상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면서 본격적인 ‘공급 절벽’ 현상이 시작된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20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내년 1월 전국 분양 예정 물량은 총 3750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올해 같은 기간 8608가구에서 무려 56.43% 감소한 수치다.
지역별로는 수도권 465가구, 지
정부가 대출 문턱을 훌쩍 높이며 전국 부동산 시장이 위축을 겪고 있으나 매매액 100억 원 이상의 초고가주택 거래는 오히려 늘었다. 대출이 없어도 주택 구매 여력이 충분한 매수자들이 대부분이라 주택시장 양극화 심화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4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올해(3일 기준) 전국에서 100억 원 이상에 체결된 거래계약은 총
전국 아파트 분양가가 급등하며 사상 최고치 행진을 하고 있다. 고금리와 물가 상승으로 인한 공사비 인상, 부진한 건설 업황이 불러온 인허가 감소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내년부터 제로에너지 건축물 인증제 시행 등 주택 건설 관련 새로운 제도가 도입되면 분양가 상승세는 더욱 심화할 것이란 예측이 나온다.
21일 부동산 정보업체 ‘부동산R114’에
서울 분양시장에서 지하철 7호선의 인기가 뜨겁다. 올해 분양시장에 도전장을 내민 모두 완판 성적표를 받았다. 생활권 주요 주거단지와 핵심 업무지구를 연결하는 7호선의 알짜 선형에 수요가 쏠리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16일 부동산 정보제공업체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해 7호선 역세권에서는 9개 단지가 분양에 나선 단지는 총 9개로 총 1827가구
수도권 아파트 분양전망지수가 40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공급절벽이 예고됐고, ‘얼어 죽어도 신축’이라는 뜻의 신조어인 ‘얼죽신’ 선호 경향이 확산하면서 새 아파트에 대한 수요가 집중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2일 주택산업연구원에 따르면 10월 수도권 아파트 분양전망지수는 121을 기록하며 기준치(100)를 크게 웃돌았다. 이는 2021년 6
경기도 미분양 가구 수가 1만 가구에 육박하면서 시장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서울과 연접해 준서울이라고 불리는 지역은 미분양 가구가 전무하고 가격이 뛰는 반면, 경기 외곽 지역은 미분양 가구 적체와 가격이 하락하는 모습이다.
24일 국토교통부 자료에 따르면 올해 6월 경기의 미분양 가구는 9956가구로 나타났다. 전월보다 1080가구 증가한 가
분양가가 오르고 신축 아파트 공급 물량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면서 내 집 마련 시기를 앞당기려는 수요가 늘고 있다.
14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2022년 전국 분양가는 3.3㎡당 1518만 원이었지만, 올해 1976만 원으로 30.17%(458만 원) 올랐다. 전용면적 84㎡로 환산 시 1억5000만 원 이상 오른 수준이다.
입주 물량은 점점 줄
서울 아파트값과 분양가가 동시에 치솟자 수도권 미분양 단지를 찾는 실수요자가 급증하고 있다.
9일 분양업계에 따르면 ‘더샵 둔촌포레’와 ‘상도 푸르지오 클라베뉴’ 등 서울 내 대표 미분양 단지들은 완판됐거나 완판을 앞두고 있다. 서울 동작구 상도동 '상도 푸르지오 클라베뉴'는 지난해 8월 1순위 청약 당시 전용면적 84㎡ 분양가가 13억~14억 원으로
금호건설은 ‘세종 리첸시아 파밀리에’ 무순위 청약 2가구에 8만4382명이 청약했다고 23일 밝혔다.
전날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서 세종리첸시아 파밀리에 H3블록(산울마을6단지) 무순위 1차 청약을 진행한 결과, 2가구 모집에 8만4382명이 몰려 평균 경쟁률 4만2191대 1을 기록했다.
최고 경쟁률이 나온 타입은 전용 84㎡ B로, 1가구 모집에
서울 서초구 래미안 원펜타스'(신반포15차 아파트 재건축) 분양가가 3.3㎡당 6736만9050원으로 결정됐다. 3년 전 토지 감정평가 결과가 그대로 적용돼 조합이 제시한 7500만 원에는 미치지 못했지만 역대 분양가상한제 적용지역 가운데 최고가를 경신했다.
1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이날 서초구청은 분양가심사위원회를 열고 이같이 결정했다.
원펜타스
포스코이앤씨가 충남 아산에서 ‘더샵 탕정인피니티시티 2차’를 이달 분양할 예정이다.
아산탕정지구 도시개발구역 3블록에 위치하는 더샵 탕정인피니티시티는 지하 2층~지상 최고 35층, 9개동, 총 1214가구 규모로 지어진다. 이 중 1050가구가 일반분양된다. 타입별로는 △70㎡A 560가구 △70㎡B 154가구 △70㎡C 60가구 △84㎡A 188가구 △
올해 전국 분양 단지의 3.3㎡당 분양가 격차가 최대 15배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우리은행 자산관리컨설팅센터 조사에 따르면 연내 분양한 아파트 중 3.3㎡당 가장 높은 가격에 분양한 사업지와 가장 낮은 가격에 분양한 사업지 간 분양가 차이는 15배였다.
지난 1월 분양한 서울 광진구 광장동 ‘포제스한강’의 3.3㎡당 분양가는 1억3770만
올 1분기 아파트 분양권 거래량이 직전 분기보다 증가했다. 전매제한이 없는 지방에서 분양권 거래 증가세가 두드려졌다. 공사비 인상 등 영향으로 분양가가 오르면서 분양권 거래에 눈길을 돌리는 수요자들이 늘어난 영향이지만, 장기적으로 분양권 거래 활성화로 이어지긴 어려울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8일 프롭테크 업체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을 살
경기도 김포와 인천 검단 등 수도권 서부 지역 부동산이 서울 직결 교통 호재로 들썩이고 있다. 서울 강남과 여의도 등 주요 업무지구로의 이동 시간이 짧아지고 편의성도 높아질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7일 건설·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수도권 서부권에 추진 중인 서울 연결 철도교통망은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등을 포함해 총 7개 노선이다.
정부는 1월 김
지난해 분양시장에서 구도심 단지가 강세를 보였다. 청약접수가 많았던 5곳 중 4곳은 구도심이었다. 인프라가 갖춰진 주택 노후화 지역에 신축 아파트가 들어서면서 인기를 끈 것으로 보인다.
22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 분양시장에서 청약접수가 많았던 단지는 △청주 가경아이파크(6만9917건) △둔
지난해 전국 아파트 분양가를 분석한 결과 한 채당 8억4417만 원으로 전년 대비 2억1437만 원(34%)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프롭테크 기업 직방이 전국 분양단지 분양가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올해 1~2월 3.3㎡당 분양가는 2418만 원으로 2034만 원이었던 지난해에 비해 19%가량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권역별로는 수도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