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LB는 31일 대전시 소재 대전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정기 주주총회에서 한용해 HLB그룹 최고기술책임자(CTO) 겸 HLB생명과학 대표를 사내이사로, 양충모 전북대 교수를 사외이사 및 감사위원으로 신규선임했다고 밝혔다.
주총 의장을 맡은 진양곤 HLB그룹 회장은 주총 이후 주주간담회를 통해 최근 미국 식품의약국(FDA)로부터 승인거절을 받은 ‘리보세라닙(
“임직원 모두 전력을 다했으나 이 모든 것은 최고 경영자인 저의 부족함 때문입니다.”
31일 오전 대전 유성구 대전컨벤션센터에서 열린 HLB의 제40기 정기주주총회에서 등장한 진양곤 HLB그룹 회장은 주주들을 향한 사과로 인사말을 갈음했다. 무거운 얼굴로 연단에 선 진 회장은 이달 28일 개인주주단체 임원진을 직접 만난 사실을 언급하며 “죄송하다”고
27일 그룹기술전략회의 개최주요 사업회사 대표 및 그룹 CTO 등 참석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이 “지주사를 중심으로 연구개발(R&D) 조직 간 시너지를 내고 사업 전략과 연계한 기술개발 프로세스를 정립하는 ‘코퍼레이트(Corporate) R&D’ 체제를 구축해 기술 절대우위를 확보하자”고 주문했다.
28일 포스코홀딩스에 따르면 장 회장은 27일 서울
라온피플의 생성형 AI 기술이 국방 및 군사 분야에 활용될 전망이다.
인공지능(AI) 전문기업 라온피플은 최근 국군지휘통신사령부(국통사)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국방 분야에 생성형 AI 기술 적용은 물론 인공지능 실증사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술협력을 추진한다고 27일 밝혔다.
라온피플 본사에서 열린 이번 협약식에서는 △생성형 인공지능 기술의 국방
파수, 보안 높인 sLLM '엘름' 선봬딥페이크 잡아내는 AI 내세우는 샌즈랩지니언스, CAIO 임명…사내 AX에 박차
보안 업계가 자체 역량을 높여 ‘인공지능(AI) 기업’으로의 전환을 꾀하고 있다. 한정된 국내 수요로 정체된 실적을 AI라는 새 먹거리로 개선하겠다는 목표다. 특히 이들은 기존 보안 솔루션으로 데이터 보호를 강화한 모델을 내세우고 있
첨단 로봇자동화 전문기업 유일로보틱스는 청라 신사옥 이전과 함께 차세대 로보틱스 전문기업으로의 도약과 중장기 개발 로드맵 수립을 위해 로보틱스 최고 전문가를 영입하고 차세대 산업용로봇/협동로봇 고도화를 시작으로 휴머노이드 로봇, 피지컬 AI 및 AI 자율주행로봇(AMR 등)분야로의 사업 다각화를 추진하기로 24일 밝혔다.
그 일환으로 로보틱스 업계 최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보완요구서한(CRL)을 재차 수령한 HLB가 문제점 파악 후 빠르면 5월 품목허가를 다시 신청한다. 이와 함께 유럽 허가도 추진해 상업화에 최선을 다한단 방침이다.
진양곤 HLB 회장은 21일 오전 온라인 기자간담회에서 “1차 CRL과 비교하면 2차 CRL이 가벼운 사안”이라며 “빠르면 5월 FDA 재신청을 하고, 7월
고대역폭메모리(HBM) 등 인공지능(AI) 반도체 시장 초기 대응 늦었다. 기술 리더십 부족에 따른 주가 부진 문제를 보이지 않기 위해 내부 역량을 지속 강화하겠다.(전영현 삼성전자 디바이스솔루션(DS)부문장 부회장)
삼성전자가 초기 HBM 시장 대응 지연에 관해 주주들 앞에서 공식으로 사과했다. 삼성전자는 실수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 차세대 제품을 적
아마존웹서비스(AWS)가 한국 스타트업의 인공지능(AI) 전환을 통해 글로벌 시장 진출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아마존웹서비스(AWS)는 18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AWS 유니콘데이 2025'를 열었다. 김영태 AWS 한국 시니어 세일즈 매니저는 "2023년에 AI를 도입해서 실험을 많이 해봤고, 작년에는 그 AI에 도입된 기술검증(PoC)이 실제
프롭테크 기반 종합 부동산관리 기업 에스앤아이코퍼레이션은 디지털 혁신 전문가 양호철 CDO(최고디지털전환책임자)를 영입했다고 18일 밝혔다. '1조 매출' 사업 비전 달성과 성장 가속화를 위한 인재 영입이다.
양호철 CDO는 카카오, NHN 비지니스 플랫폼(현 네이버), 다음커뮤니케이션 등 국내 주요 포털에서 기술 혁신을 주도해 온 전문가다. 카카오에
전영현·송재혁·이혁재 등반도체 전문가 3인 선임 상정‘5만 전자’ 늪…주주들 어떻게 달랠까AI홈·볼리·갤럭시 AI 등 공개
삼성전자가 반도체 전문가를 이사회에 대거 배치하는 등 경쟁력 재건에 돌입한다. 회사가 수개월째 ‘5만 전자’의 늪에서 빠져나오지 못하는 가운데 어떤 주주환원과 전략으로 주주들의 마음을 달랠 수 있을지 주목된다.
16일 삼성전자에 따
LG전자 CTO부문 김래영 책임연구원이 최근 글로벌 이동통신 표준단체 ‘3GPP’에서 ‘SA 총회’ 부의장으로 선임됐다. 이로써 6G 통신 분야에서 기술 리더십을 또다시 보여줬다.
SA 총회는 5G와 6G 이동통신의 시스템 아키텍처 표준화를 주도하는 3GPP 내 핵심 조직이다. 5G 진화 기술 5G-어드밴스드와 미래 통신기술 6G 표준화 논의를 주도한다
코빗이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인 모바일 앱 업데이트를 진행한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앱 업데이트는 가상자산 거래에 꼭 필요한 핵심 메뉴를 전면 개선하고, ‘입출금’ 탭을 메뉴에 추가했다. ‘홈’ 화면과 ‘상품ㆍ투자’ 화면에서는 코빗의 주요 서비스를 빠르게 이용할 수 있도록 편의성도 강화했다.
또한, 투자 손익과 포트폴리오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LG유플러스는 ‘3GPP 6G 워크숍’에서 6G 네트워크 발전 방향과 주요 비전을 발표했다고 12일 밝혔다.
3GPP 6G 워크숍은 글로벌 이동통신 표준화 단체인 3GPP가 주최하는 행사다. 글로벌 이동통신사, 네트워크 장비 제조사, 학계 및 연구기관이 참석해 6G 기술 표준화 논의를 본격화하는 자리다. 이번 행사는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주최로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뷰노(VUNO)는 AI기반 심정지 예측 의료기기 ‘뷰노메드 딥카스(VUNO Med®-DeepCARS®)’의 후속 모델로 진행한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란셋(The Lancet)의 자매지 ‘eClinicalMedicine’ 최신호에 게재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연구의 주제는 중환자실(intensive care unit, ICU)
온디바이스 sLM으로 전력 효율 높여익시오, '액셔너블 AI' 목표…개인화 강화LG AI 연구원과 'AI 윤리' 전방위 협력
LG유플러스가 LG AI연구원과 원팀으로 ‘사람 중심의 인공지능(AI)’ 개발에 주력한다.
양사는 5일(현지시간)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25'가 열린 스페인 바르셀로나 현지에서 간담회를 열었다. 이날 간담회에는 이상엽
AI 로봇부터 5G-A까지… 中, 글로벌 통신 시장 장악글로모 어워즈, 절반 이상 중국 기업이 '싹쓸이'차이나모바일·화웨이, 네트워크 혁신으로 ESG 부문 수상도한국은 5개 부문 수상… SKT '4관왕'으로 존재감 과시
세계 이동통신 전시회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25’가 6일(현지시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올해 MWC2
SKT, '슈퍼 인프라 하이웨이' 선봬AI DC 분야 동맹 구축…글로벌 텔코 얼라이언스 주목'K컬처'에 'AI' 결합한 KTMS와 한국적 AI·시큐어 퍼블릭 클라우드 2분기 공개LG유플러스, '인간 중심 AI'에 방점구글과 익시오 글로벌 진출 위한 파트너십 체결
세계 최대 이동통신 전시회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25'가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한국
송재혁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신임 회장이 "'팀 코리아'처럼 하나의 팀이 돼 움직여야 하며 협회가 그 중심에서 반도체 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끄는 역할을 하겠다"고 강조했다.
송 회장은 5일 경기 성남 더블트리 바이 힐튼 서울 판교에서 열린 2025년도 협회 정기총회에서 "이제 반도체산업은 개별 기업의 힘만으로는 절대 이겨낼 수 없다"며 이같이 밝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