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etoday.co.kr/pto_db/2016/06/20160616094945_888065_489_370.jpg)
서울 분양권 거래량이 MB정부에서 5년이 걸린 기록을 박근혜 정부는 불과 4년 만에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시장 분석업체 부동산인포가 16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 분양권 거래현황을 분석한 결과 박근혜 정부가 집권 4년간 매년 1월~5월 서울 지역 분양권 거래량은 총 6051건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MB정부 집권 5년 1~5월의 분양권 거래량을 합친 4132건보다 46.4% 많은 수치다.
특히 분양권 전매 완화 대책 대부분이 MB정부시절 쏟아진 점을 감안하면 이 같은 거래량 폭등에 분양가상한제 폐지가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MB정부는 집권을 시작한 2008년부터 공공택지 분양가 상한제 적용주택의 분양권 전매기간을 축소시켰다. 2009년에는 수도권 과밀억제권역의 전매제한 최장 7년에서 5년으로 완화조치를 취했다. 강남3구를 제외하고 투기과열지구를 해제했다. 이후에도 분양권 전매기간 완화 조치를 취했지만 분양가상한제 폐지는 끝내 하지 못했다.
결국 지난해 4월 박근혜 정부에 와서야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가 폐지됐다. 분양가상한제 폐지 이후 분양권 거래는 크게 증가해 올해 2분기 서울 분양권 거래량은 이미 2013년, 2014년 연간 거래량을 넘어섰다.
특히 분양가상한제가 폐지된 2015년 2분기부터 분양권 거래가 급증한 모습을 보였다. 분기별 △2015년 1분기 815건 △2015년 2분기 1526건 △2015년 3분기 1065건 △2015년 4분기 1298건 △2016년 1분기 1409건 △2016년 2분기 1672건 등이다. 2013년도의 경우 한 해 동안의 거래량이 1477건인 것과 비교하면 상당한 증가세를 보인 것이다.
올 2분기 분양권 거래량은 현재 박근혜정부 들어 분기별 최대 거래량을 기록하고 있다. 6월말까지 거래량이 포함되면 2분기 거래량은 2000여건 기록도 가능할 전망이다. 이는 서울 분양권 거래 조사가 시작된 2006년 이후 분기별 최대 수준이다. 직전까지는 올해 1분기 1409가구가 최고였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은 “공공택지가 거의 없는 서울에서는 민간택지의 분양가상한제 폐지는 분양권 전매에 날개를 달아준 격으로 분양물량 증가와 맞물려 분양권 거래도 함께 증가했다”라면서 “최근에는 재건축 등의 정비사업 분양이 인기를 끌며 주변 아파트값 상승과 분양가 상승에도 영향을 주고 있어 하반기 예비청약자나 분양권 전매를 고려한 수요자들은 자금 부담이 커질 전망이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