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은행들이 마케팅을 위해 무차별적으로 문자메시지 광고를 보내고 있어 이용자 불만을 사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의원은 18일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에 대한 종합 국정감사에서 “범람하는 은행 대출 문자로 피해를 입는 소비자를 위해 통신 광고의 적절한 운영을 위한 시행령 및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박 의원이 금감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은행사별 문자메시지 발송 현황’에 따르면 올해 들어 8월까지 전국 은행이 보낸 문자메시지 가운데 대출과 같은 마케팅 목적의 광고 메시지는 7553만 건에 달한다. ‘연체’와 관련한 것은 1990만 건이다.
박 의원은 “마케팅 문자메시지 관리를 하지 않아 발송 건수를 확인할 수 없는 곳을 포함할 경우 마케팅 목적의 문자메시지 수치가 최대 1억 건에 이를 것”으로 추정했다.
그는 “최근 가계부채 급증 상황에서 소비자에게 대출을 말라고 권고하면서 은행들은 대출 심리를 자극하는 마케팅 문자를 보내고 있다”면서 “금융당국은 가계부채 완화 대책을 마련한다고 했지만 이런 부분에서 개선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