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 잘되는 국가기술자격증 1위는?

입력 2019-07-11 1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고용노동부, 워크넷 구인광고 분석…1위 지게차운전기능사, 2위 건축기사, 3위 한식조리기능사

(고용노동부)
(고용노동부)

기업들이 사람을 뽑을 때 가장 많이 찾는 국가기술자격은 지게차운전기능사였다.

11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해 워크넷의 구인광고 약 118만 건을 분석한 결과, 자격과 관련된 구인 건수는 28만1675건(23.8%)으로 4건 중에 1건 정도는 채용할 때 자격을 요구하거나 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게차운전기능사, 건축기사 등 국가기술자격을 요구하는 구인 공고는 8만4893건으로 전체의 7.2%, 요양보호사와 자동차운전면허 등의 기타 자격을 요구하는 경우는 19만6782건으로 16.6%였다.

구인 공고가 많은 국가기술자격은 20선은 지게차운전기능사, 건축기사, 한식조리기능사, 전기기사, 직업상담사2급 등이었다.

제조업, 도매 및 소매업 등의 모든 업종에서 필요로 하는 지게차운전기능사가 1위에 올랐다. 이어 건축기사, 한식조리기능사 순이다.

전기 분야는 전기기사 4위, 전기산업기사 6위, 전기기능사 7위, 전기공사산업기사 12위, 전기공사기사 18위로 5개 자격이 포함돼 취업할 때 자격증을 가진 자가 유리한 분야로 볼 수 있다.

서비스 분야의 자격은 직업상담사2급이 8위, 컴퓨터활용능력 2급이 15위로 구인 공고에서 자주 언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인 공고에서 가장 많이 요구하는 자격증 1위는 자동차운전면허다. 운전면허는 6만8500건의 구인 공고가 있었다. 이어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에서 요구되는 요양 보호사, 사회 복지사, 간호 조무사, 보육 교사 순으로 인기가 높았다.

국가기술자격의 응시자와 취득자는 매년 늘고 있다. 지난해 응시자는 약 349만 명으로 전 년보다 약 7만 명이 늘었고, 취득자는 약 69만 명으로 약 1만 명이 증가했다.

장신철 고용노동부 직업능력정책국장은 "그동안 자격 취득자에 대한 분석은 있었지만 정작 기업이 어떤 자격증을 찾는지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는 노력은 부족했다"며 "앞으로는 자격 취득자의 취업률, 실제 취업한 기업의 규모와 업종, 평균 연봉 등 자격 취득을 준비하는 구직자가 알고 싶은 정보를 파악해 제공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가기술자격의 효용성 평가에도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플레이브가 방송 못 나온다고?"…때아닌 버추얼 아이돌 논란, 왜? [이슈크래커]
  • '김새론 사망'에 악플러들 비판…"악플 문제, 제도장치 마련해야"[이슈크래커]
  • 금 뜨자 주목받는 은…"아직 저렴한 가격"
  • 단독 ‘백약이 무효’ 작년 상반기 보험사기액 6028억…올해 최대치 경신 전망
  • 상승 재료 소진한 비트코인…9만6000달러 선에서 횡보 [Bit코인]
  • [날씨] 다시 찾아온 '추위'…아침 최저 -8도
  • 트럼프 “러·우 둘다 싸움 멈추길 원해…푸틴과 매우 곧 만날 것”
  • 월세 내기 빠듯한 청년들 위한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제도, 신청 자격은? [경제한줌]
  • 오늘의 상승종목

  • 02.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828,000
    • -0.12%
    • 이더리움
    • 4,231,000
    • +4.49%
    • 비트코인 캐시
    • 505,000
    • +1.65%
    • 리플
    • 4,095
    • +0.05%
    • 솔라나
    • 280,800
    • -2.33%
    • 에이다
    • 1,239
    • +7.37%
    • 이오스
    • 980
    • +2.94%
    • 트론
    • 369
    • +1.65%
    • 스텔라루멘
    • 521
    • +1.17%
    • 비트코인에스브이
    • 60,800
    • +2.18%
    • 체인링크
    • 29,620
    • +4.63%
    • 샌드박스
    • 616
    • +4.4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