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지털 기술은 핸드폰 및 각종 전자 제품 등 다양한 분야에 접목되면서 우리의 일상 깊숙한 곳에 자리매김했고, 치과에도 접목되어 디지털 덴티스트리라 불리며 활용되고 있다. 디지털 덴티스트리를 통해 2D 장비 및 수작업으로 진행되었던 아날로그 방식에서 3D 장비를 활용한 디지털 방식으로 진료가 가능해지면서 보다 정밀하고 안정성 높은 치료를 받을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디지털 장비 및 디지털 기술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발전되어 온 분야는 임플란트 및 일반 보철기공 파트다. 임플란트의 경우 과거에는 환자의 골양과 같은 환자의 구강 내부 상태를 정밀하게 파악하기 힘들어 치과의사의 감각과 경험, 기술에 대한 의존도가 높았었다. 때문에 환자의 협조도나 치과의사의 실력 및 당일 컨디션에 따라 시술 결과가 달라질 수 있었고, 임플란트 식립 시 mm 단위의 오차가 생겨 사후 부작용이 발생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또한, 메스를 이용하여 잇몸을 절개하기 때문에 통증과 출혈, 붓기가 동반되어 감염의 위험도가 높다는 단점도 있었는데, 요즘에는 첨단 디지털 장비 및 시스템을 활용하여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네비게이션 임플란트가 등장하면서 기존 임플란트 치료가 지니고 있던 단점을 보완할 수 있게 되었다.
네비게이션 임플란트란 3D CT 촬영을 통해 치조골(잇몸뼈)과 신경 위치의 정보 등 환자의 구강 상태를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고, 컴퓨터 모의 수술을 통해 최적의 식립 위치 및 수술 방법을 계획할 수 있으며 맞춤형 가이드를 제작하여 계획한 위치에 오차 없이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술식을 뜻한다.
이에 대해 최승희 양천구 연세늘봄치과 대표원장은 “네비게이션 임플란트는 기존 임플란트 수술과는 달리 잇몸의 절개 없이 임플란트가 들어갈 수 있을 정도의 작은 구멍만 내어 수술을 진행한다. 때문에 통증이 적고 치료 시간 및 치과 내원 횟수가 적으며 회복 기간이 짧아 고령의 환자나 전신질환자, 직장인들도 큰 부담 없이 시술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라고 전했다.
이어 “다만, 네비게이션 임플란트를 진행하기 위해선 기본적으로 첨단 장비 및 디지털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사전에 이러한 점을 살펴봐야 한다. 또 아무리 장비가 좋아도 결국 그 장비를 다루고 실제로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것은 사람이니, 임상경험이 풍부한 의료진이 상주하고 있는지 또한 살펴봐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