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 은행, 주담대 한달새 4.4조↑…가계대출 9개월 연속 증가

입력 2024-02-01 15:4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가계대출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다. 주택담보대출은 한 달 만에 4조 원 이상 불어나면서 잔액 증가폭이 확대됐다.

1일 은행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주담대 잔액은 1월 말 기준 534조3251억 원으로 전월(529조8922억 원)보다 4조4329억 원 늘었다. 지난해 월별 주담대 최대 증가 규모였던 11월 4조9958억원보단 적지만, 12월 3조6699억 원보다는 증가폭이 확대됐다.

가계대출 증가세도 이어지고 있다. 1월 말 가계대출 잔액은 695조3143억 원으로 전월(692조4094억 원)보다 2조9049억 원 늘었다. 지난해 가계대출 잔액 증가폭은 △10월 3조6825억 원 △11월 4조3737억 원으로 연중 최대치를 기록하다 △12월 2조238억 원으로 절반가량 줄어든 바 있다.

전세자금 대출과 신용대출 잔액은 모두 감소했다. 전세자금 대출 잔액은 지난달 말 기준 120조7411억 원으로 한 달 전(121조605억 원)보다 3194억 원 줄었다. 신용대출 잔액은 1월 말 기준 105조4611억 원으로 전월(106조4851억 원)보다 1조240억 원 감소했다.

기업대출은 770조1450억 원으로 전월(767조3139억 원)보다 2조8311억 원 늘었다. 기업 규모별로 보면 대기업 대출 잔액이 136조4284억 원에서 138조9484억 원으로 한 달 새 2조5200억 원 증가했다. 중소기업 대출 잔액은 630조8855억 원에서 631조1966억 원으로 3111억 원 늘었다.

5대 은행의 총수신 잔액은 증가했다. 총수신 잔액은 지난달 말 기준 1961조344억 원으로 집계됐다. 전월 1951조3753억 원에서 9조6591억 원 늘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정기예금 잔액은 지난해 12월 말 849조2957억 원에서 862조6185억 원으로 13조3228억 원 늘었다. 같은 기간 정기적금은 45조8632억 원에서 46조4876억 원으로 6244억 원 증가했다. 반면 요구불예금은 같은 기간 616조7480억 원에서 590조7120억 원으로 26조360억 원 감소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플레이브가 방송 못 나온다고?"…때아닌 버추얼 아이돌 논란, 왜? [이슈크래커]
  • '김새론 사망'에 악플러들 비판…"악플 문제, 제도장치 마련해야"[이슈크래커]
  • 금 뜨자 주목받는 은…"아직 저렴한 가격"
  • 단독 ‘백약이 무효’ 작년 상반기 보험사기액 6028억…올해 최대치 경신 전망
  • 상승 재료 소진한 비트코인…9만6000달러 선에서 횡보 [Bit코인]
  • [날씨] 다시 찾아온 '추위'…아침 최저 -8도
  • 트럼프 “러·우 둘다 싸움 멈추길 원해…푸틴과 매우 곧 만날 것”
  • 월세 내기 빠듯한 청년들 위한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제도, 신청 자격은? [경제한줌]
  • 오늘의 상승종목

  • 02.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4,875,000
    • -1.28%
    • 이더리움
    • 4,056,000
    • -0.52%
    • 비트코인 캐시
    • 490,400
    • -2.12%
    • 리플
    • 3,992
    • -4.57%
    • 솔라나
    • 274,000
    • -6.23%
    • 에이다
    • 1,197
    • +1.79%
    • 이오스
    • 947
    • -1.76%
    • 트론
    • 371
    • +2.77%
    • 스텔라루멘
    • 508
    • -2.87%
    • 비트코인에스브이
    • 60,050
    • +0.25%
    • 체인링크
    • 28,380
    • -0.94%
    • 샌드박스
    • 588
    • -1.1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