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 산업화 원년"…정부, 예산 1980억 투입해 산업 육성한다

입력 2025-02-05 12:00 수정 2025-02-05 13:4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사진제공=과학기술)
(사진제공=과학기술)
정부가 양자과학기술 생태계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올해 예산을 전년 대비 51.4% 증가한 1980억 원으로 책정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5일 2025년 15개 사업 32건 신규 과제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양자과학기술은 미래 산업의 판도를 바꿀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으며 3대 게임체인저 기술 중 하나로 중점 투자하고 있다. 2025년 양자과학기술 관련 전용 예산은 1980억 원이며 총 24개 사업이 진행된다. 그 중 15개 사업에서 32건의 과제가 새롭게 시작될 예정이다.

새롭게 추진되는 주요 사업 중 하나는 ‘양자컴퓨팅 서비스 및 활용체계 구축’ 사업이다. 이 사업은 성능이 검증된 양자컴퓨터를 국내에 설치하고, 이를 연구현장에 제공하여 양자컴퓨팅 기술의 상용화를 가속화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양자통신 소재의 국산화와 기술 개발 자립화를 통해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는 ‘퀀텀 ICT 엔지니어링 기술 개발(통신)’ 사업과, 미래 양자기술 기반이 되는 새로운 계측 방법론을 연구하는 ‘양자정보 계측방법론 및 원천기술 개발(퀀텀 메트롤로지)’ 사업도 새롭게 추진된다.

‘양자과학기술 글로벌 파트너십 선도 대학 지원’ 사업을 통해 국내 대학의 글로벌 파트너십을 활용, 양자과학기술 분야에서 국제 협력을 전략적으로 확대하고 세계 수준의 양자 기술 확보를 위한 기반을 다질 예정이다. 이를 바탕으로 글로벌 선도대학 간 국제 협력 플랫폼을 구축하여 양자 전문가들이 자유롭게 교류하고 협력하는 생태계를 조성할 계획이다.

양자 연구거점 2곳을 선정하는 ‘퀀텀 플랫폼 사업’도 올해 시작된다. 이 사업은 출연연을 중심으로 산학연이 협력하여 양자 연구 거점을 운영하고, 이를 통해 R&D, 인력 양성, 인프라 구축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차세대 양자 연구 거점과 양자 활용 연구 거점 각 1개 기관을 선정하고, 거점별로 ‘개방형 양자 공동연구실(Joint Quantum Lab)’을 운영하여 산학연 공동연구를 통한 양자 핵심인력 양성과 인프라 구축을 지원한다.

권현준 과기정통부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올해는 UN이 지정한 양자의 해로 양자산업화의 원년으로 삼아, 기초원천 기술개발과 더불어 산업화 준비를 철저히 해 나가겠다” 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삼성전자, 차세대 RGB 마이크로 LED TV 연내 출시한다
  • 취업만 되면 어디든 다니겠다는 취준생들…"원하는 연봉은 3400만 원" [데이터클립]
  • "밴댕이 소갈딱지"…속 좁은 그 생선을 아시나요? [레저로그인]
  • 불확실성 커지는 요즘…금테크로 안전자산 투자해볼까 [경제한줌]
  • “시계 부품회사에서 로봇까지”... 엡손 84년간 ‘성공 신화’ 살펴보니 [르포]
  • 넷플릭스 ‘중증외상센터’는 허구일까? [해시태그]
  • "1년 동안 기다렸는데"…'파피 플레이타임 4', 혹평 쏟아진 '진짜 이유' [이슈크래커]
  • 트럼프, 시진핑과 통화 무산...관세전쟁 장기화 조짐에 ‘트럼플레이션’ 위기감
  • 오늘의 상승종목

  • 02.0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2,064,000
    • -1.64%
    • 이더리움
    • 4,289,000
    • +1.06%
    • 비트코인 캐시
    • 512,500
    • -0.1%
    • 리플
    • 3,909
    • -1.31%
    • 솔라나
    • 317,100
    • -1.7%
    • 에이다
    • 1,166
    • +0.52%
    • 이오스
    • 960
    • +5.15%
    • 트론
    • 352
    • +2.62%
    • 스텔라루멘
    • 530
    • -0.93%
    • 비트코인에스브이
    • 63,550
    • +0.71%
    • 체인링크
    • 30,320
    • -2.04%
    • 샌드박스
    • 623
    • +1.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