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화방지 식단으로 한끼...‘혈당관리·고단백 식품’ 불티[저속노화 열풍]

입력 2025-02-11 05:0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본 기사는 (2025-02-10 18:35)에 Channel5를 통해 소개 되었습니다.
식품업계, 건강한 맛 '웰니스 제품' 속속 출시

CJ '햇반 웰니스ㆍ라이스 플랜' 돌풍
롯데 '제로'도 맛있는 간식·건강 충족
현대그린푸드 '헬씨에이징'·동원 '하루미' 선봬
"중장년층 관심 넘어 젊은층까지 확대"

#맞벌이부부 직장인 김형철(49) 씨는 최근 TV에서 '저속노화' 관련 방송을 보고, 2월 식단을 새로 짜기 시작했다. 뽀얀 흰쌀밥을 좋아했던 그는 아침 식사 한 끼는 닭가슴살곤약볶음밥으로 대체했다. 매일 일일이 밥 짓기 힘든 아내를 위해 새벽배송 전문 이커머스 '컬리'를 이용해 1주일치 간편식을 주문하고 있다. 예전보다 다소 비용은 들지만, '건강하게 천천히 늙어가는 삶'을 위한 작은 투자라고 생각한다.

저속노화 바람이 불면서 김 씨처럼 건강한 밥상을 원하는 이들이 ‘웰니스(wellness) 식품’을 잇달아 찾고 있다. 건강한 음식 섭취에 대한 관심이 중장년층은 물론 젊은층까지 확장하면서 관련 상품 수요가 급격히 늘고 있다. 식품업계는 노화의 주범인 비만·당뇨를 야기하는 단순당류ㆍ칼로리 등을 줄이거나 없앤 상품, 통곡류와 채소 위주의 간편식을 잇달아 선보이고 있다.

9일 식품업계에 따르면 CJ제일제당 ‘햇반 웰니스 제품군’의 지난해 평균 매출이 전년 대비 두 자릿수 증가했다. 대표 제품인 곤약밥과 솥반의 매출은 전년보다 각각 29%, 27% 늘었다. 현미귀리곤약밥, 귀리흑미·병아리콩퀴노아·렌틸콩퀴노아 등 곤약밥은 적은 칼로리가 최대 장점. 체중관리를 원하는 소비자들에게 입소문을 타고 현재까지 1860만 개 넘게 팔렸다. 햇반 솥반도 2021년 5월 출시 이후 누적 판매량 3000만 개를 돌파하며 인기다.

특히 CJ제일제당은 저속노화 열풍의 주인공 정희원 서울아산병원 노년내과 교수와 손잡고 작년 11월 ‘햇반 라이스플랜’을 출시, 라인업 확장에 나섰다. 정 교수가 추천한 레시피를 그대로 적용, 식이섬유와 식물성 단백질 구성에 공들인 렌틸콩현미밥과 파로통곡물밥을 선보였다. 식후 혈당 상승 억제, 혈중 중성지질 개선에 도움 되는 성분도 넣었다. 이들 제품은 출시 3개월 만에 70만 개 이상 팔리며 기염을 토했다.

롯데웰푸드가 2022년 5월 론칭한 무설탕·무당류 브랜드 ‘제로(ZERO)’도 맛있는 간식과 건강이란 두 마리 토끼를 다 잡고 싶은 소비자 욕구를 충족시키며 2년 넘게 돌풍을 이어가고 있다. 아이스크림부터 과자류 등까지 모두 19개의 제로 제품이 나왔는데, 작년에만 매출 500억 원을 달성했다. 올해 1월 기준 누적 매출은 1000억 원을 돌파했다. 특히 핵심 상품 ‘제로 초코파이’는 출시 50일 만에 600만 봉이 팔렸다.

KGC인삼공사의 정관장이 작년 10월 출시한 혈당 케어 전문 브랜드 ‘지엘프로(GLPro)’ 제품군은 한 달 만에 2만 세트나 팔렸다. 혈당 관리에 집중한 ‘지엘프로 코어’와 혈당과 체지방 조절에 도움을 주는‘지엘프로 더블컷’ 두 제품 모두 정관장 홍삼이 주원료다. 그동안 시장 침체였던 홍삼 시장에 새 활로를 열었다는 평가다.

현대백화점그룹 계열사인 현대그린푸드는 케어푸드 전문 브랜드 ‘그리팅’을 통해 저속노화 관련 상품을 잇달아 선보이고 있다. 통곡류와 단백질 위주의 ‘헬씨에이징(Healthy Aging)’ 식단이다.

가쓰오 간장 닭조림 적두 홍국밥, 돼지고기 가지 덮밥 적두 홍국밥, 매콤 마늘 코다리찜 렌틸 귀리밥 등 총 5개 제품이다. 혈당을 높이는 백미 대신 렌틸콩·녹두·귀리 등을 활용해 당은 낮추고, 생선·닭고기 등 단백질 비율을 높였다. 또 건강에 좋은 불포화지방산 섭취를 위해 올리브유로 조리했고, 대사증후군 위험을 높이는 포화지방산은 총열량의 10% 미만으로 설계했다.

동원F&B도 양념 전문 브랜드 ‘하루미’를 새롭게 론칭, 저당 레시피 트렌드에 맞춘 양념 소스 4종을 출시했다. 대체당인 알룰로스를 활용해 업계 평균 대비 당 함량을 절반 이상 줄인 점이 특징이다.

식품업계 관계자는 “기존엔 중장년층 등이 주로 웰니스 상품들을 주로 찾았지만, 최근 저속노화 열풍으로 관련 제품들을 찾는 연령대도 낮아지며 대중화가 뚜렷하다”라고 말했다.

▲저속노화 관련 식품업계 개발 제조 현황  (이투데이 그래픽팀=김소영 기자)
▲저속노화 관련 식품업계 개발 제조 현황 (이투데이 그래픽팀=김소영 기자)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화제성 떨어지는 아시안게임, 'Z세대' 금빛 질주가 기 살렸다 [이슈크래커]
  • 단독 4대궁·종묘 관람객 지난해 1300만 '역대 최대'…외국인 첫 300만 돌파
  • '최강야구' 클로징, 하와이 전지훈련 확정…이번 시즌 MVP는?
  • 트럼프, 철강·알루미늄 관세 25% 부과 발표…“반도체·자동차도 검토”
  • 국내주식, 어디다 투자해야 할지 모르겠다면…국민연금 포트폴리오 참고해볼까 [경제한줌]
  • "대전 초등생 피습 가해교사, 교육청 현장 지도 나간 당일 범행"
  • 단독 첨단학과 '수도권 쏠림’ 사실로...경쟁률 지방의 3배 이상 [첨단인재 가뭄]
  • '2025 정월대보름' 부럼과 오곡밥을 먹는 이유 [그래픽 스토리]
  • 오늘의 상승종목

  • 02.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7,989,000
    • +0.03%
    • 이더리움
    • 4,076,000
    • +1.6%
    • 비트코인 캐시
    • 511,500
    • +1.69%
    • 리플
    • 3,757
    • +2.37%
    • 솔라나
    • 306,000
    • -0.97%
    • 에이다
    • 1,205
    • +13.79%
    • 이오스
    • 974
    • +0.21%
    • 트론
    • 373
    • +3.32%
    • 스텔라루멘
    • 503
    • +4.79%
    • 비트코인에스브이
    • 61,100
    • +3.04%
    • 체인링크
    • 29,290
    • +2.92%
    • 샌드박스
    • 612
    • +4.2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