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머스크, 국방부 감사에서 수천억 달러 되찾을 것"

입력 2025-02-10 09:2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美 국방부 연간 예산 약 1460조 원
"국방부 수천억 달러 지출 살펴볼 것"
안보보좌관 "조선업 살펴볼 게 많아"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로이터연합뉴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로이터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정부효율부가 국방부 감사를 통해 수천억 달러에 달하는 지출과 권력남용 등을 바로 잡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맞서 미국 연방공무원 노조 등은 "일론 머스크의 정부효율부는 국방부를 개편할 만큼 전문적이지 않다"라며 "이들이 국방부의 주요 기밀을 노출시킬 위험도 크다"고 반발했다.

9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은 트럼프 대통령의 폭스뉴스 인터뷰를 인용해 "일론 머스크의 정부효율부가 교육부에 이어 국방부의 비합리적인 자금사용과 권력 남용 등을 확인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어 "국방부 지출을 따져보기 위해 머스크의 정부효율부 보좌진이 기관의 컴퓨터 시스템에 접근을 시도 중"이라고 보도했다.

해당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국방부에서 수십억, 수천억 달러 규모의 사기와 직원남용을 찾아낼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국방부 1년 예산은 연간 1조 달러(약 1460조 원)에 달한다.

앞서 일론 머스크는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에 따라 이미 연방 정부의 지출과 공무원의 규모를 줄이는 데 착수했다. 이에 따라 인도주의적 원조전담 조직인 '국제개발처(USAID)'의 단계적 해체도 추진 중이다. 1만여 명에 달했던 USAID 직원도 수백 명 수준으로 감축할 계획이다.

국가 안보 보좌관 마이크 왈츠 역시 이날 언론 인터뷰를 통해 "정부효율부는 국방부 지출에서 특히 해군 함정 건조과정에 관심을 두고 살펴볼 것"이라며 "전반적으로 불필요하게 예산이 부풀려진 곳"이라고 지목했다. 그는 "조선업의 경우 정말 엉망진창이어서 살펴볼 게 많다"라고 거듭 강조했다.

민주당과 공무원 노조는 "머스크의 정부효율부가 펜타곤을 살펴볼 만큼 전문적이지 않다"라며 "그들의 노력은 국방부의 기밀 프로그램을 노출시킬 위험도 있다"고 반발했다.

로이터통신은 "스페이스X를 비롯해 머스크 소유 기업들이 미국 국방부와 주요 계약을 맺고 있다"라며 "이로 인해 상당한 이해 상충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4대궁·종묘 관람객 지난해 1300만 '역대 최대'…외국인 첫 300만 돌파
  • '최강야구' 클로징, 하와이 전지훈련 확정…이번 시즌 MVP는?
  • 트럼프, 철강·알루미늄 관세 25% 부과 발표…“반도체·자동차도 검토”
  • "대전 초등생 피습 가해교사, 교육청 현장 지도 나간 당일 범행"
  • 단독 첨단학과 '수도권 쏠림’ 사실로...경쟁률 지방의 3배 이상 [첨단인재 가뭄]
  • 이상민 “위헌이라고 생각한 국무위원 없었다”…단전·단수 지시도 부인
  • 늙어도 천천히, 건강하게...안티에이징 넘어 ‘저속노화’로 [저속노화 열풍]
  • "고수익 보장합니다" 유사수신 사기 SNS·유튜브서 기승
  • 오늘의 상승종목

  • 02.11 14:49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8,270,000
    • +0.4%
    • 이더리움
    • 4,079,000
    • +1.75%
    • 비트코인 캐시
    • 512,500
    • +2.85%
    • 리플
    • 3,764
    • +3.26%
    • 솔라나
    • 308,500
    • +0%
    • 에이다
    • 1,208
    • +14.61%
    • 이오스
    • 1,000
    • +6.04%
    • 트론
    • 370
    • +4.82%
    • 스텔라루멘
    • 498
    • +4.62%
    • 비트코인에스브이
    • 61,450
    • +2.59%
    • 체인링크
    • 29,400
    • +3.89%
    • 샌드박스
    • 620
    • +6.5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