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실채권 비율 0.02%p↑…中企 대출 문턱 높아져
![](https://img.etoday.co.kr/pto_db/2025/02/600/20250210163407_2135008_1199_332.jpeg)
은행권이 지난해부터 늘려온 기업 대출이 건전성을 위협하는 부메랑이 됐다.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4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평균 연체율은 지난해 말 기준 0.29%로 전년 동기(0.25%) 대비 0.04%포인트(p) 상승했다.
은행별로 국민은행은 지난해 말 기준 0.29%로 1년 전보다 0.07%p 올랐다. 같은 기간 신한은행은 0.26%에서 0.27%로 0.01%p 상승했다. 하나은행과 우리은행의 연체율은 모두 0.26%에서 0.30%로 0.04%p씩 높아졌다.
부실채권을 의미하는 고정이하여신(NPL) 비율도 심상치 않다. 4대 은행의 평균 NPL 비율은 0.27%로 전년 대비 0.02%p 올랐다. 국민은행은 전년 대비 0.01%p 오른 0.32%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하나은행, 우리은행이 각각 0.03%p, 0.05%p 상승한 0.29%, 0.23%로 뒤를 이었다. 신한은행은 전년과 같은 0.24%를 유지했다.
이들 은행의 건전성이 악화한 것은 기업대출이 확대된 탓이 크다. 지난해 금융당국이 가계대출 증가세를 막기 위해 압박하자 은행권은 기업대출을 늘리는 식으로 대출 포트폴리오를 조정해 왔다.
지난해 12월 말 기준 4대 은행을 포함한 국내 은행의 기업대출 잔액(개인사업자 대출 제외)은 715조496억 원으로 1년 만에 52조2072억 원 증가했다. 기업대출 연체율도 상승했다. 국내 은행의 기업대출 연체율은 지난해 11월 기준 0.6%로 1년 전(0.52%)과 비교해 0.08%p 올랐다.
대내외 불확실성 증가로 올해도 은행 연체율은 상승 곡선을 그릴 전망이다. 한국은행의 피벗(통화정책 전환)에도 금리 수준이 여전히 높고, 소비 심리 위축으로 인한 내수 침체 장기화, 정국 불안, 미국 트럼프 2기 출범 이후 대외적인 불확실성까지 악재가 겹치며 기업 부실화가 급속도로 진행될 가능성이 크다.
기업 대출 쏠림 현상 우려도 있다. 은행권은 건전성 관리를 위해 중소기업 대출 문턱을 높이고 있다. 연체 위험이 큰 중소기업 대신 상대적으로 우량한 대기업을 중심으로 영업을 확대하고 있다. 지난달 기준 국내 은행의 대기업 대출 잔액은 163조996억 원으로 1년 만에 17.4% 증가했다. 같은 기간 중소기업 대출 잔액은 631조1966억 원에서 662조621억 원으로 5.0% 늘어나는 데 그쳤다.
은행권도 건전성 확보가 발등의 불이다. 우선적으로 대손충당금을 쌓고 있다. 지난해 9월 말 기준 4대 은행의 대손충당금 적립 잔액은 8조1320억 원으로, 2016년 9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으로 집계됐다.
그러나 대손충당금 적립률은 하락하고 있다. 부실채권 대비 대손충당금 적립 비율 평균은 2023년 12월 246.35%에서 지난해 9월 205.43%로 40.92%p 낮아졌다. 충당금 적립 속도가 부실채권이 늘어나는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는 뜻이다.
부실채권을 상·매각해 털어내는 전략도 쓰고 있다. 지난해 5대 은행은 7조1019억 원 상당의 부실채권을 상·매각했다. 2022년보다 3배가량 많은 규모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당분간 시장 상황을 모니터링하면서 수익성 관리에 집중하고 연체 채권 관리 강화 등을 통해 건전성 개선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고금리, 고물가, 고환율 영향으로 연체율 등 건전성이 악화한 것”이라며 “2월 금리 인하 가능성이 언급되고 있어 금리가 떨어지면 연체율은 진정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