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인 “與, 극우와 같이 가면 재집권 못해...한동훈 제일 확장성 있어”

입력 2025-02-11 14:2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김종인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12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트럼프 당선과 한국정치의 과제를 주재로 특강을 하고 있다. 2024.11.12.  (뉴시스)
▲김종인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12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트럼프 당선과 한국정치의 과제를 주재로 특강을 하고 있다. 2024.11.12. (뉴시스)

김종인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11일 국민의힘 의원 일부가 8일 대구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 반대’ 집회에 참석한 것과 관련해 “국민의힘이 극우 집회에 참여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했다.

김 전 위원장은 이날 SBS 라디오 인터뷰에서 “극우세력은 항상 과거에 집착하는 사람들이다. 그 사람들과 같이 가서는 당에 희망이 없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 전 위원장은 “5만 명이 모여 집회를 했다고 대단한 성과가 있는 것처럼 생각하는데, 대구·경북 지역은 원래 국민의힘 의원들이 지배하는 지역 아니겠냐”라며 “그 자체로 보수가 결집했다고 생각하고 이를 대단한 세력으로 과시하는 것은 잘못된 판단”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민의힘이 획기적인 변화를 하지 않는 이상 재집권하기는 굉장히 힘들다”며 “지금처럼 막연하게 보수만 외쳐서는 집권이 불가능하다”고 단언했다. 또 “과거에 내가 국민의힘의 비대위원장으로 있을 적엔 개인적으로 참여하는 것에 대해서도 상당히 경고성의 주의를 주고 그랬었다”며 당 지도부를 향해서도 쓴소리를 보냈다.

김 전 위원장은 조기 대선 가능성을 언급하며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를 가장 확장성이 있는 여당 후보로 꼽았다. 또 한 전 대표가 대선이 출마할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도 내놨다. 그는 “한 전 대표에게는 선택의 여지가 별로 없다”며 “정치에 참여한 이상 자기 나름대로 뜻을 펼치려면 한번 큰 뜻을 품고 무대에 출연하는 것이 정상”이라고 했다.

김 전 위원장은 “(지난 전당대회 당시) 63%라고 하는 절대적인 다수가 한 전 대표를 선택했기 때문에 그 뿌리가 아직 없어졌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대선이 조기에 열린다면 어느 후보보다 (국민의힘에서) 한 전 대표가 제일 확장성이 있다고 본다”고 평가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화제성 떨어지는 아시안게임, 'Z세대' 금빛 질주가 기 살렸다 [이슈크래커]
  • 단독 4대궁·종묘 관람객 지난해 1300만 '역대 최대'…외국인 첫 300만 돌파
  • '최강야구' 클로징, 하와이 전지훈련 확정…이번 시즌 MVP는?
  • 트럼프, 철강·알루미늄 관세 25% 부과 발표…“반도체·자동차도 검토”
  • 국내주식, 어디다 투자해야 할지 모르겠다면…국민연금 포트폴리오 참고해볼까 [경제한줌]
  • "대전 초등생 피습 가해교사, 교육청 현장 지도 나간 당일 범행"
  • 단독 첨단학과 '수도권 쏠림’ 사실로...경쟁률 지방의 3배 이상 [첨단인재 가뭄]
  • '2025 정월대보름' 부럼과 오곡밥을 먹는 이유 [그래픽 스토리]
  • 오늘의 상승종목

  • 02.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7,034,000
    • -0.06%
    • 이더리움
    • 4,031,000
    • +0.32%
    • 비트코인 캐시
    • 511,000
    • +2.43%
    • 리플
    • 3,745
    • +2.41%
    • 솔라나
    • 303,100
    • -1.21%
    • 에이다
    • 1,202
    • +13.83%
    • 이오스
    • 960
    • -0.21%
    • 트론
    • 372
    • +3.05%
    • 스텔라루멘
    • 503
    • +5.89%
    • 비트코인에스브이
    • 60,050
    • +0.76%
    • 체인링크
    • 28,990
    • +3.2%
    • 샌드박스
    • 606
    • +2.3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