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오피스 시장 가라앉나… “도심권 공급 과잉 우려”

입력 2025-02-12 13:1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025년 상반기 상업용 부동산 유형별 매입·매각 가격 전망 (자료제공=젠스타메이트)
▲2025년 상반기 상업용 부동산 유형별 매입·매각 가격 전망 (자료제공=젠스타메이트)
상업용 부동산 시장이 유형에 따라 회복과 둔화가 혼재된 흐름을 보인다. 오피스 시장은 침체할 것으로 보는 시선이 늘었으나, 물류센터의 경우 반등 기대감이 커졌다.

12일 상업용 부동산 전문기업 ‘젠스타메이트’가 국내 주요 투자사 및 운용사 임직원 70여 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한 결과, 응답자의 50%가 오피스 시장의 후퇴 또는 침체를 예상했다. 지난해 하반기 대비 각각 9%포인트(p)와 5%포인트 증가했다. 특히 CBD(도심권) 오피스의 공급 과잉 우려가 지속되며 선별적 투자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매매시장에선 꾸준한 거래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응답자 38%가 올해 5% 안팎의 오피스 매매가격 상승을 전망했다. 46%의 응답자가 올 상반기 오피스 임대료가 3%까지 오를 수 있다는 예측을 내놨다.

물류센터의 경우 회복을 전망하는 의견이 전 분기 대비 20%p 늘어난 39%를 기록했다. 응답자 43%가 ‘물류센터 분야 투자를 최대 10%까지 늘릴 것’이라고 답했다. 지난해 하반기 대비 28%포인트 늘어난 수치다. 다만 임대료 하락(49%)과 거래가격 하향 조정(52%)을 전망한 이들이 과반수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호텔과 데이터센터는 강세를 이어갔다. 외국인 관광객 수 회복과 운영 수익성 개선으로 호텔 시장은 응답자의 81%가 회복기 또는 호황기에 접어들었다고 봤다. 서울 강남·종로·중구 호텔의 투자 선호도가 높아졌으며, 객실 단가 상승 가능성도 제기됐다.

올 상반기 선호하는 투자 전략에 대한 질문에 ‘밸류애드’(Value-add)를 꼽은 응답자는 전체의 65%로 전 분기 대비 15%포인트 늘었다. 해외운용사가 대규모 오피스와 중소 규모의 사옥 매입을 통해 재건축이나 용도 변경에 나서는 방식이다.

투자 재개 시점도 앞당겨졌다. 응답자의 40%가 올 1분기부터 투자를 재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상반기 기준금리는 2.75%에 머무를 것이라는 응답이 37%로 가장 많았다. 금리 인하 기대감이 이어지는 모습이다.

젠스타메이트 리서치센터 관계자는 “국내 상업용 부동산 시장에 여전히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지만 호텔, 물류센터 등 일부 섹터에서 회복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이젠 자유로운 부동산 파티?!"…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왜? [왁자집껄]
  • 중세의 낭만은 빼고 현실감은 가득 채운 오픈 월드 RPG ‘킹덤컴:딜리버런스2’ [딥인더게임]
  • '나솔' 24기 영식, "나는 옥순바라기"…역대급 돌진에 시청자도 경악 "레전드"
  • 尹측 "중대 결심" 마지막 변론서 재판부에 경고…尹 직접 신문은 제지
  • "아이브ㆍ라이즈 동생 그룹이 벌써?"…엔터 업계 '카니발 효과'가 뭐길래 [이슈크래커]
  • 비트코인, 미 증시 하락에도 상승…"ETF 승인 기대감 유효" [Bit코인]
  • "장원영 조문 요청, 강요 아닌 부탁…아빠의 마음이었다"
  • 모두 지드래곤이 되면 좋겠지만…아이돌이 론칭한 브랜드, 결말은? [솔드아웃]
  • 오늘의 상승종목

  • 02.1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389,000
    • -0.05%
    • 이더리움
    • 4,054,000
    • +2.06%
    • 비트코인 캐시
    • 505,000
    • +1%
    • 리플
    • 3,695
    • +1.09%
    • 솔라나
    • 292,200
    • -1.78%
    • 에이다
    • 1,180
    • -0.25%
    • 이오스
    • 973
    • +1.99%
    • 트론
    • 363
    • -0.82%
    • 스텔라루멘
    • 494
    • +3.13%
    • 비트코인에스브이
    • 59,250
    • -0.17%
    • 체인링크
    • 28,430
    • +1.43%
    • 샌드박스
    • 593
    • +2.4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