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올해 650억 원의 펀드를 조성해 기술사업화에 속도를 낸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산업기술정책펀드 중 올해 3개 펀드 조성을 1차 공고할 계획이라고 16일 밝혔다.
2009년부터 중소·중견기업의 스케일업과 기술사업화를 위해 조성된 산업기술정책펀드는 누적 조성액이 2조4976억 원에 달한다.
올해 조성 펀드를 살펴보면 먼저 기업형 벤처 캐피털(CVC·Corporate Venture Capital) 스케일업 7·8호 펀드는 각 250억 원씩 총 500억 원 규모로 만든다.
관련 뉴스
CVC는 비금융기업이 대주주인 벤처캐피탈로 CVC 펀드는 모기업이 보유한 기술과 네트워크 등을 활용해 중소·중견기업의 스케일업 및 해외 진출 등을 지원한다.
산업부는 대·중견기업과 중소기업 간 협력을 활성화하고, 기술사업화를 촉진하기 위해 2023년부터 조성해 왔다. 현재까지 3671억 원 규모 총 6개 펀드를 운영 중으로 이를 통해 첨단산업 분야에서 기업 간 협력을 활성화하고 개방형 혁신에 기여하고 있다.
이와 함께 공공연구기관 연구자의 기술 창업을 지원하기 위해 ‘공공기술 창업펀드’도 150억 원 규모로 신규 조성한다.
산업부는 지난달 '기술의 이전 및 사업화 촉진에 관한 법률'을 개정해 연구자가 직접 창업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했다.
이에 맞춰 조성된 공공기술 창업펀드는 연구자들이 창업에 필요한 초기 사업 자금, 시제품 제작 자금 등을 지원해 연구 성과가 사업화로 원활히 이어질 수 있도록 뒷받침할 예정이다.
제경희 산업부 산업기술융합정책관은 "연구개발이 시장에서 활용되려면 사업화에 대한 지원과 투자가 뒷받침돼야 한다"라며 "CVC 펀드를 통해 기술지원, 네트워크, 자금이 필요한 중소·중견기업의 스케일업과 해외 진출을 지원하고, 공공기술 창업펀드를 통해 연구개발 성과가 창업과 사업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원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