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잠룡 김부겸·김두관 참석
비명계 정책 경쟁도 본격화

조기대선을 노리는 야권 잠룡들이 결집과 세력화에 들어갔다. 이들은 새롭게 출범한 비명(비이재명)계 주도 연대 플랫폼에 모여 “이재명 대표가 통합과 연대의 장을 만들어야 한다”고 쓴소리를 냈다.
민주당 원외 비명계가 주도하는 ‘희망과 대안 포럼’이 18일 오후 KTX 광명역 인근 웨딩홀에서 창립식을 열고 닻을 올렸다. 이날 행사에는 비명 대권주자로 꼽히는 김부겸 전 국무총리, 김두관 전 의원, 박용진 전 의원 등이 참석했다.
희망과 대안 포럼은 정치 복원과 새로운 리더십을 창출하기 위해 만들어진 정치 연대 플랫폼이다. 비명계 모임 ‘초일회’의 간사를 맡고 있는 양기대 전 의원이 이사장직을 맡았고, 포럼 상임공동대표는 최문순 전 강원지사와 노병성 전국유권자연합회 회장이 맡았다.
양 전 의원은 이날 환영사에서 비명계 대권 주자들을 추켜세웠다. 양 전 의원은 “앞으로 조기대선이 이뤄진다면 민주적 절차를 통해 당원들이 자랑스러워하는 후보가 선출돼야 한다”며 “그 길을 앞장서 가는 김부겸·김두관·박용진·김동연·김경수에게 큰 박수를 보내달라”고 말했다.
이른바 ‘이재명 일극체제’를 겨냥한 비명계의 쓴소리는 이날도 이어졌다. 이들은 ‘더 큰 민주당’이 되기 위해 당이 포용성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친문(친문재인)계 인사이자 대표적 야권 잠룡인 김부겸 전 국무총리는 “(비상계엄 사태) 수습 과정에서 민주당이 어른스럽게 국가를 걱정하는 역할을 더 잘 해주길 바랐던 국민들에게 적잖이 실망을 주고 있는 게 사실”이라며 “민주당은 당을 넘어선 큰 통합과 연대의 장 만들기에 나서야 한다”고 비판했다.
그는 이 대표 강성 지지층인 ‘개딸’(개혁의 딸)을 따로 언급하며 “여러분 덕분에 민주당이 어려운 시기를 견뎌낼 수 있었다. 하지만 지금의 모습은 한번 더 고민해보고 바꿔달라“고 ㅈ요청했다.
그는 ‘수박’(강성 당원들이 비명계를 부르는 멸칭)이란 단어에 대해 “분열과 증오의 언어가 바로 대한민국을 분열과 고통으로 넣고 있다”며 “그런 용어를 써주지 않길 이 자리를 빌어 호소드린다”고도 했다. 이 대표를 향한 비판이 수용되지 못하고 배척되는 당내 상황을 겨냥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또 다른 야권 잠룡인 김두관 전 의원도 “당내 친명·비명계뿐 아니라 합리적 보수 세력까지 끌어안는 큰 결단이 있어야 조기대선을 승리할 수 있고, 위대한 대한민국을 정상화시킬 수 있다”며 이 대표에게 포용과 통합을 주문했다.
이르면 3월 중 헌재의 탄핵 심판 선고가 날 거란 관측이 나오면서 조기대선을 노리는 비명 잠룡들의 정책 대결도 본격화하는 모습이다. 이들은 대통령실의 세종시 이전, 지방 분권 및 균형발전, 분권형 개헌 등을 주요 화두로 꺼내들고 있다.
김부겸 전 총리는 “대통령의 권력을 적절히 견제할 수 있는 권력구도 재편을 포함해 소멸 직전의 지방 분권과 균형발전이라는 내용이 포함된 개헌안을 마련해 국민들에게 로드맵을 제시해야 한다”고 했고, 김두관 전 의원도 “제왕적 대통령제를 분권형 4년 중임제로 개헌해서 지방 정부에 권한을 넘기고 지방소멸을 막아야 한다”고 제안했다.
친문·친노 적자로 불리는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도 이날 ‘행정수도 이전’을 정책 이슈로 꺼내들었다. 김 전 지사는 이날 강준현·김영배 민주당 의원 주최로 열린 ‘행정수도 세종 이전의 추진방안과 과제 토론회’에서 “대통령실의 세종시 이전이야말로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의 꿈이었던 행정수도를 완성하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김 전 지사는 “전국을 5개 초광역권(수도권·충청권·호남권·대구경북권·부산경남권)과 3개의 특별자치도(강원·전북·제주)로 만드는 초광역 지방정부 시대를 열어가야 한다”이라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