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자지구 휴양지 구상에 인종 청소 논란
‘우크라이나 패싱하고 ’ 미·러 회담 성사
“유럽·중동 역사 이해 없다” 비판 직면

취임 후 가장 먼저 건든 것은 파나마운하와 그린란드다. 취임사 때 “파나마운하는 결코 파나마에 주어져선 안 될 어리석은 선물이었다”고 직격탄을 날린 트럼프 대통령은 이달 초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을 파나마로 파견해 압박을 강화했다. 이후 파나마 대통령이 반발하고 예정됐던 양국 정상 간 전화통화가 무산되는 등 갈등은 계속되고 있다.
덴마크령 그린란드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 세력 약화를 목적으로 취임 전부터 지금까지 그린란드 소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으로 끝이 아니다. 최근에는 이스라엘과 하마스의 휴전으로 다소 잠잠해진 팔레스타인 가자지구를 미국이 점령해 해안 휴양도시로 발전시키겠다는 ‘가자 구상’을 꺼내 중동 국가들의 역린을 건드렸다. 이 구상에는 가자지구 주민 강제 이주까지 포함돼 논란이 되고 있다.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위한 협상에선 미국이 러시아 편을 들어주는 듯한 모습으로 유럽의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루비오 장관은 이날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과 첫 번째 회담을 끝낸 뒤 “분쟁 종식을 위해선 모든 당사자의 양보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동시에 “유럽연합(EU)도 러시아를 제재하고 있는 만큼 일정 시점에 협상 테이블에 나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 뉴스
종전을 위한 협상이 미·러 회담으로 개시된 탓에 ‘우크라이나 패싱’ 논란이 불거진 상황에서 트럼프 정부가 러시아 제재를 다시 논할 가능성부터 시사하자 서방에선 의심의 눈초리를 하고 있다.
일련의 행보는 기본적으로 미국 국익에 집중하겠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공언과 일치한다. 중국이 세력을 넓히거나 미국이 손해를 보고 있다고 판단하는 그린란드와 파나마운하 소유권을 뺏고, 우크라이나에서 발생하는 막대한 지출을 막고 지원금을 회수한다는 심산이다.
CNN방송은 “트럼프는 거래를 원한다”며 “가자지구에서 팔레스타인을 이주시키고 해변 리조트를 건설하려는 것을 보면 우크라이나나 중동에서의 역사적 위험 요소에 대한 이해가 거의 없는 것 같다”고 질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