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여야정 국정협의회에서 추가경정예산(추경)안에 대한 공감대를 이루는 등 성과가 있었다며, 여당을 향해 상속세 공제 확대 등 나머지 현안에 대해서도 협의에 나서라고 촉구했다.
이 대표는 21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어제(20일) 여야와 정부가 (여야정 국정협의회에서) 추경 필요성에 공감했다”며 “민생 지원과 인공지능(AI) 미래산업 지원, 통상 대응이란 3대 분야에 대해 추경을 편성한다는 원칙까지 합의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시기와 규모, 세부 내역은 실무회의를 통해 정하기로 했는데 빠른 시일 내 추경안이 확정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앞서 정부와 여야는 전날 오후 국회에서 국정협의회를 개최하고 추경과 연금개혁, 반도체특별법 처리 등을 안건으로 올려 협의에 나선 바 있다.
관련 뉴스
이 대표는 ‘상속세 공제한도 확대’ 논의에 착수하자고 여당에 촉구했다. 그는 국민의힘을 향해 “무엇이든지 반대하다보니 상속세 문제도 함정에 스스로 빠졌다”며 “28년된 공제기준을 현실화해 가족이 세상을 떠난 후 집까지 가족을 떠나야 하는 슬픈 현실을 왜 외면하려고 하냐”고 지적했다.
이어 “배우자나 부모가 사망했을 때 상속세를 내느라 집까지 떠나게 만들면 안 되지 않냐”며 “이런 합리적 정책에 대해선 ‘훌륭하다’, ‘대신 이걸 더 하자’고 제안을 해야 (여당 입장에서) 체면이 사는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대미 통상외교도 지원하자고 했더니 국민의힘에서 미적미적하다”며 “왜 안해야 하는지 이유를 모르겠다. 국민의힘이 이렇게 발목만 잡으니 집권여당으로서 인정해야 할지 봐야한다”고도 했다.
이 대표는 자신의 ‘중도보수’ 발언으로 최근 정치권에서 논란이 일고 있는 데 대해선 “세상이란 ‘흑백’만 있는 게 아니다”라며 “어떻게 흰색, 아니면 검은색이라고 주장하냐”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보수가 아니면 진보인가. 중도도 있는 것”이라며 “중도도 오로지 중간인 게 아니다. 보수적 중도도 있는 거고, 진보적 중도도 있는 거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 당은 진보부터 보수까지 스펙트럼이 다양하다. 보수적 색채가 강조되기도 하고 상황에 따라 진보적 색채가 강하게 드러나기도 한다”며 “그러나 보수적 정책만으로 구성되면 당이 제대로 될 수 없다”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