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기업들의 설비투자액이 100조원을 넘어 18만5000여명의 고용 창출 효과가 기대된다는 전망이 나왔다.
11일 산은경제연구소는 최근 3600개 국내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올해 기업들의 설비투자액은 101조4000억원으로 작년보다 20.2% 증가할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설비투자액이 100조원을 돌파한 것은 산업은행이 연간 2회씩 설비투자계획을 조사하기 시작한 1965년 이후 처음이다.
기업의 설비투자계획을 부문별로 보면 제조업이 작년보다 21.1%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으며 이 중 작년에 34%의 감소세를 보이던 정보기술(IT)산업의 설비투자가 44.7%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IT산업을 제외한 제조업도 자동차와 석유정제, 석유화학 등의 호조세에 힘입어 작년보다 11.1% 늘어날 것으로 조사됐다.
비제조업도 4대강 사업 등의 경기부양책으로 건설과 전기·가스 등의 공공부문 덕분에 투자액이 작년보다 19.2%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업종별로는 건설(64.8%)과 자동차(54.4%), 반도체(38.6%) 등의 업종이 설비투자를 주도할 것으로 파악됐다. 하지만 조선(-36.2%)과 철강(-2.6%), 통신서비스(-1.8%) 등의 업종은 투자가 감소할 것으로 조사됐다.
내수 기업은 철강부문 투자축소에도 건설과 전기·가스, 석유정제업 주도로 16.9% 증가하고 수출기업 역시 IT산업 중심으로 작년 31.5% 감소에서 올해 24.4% 증가세로 반전될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업의 투자는 작년 감소세에서 올해 증가세로 돌아서 22.7% 늘어날 전망이나, 중소기업의 설비투자는 올해 0.1% 증가에 그쳐 여전히 부진할 것으로 예측됐다.
산은경제연구소는 또 실증분석 결과 설비투자 1% 증가 시 고용이 0.42% 증가함에 따라 설비투자가 20.2% 증가하면 고용이 약 8.5% 늘어난다며 올해 설비투자 증가로 총 18만5000명의 일자리 창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