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가 남서태평양 피지공화국으로부터 피지 배타적경제수역(EEZ) 내 3000㎢(여의도 면적으로 약 350배) 규모의 해저열수광상 독점 탐사광구를 확보했다고 10일 밝혔다.
해저열수광상은 수심 1000~3000m에서 마그마로 가열된 열수가 해저암반을 통해 방출되는 과정에서 형성된다. 금과 은 구리 아연 등 주요 전략금속을 함유하고 있어 20년간 연 30만톤을 개발하면 거의 65억 달러의 수입대체효과가 예상된다.
국토부는 2017년 이후 본격적인 채취·개발을 위해 민간 참여기업을 모집한 후 사업수탁기관인 한국해양연구원 및 참여기업과 공동으로 광구 내 해저열수광상 개발유망지역의 정밀 해저면 탐사와 자원량 평가를 실시할 계획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탐사권 확보 후 보통 6년 정도 탐사한 뒤 개발권 협약을 맺는데, 이 기간을 3~4년 정도로 단축할 방침”이라며 “올해 말 민자유치 설명회를 열어 내년 초 민간기업 참여를 유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피지 독점 탐사광구 확보는 지난 2008년 3월 남서태평양 통가왕국 EEZ 내 독점 탐사광구에 이어 두 번째 일구어 낸 성과다. 통가 해저열수광상 개발사업은 국토부와 삼성중공업, SK네트웍스, 포스코, 대우조선해양, LS-Nikko동제련의 합작사업으로 탐사·개발 추진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