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주요 지표가 악화하면서 경착륙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
중국 해관총서는 10일(현지시간) 지난달 무역적자가 315억달러(약 35조원)에 달했다고 발표했다.
수입이 전년보다 39.6% 급증한 반면 유럽 재정위기 등으로 수출은 같은 기간 15.3% 증가에 그쳤다.
지난달 무역적자 규모는 지난 1989년 이후 23년 만에 최대치다.
다른 지표도 경기둔화세를 나타냈다.
산업생산은 지난 1~2월에 전년보다 11.4% 늘어나 전문가 예상치인 12.4%에 못 미쳤고 같은 기간 소매판매 증가율도 14.7%로 지난해 12월의 18.1%에서 하락했다.
앞서 원자바오 중국 총리는 지난 5일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개막식에서 올해 중국 경제성장률 목표를 7.5%로 잡았다.
중국 정부가 경제성장률 목표를 8% 밑으로 잡은 것은 지난 2004년 이후 8년 만에 처음이다.
전문가들은 중국 정부가 올해 하향 조정한 경제성장률 목표를 지키는 것 역시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11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이 보도했다.
HSBC는 1분기 중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을 8.0%로 잡고 있지만 JP모간체이스는 7.2%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닥터 둠’ 누리엘 루비니 뉴욕대 교수는 지난 9일 CNBC와의 인터뷰에서 “중국의 부동산시장에 대한 투자가 감소하고 인프라 건설도 제동이 걸렸다”면서 경착륙 가능성을 경고했다.
경기둔화 리스크가 커지면서 중국 정부가 긴축완화 정책을 가속화할 것이라는 기대감도 확산되고 있다.
지난 2년간 중국 경제를 압박했던 인플레이션 압력은 줄고 있는 것도 경기부양을 위한 배경이 될 전망이다.
중국 국가통계국이 집계한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3.2%로 전월의 4.5%와 시장 전망인 3.4%를 밑돌고 지난 2010년 6월 이후 20개월래 최저치를 나타냈다.
노무라홀딩스의 장즈웨이 수석 중국 이코노미스트는 “중국 인민은행이 이달 기준금리를 인하하고 다음달에는 은행 지급준비율을 내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오는 14일 전인대 폐막과 함께 중국 정부가 재정정책을 통해 경기부양을 가속화할 가능성이 크다는 평가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올해 국내총생산(GDP) 대비 1.5%로 잡았던 재정적자 규모를 늘리고 자동차 구매 보조금 제도를 다시 부활시킬 것으로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