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14일 일본 히로시마공항에서 착륙사고를 낸 아시아나항공 여객기는 정상적으로 착륙하다 급격히 시야가 나빠지면서 4m 높이의 접근등에 부딪히기 직전 상승을 시도한 것으로 조사됐다.
일본 운수안전위원회는 아시아나 여객기의 일본 히로시마공항 착륙 사고 후 한 달간 조사한 중간 결과를 13일 발표했다.
블랙박스 분석 등을 통해 사고발생 당시 정확한 현장
일본 히로시마 공항에서 지난 14일 발생한 아시아나항공 여객기 활주로 이탈 사고가 정부-민간협회 간의 갈등 촉발로 이어지고 있다. 국토교통부가 사고 이후 A320 조종사에 대한 긴급 보강 훈련지시를 내리자, 한국민간항공조종사협회가 반발하면서 갈등 양상이 빚어진 것.
국토부 운항정책과는 사고가 발생한 다음날인 지난 15일 아시아나 A320 조종사에 대한
지난 14일 일본 히로시마공항에서 착륙 도중 활주로 이탈 사고를 낸 아시아나항공의 인천-히로시마 노선이 일시 중단된다.
아시아나항공은 이달 말까지 인천-히로시마 노선 운항을 일시 중단한다고 17일 밝혔다.
운항 중단 기간 동안 아시아나항공은 히로시마공항 시설과 항공기, 운항 훈련 등 히로시마 노선 운항과 관련된 제반 안전 절차를 재점검하고 미흡한 부분
김수천 아시아나항공 사장이 일본 히로시마를 방문해 이번 착륙사고에 대한 사과의 말을 전했다.
아시아나항공은 16일 김수천 사장과 야마무라 아키요시 안전보안실장(부사장)이 지난 14일 발생한 일본 히로시마공항 활주로 착륙 사고를 수습하기 위해 일본 현지를 방문했다고 밝혔다.
김 사장은 이날 주히로시마 총영사관과 히로시마 공항, 한일사고조사위원회, 히로시
야마무라 아키요시 아시아나항공 안전담당 부사장은 18일 오후 일본 히로시마공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아시아나 항공기 사고 관련해 "당시 착륙에 필요한 수준의 가시거리가 확보돼 있었던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현 단계에서는 시정(육안으로 볼 수 있는 최대거리)이 착륙 가능한 최소치 이상이었다고 들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NHK는 아시아
이번에도 또 에어버스 A320 기종이 사고를 일으켰다.
14일 일본 히로시마 공항 활주로 이탈 사고를 일으킨 아시아나항공 여객기는 2007년 에어버스가 제작한 A320-200 기종이다.
이날 오후 6시 34분 인천공항을 출발한 아시아나항공 OZ162편은 이날 오후 8시 5분 히로시마공항에 착륙하는 과정에서 고도가 비정상적으로 낮아 활주로 앞 300m
아시아나항공이 2013년 미국 샌프란시스코 공항에서 충돌 사고를 일으킨 지 2년도 안 돼 또 다시 유사한 사고를 일으켰다. 이번 사고로 해당 항공사의 안전에 대한 불안감은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14일 오후 6시 34분 인천공항을 출발한 아시아나항공 OZ162편(A320)은 이날 오후 8시 5분 히로시마공항에 착륙한 뒤 활주로를 오른쪽으로 벗어나면서 멈
아시아나항공이 지난 14일 저녁 일본 히로시마공항에서 발생한 활주로 이탈 사고 현장에 현장대책본부 57명을 급파했다.
아시아나항공은 15일 사고수습을 위한 현장지원반을 비롯한 임직원 57명을 사고 현장으로 급파하고 사고지원, 의료지원 등 사고수습 활동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
현장대책본부는 현장대책본부장을 필두로 사고지원 업무를 수행한다. 탑승
아시아나항공 여객기가 일본 히로시마공항에 착륙하던 도중 활주로를 벗어나는 사고가 발생했다. 사고 항공기에는 한국인 8명이 탑승했던 것으로 확인됐으며 지금까지 20여명 안팎으로 중경상을 입은 것으로 전해졌다.
14일 오후 6시 34분 인천공항을 출발한 아시아나항공 OZ162편(A320)은 이날 오후 8시5분 히로시마공항에 착륙한 뒤 활주로를 오른쪽으로 벗
6월 26일 오전 검색어 순위
▲ 바이두(Baidu)
1. 한국 아시아나 사고 ‘조종사 과실’
- 24일(현지시간) 미국 국가교통안전위원회(NTSB) 지난해 7월6일에 발생한 아시아나 항공 여객기 사고의 주원인은 조종사의 과실로 최종 결론졌다고 밝혀
- 또 항공기 제조사인 보잉에도 간접적인 책임이 있다고 지적해
2. 베트남 정부 700만
아시아나 조종사 과실
미국 국가교통안전위원회(NTSB)가 지난해 7월 6일 발생한 아시아나항공 214편 여객기 사고의 주원인을 조종사의 과실로 최종 결론지었다. 그러면서 항공기 제조사인 보잉에도 간접적인 책임이 있다고 지적했다.
아시아나항공 214편 보잉777기는 지난해 7월6일 미국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에 착륙하던 도중 활주로 앞 방파제에 충돌한 뒤
말레이시아 항공
실종된 말레이시아 항공 여객기가 작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발생했던 아시아나 사고 때와 같은 기종으로 알려져 충격을 안겨주고 있다.
말레이시아 항공은 8일 자정이 조금 지나 이륙한 쿠알라룸푸르발 보잉777-200 여객기(편명 MH370)가 오전 2시40분(현지시간)께 연락이 두절됐다고 발표했다.
보잉 777-200 기종은 작년 7월
미국 워싱턴DC에 몰아친 폭설로 지난 7월 발생한 아시아나 항공 샌프란시스코 공항 착륙사고에 조사를 위한 청문회 일정에도 차질이 빚어졌다.
국토교통부는 11일 지난 7월 미국 샌프란시스코 공항에서 발생한 아시아나 항공 여객기 착륙사고 조사와 관련해 미국 국가교통안전위원회(NTSB)가 주관하는 청문회가 현지 기상상태로 한 차례 연기돼 11일 오전 8시30분
지난 7월 미국 샌프란시스코 공항에서 발생한 아시아나 항공 여객기 착륙사고 조사와 관련해 미국 국가교통안전위원회(NTSB)가 주관하는 청문회가 10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NTSB 본부에서 개최됐다고 국토교통부가 이날 밝혔다.
이번 청문회는 10일(오전9시~오후4시30분)과 11일(오전 8시30분~오후5시) 두 차례에 걸쳐 진행된다. 청문회에는 데보
아시아나항공 여객기 샌프란시스코공항 착륙사고를 조사하는 미국 국가교통안전위원회(NTSB)의 데보라 허스만 위원장이 20일 방한한다.
18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허스먼 위원장은 이날 오전 국토교통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를 찾아 조태환 위원장을 만나 아시아나 사고조사 향후 일정과 협력방안 등을 논의한 뒤 사고조사 관련 시설을 둘러볼 예정이다.
이어 오후에는
아시아나항공이 지난 7월 미국 샌프란시스코 공항 착륙 사고 이후 안전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일본인 안전 총괄책임자를 영입했다. 아시아나항공이 안전 분야의 외국인 전문가를 영입한 것은 1988년 창사 이래 25년 만에 처음있는 일이다.
아시아나항공은 10일 안전보안실장에 일본 ANA(전 일본항공) 출신의 야마무라 아키요시(남, 65)씨를 부사장으로 영입했다
31일 ‘할로윈 데이’를 맞아 지난 7월 발생한 아시아나 항공기 활주로 추락사고를 조롱하는 사진이 등장해 논란이 일고 있다.
30일 허핑턴포스트는 3명의 남성이 찢어진 아시아나 항공 승무원 복장으로 찍은 할로윈 사진이 인터넷 상에 등장했다고 보도했다.
사진 속 남자들은 아시아나 항공 배지를 달고 섬팅왕(SUM TING WONG), 위투로(WI TU
미국 연방정부의 셧다운(부분 업무정지) 여파로 샌프란시스코에서 발생한 아시아나 착륙사고 조사가 전면 연기됐다.
데보라 허스먼 국가교통안전위원회(NTSB) 위원장은 11일(현지시간) 상원 청문회에서 “NTSB 전체 직원 410명 중 383명이 강제 무급휴가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아시아나 사고을 포함한 NTSB의 조사활동이 전면 연기됐다고
지난 7월 6일 샌프란시스코공항에서 발생한 아시아나항공 사고기에 탑승했던 한 승객이 보상합의금 전액을 한 지역아동센터에 기부해 화제를 모으고 있다. 사고 발생 당시 이 승객은 다행스럽게도 부상을 당하지 않아, 감사한 마음으로 더 힘든 사람들을 돕겠다는 취지로 기부를 결정했다는 후문이다.
17일 아시아나항공에 따르면 이 승객은 경기도 화성시에 위치한 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