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예탁결제원은 자사의 국채통합계좌를 이용 중인 외국인 투자자의 규모가 지난달 말 기준 보관잔고 2조6000억 원, 누적 거래금액 60조 원을 넘어섰다고 11일 밝혔다. 국채통합계좌는 예탁원이 작년 6월 말 국제예탁결제기구와 연계해 구축한 계좌다.
한국 국채가 세계국채지수(WGBI) 편입에 성공한 지난해 10월부터 계좌 이용 수는 급격히 증가했으며,
한국예탁결제원은 지난해 상장법인 중 기업 인수합병(M&A)을 완료했거나 진행 중인 회사는 148개사로 전년(122개사) 대비 21.3% 증가했다고 23일 밝혔다.
시장별로 보면,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 모두 전년대비 각각 35.3%, 15.9%씩 증가했다. M&A 사유는 합병이 127개사로 가장 많았고, 주식교환‧이전(11개사), 영업양수도(10개사
한국예탁결제원은 지난해 자사를 통한 채권결제대금이 5477조1000억 원으로 전년 5521조 대비 0.8% 감소했다고 21일 밝혔다.
장내 채권시장 결제대금은 632조6000억 원으로 전년 608조 원 대비 3.9% 증가했고, 장외 채권 기관투자자 결제대금(장외 채권기관 결제대금)은 4844조5000억 원으로 전년 4912조 원 대비 1.4% 감소했다
한국예탁결제원은 개인투자용 국채의 발행·상환 계획과 통계 등 정보를 제공하는 대국민 서비스 홈페이지를 구축했다고 31일 밝혔다. 예탁원은 개인투자용 국채 사무처리기관이다. 예탁원은 전용 홈페이지를 통해 개인투자용 국채 발행·상환 사무를 수행하고, 개인투자용 국채 관련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다.
한국예탁결제원 증권박물관 부산관은 개관 5주년을 기념해 '증권 속 인물'을 주제로 특별전시를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증권 속 인물을 주제로 증권 발행 정보와 역사적 가치를 생각해볼 수 있도록 기획됐다. 주요 증권유물과 인물로는 ‘KFC(커널 샌더스)’, ‘메리어트 호텔(빌 메리어트)’, ‘라이카(오스카 바르낙)’ 등이 있다.
12월 결산 상장법인의 정기주주총회 의결권을 행사하거나 배당을 받으려면 해당 기업의 주식을 최소한 오는 26일까지는 매수해야 한다.
한국예탁결제원은 20일 "결산 주주총회 의결권 행사를 위해서는 올해 말까지 해당 주식을 보유해야 한다"라며 이같이 밝혔따.
이달 31일은 한국거래소의 증권시장과 파생상품시장 휴장일로 거래와 체결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
한국예탁결제원은 6일 부산항국제전시컨벤션센터(BPEX) 에서 '도전의 50년, 100년을 향한 도약'을 슬로건으로 창립 50주년 기념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창립기념식은 자본시장 속에서 쌓아온 지난 50년을 축하하고, 향후 예탁원의 발전 방향을 대내외에 알리기 위해 개최됐다.
이순호 예탁원 대표이사(CEO)의 환영사를 시작으로 제해문 노조위원장
한국예탁결제원은 창립 50주년을 맞아 5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에서 '예탁결제 업무의 디지털 혁신과 미래'를 주제로 창립 기념식을 개최했다. 지난 반세기 역사를 돌아보고, 디지털 기술이 앞으로의 금융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응할 수 있도록 미래를 향한 청사진을 구상하는 자리다.
금융투자업계 유관기관장들이 한 데 모여 축하와 격려 인사를 전했다. 윤한홍 국
한국예탁결제원은 자사가 관리하는 국내 투자자의 3분기 외화증권 보관금액과 결제금액 모두 직전 2분기, 1년 전 대비 증가했다고 10일 밝혔다.
3분기 외화증권 보관금액은 1379억4000만 달러, 결제금액 1746억7000만 달러로 전 분기 대비 각각 8.3%, 37.5% 증가했다. 1년 전과 비교하면 각각 42.7%, 70.3% 늘었다.
외화주식은
한국예탁결제원은 22일 상반기 자사를 통한 증권결제대금이 전년 대비 8.8% 감소한 2890조2000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직전 반기 대비해서는 5.9% 증가한 수치다.
주식결제대금은 늘고, 채권결제대금이 감소했다. 주식결제대금은 1년 전보다 31.4% 증가해 243조7000억 원, 채권결제대금은 2646조5000억 원으로 11.3% 줄었다.
'서학개미'로 불리는 미국 주식 투자자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국내 외화증권 보관금액이 사상 최대치를 달성했다.
18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말 국내 투자자의 외화증권 보관금액은 총 1273억3000만 달러로 직전 반기(1041억9000만 달러) 대비 22% 증가했다. 이는 사상 최대치다. 외화증권 보관잔액은 2022년 하반기부터 4분기째
한국예탁결제원과 한국증권금융, 금융투자협회는 지난달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공매도 제도개선 방안’과 관련해 15일 대차중개 서비스 참가자 설명회를 개최했다고 16일 밝혔다.
앞서 예탁결제원과 증권금융, 금투협은 차입 공매도 목적 대차거래 기간 제한에 대한 후속 조치를 마련하기 위해 합동 태스크포스(TF)를 구성, 대차거래 기간 제한 관련 규정과 시스템
상반기 한국예탁결제원을 통해 주식을 발행한 회사와 금액은 모두 줄었지만, 발행수량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이 전자증권제도에 참여하면 유·무상증자, 배당, CB·BW 행사 등을 통해 주식을 추가로 발행할 수 있다.
12일 예탁원에 따르면 상반기 총 856개사가 예탁원을 통해 97억1000주(10조2000억 원)를 발행했다. 전년 대비 발행회사와
한국예탁결제원은 20일 한국무위험지표(KOFR, 코퍼) 금리를 포함해 환매조건부채권(Repo, 레포) 시장의 차입금리 비교가 가능한 정보플랫폼 구축(가칭 'Repo인사이드')에 나선다고 밝혔다.
레포는 금융회사가 일정 기간이 지난 뒤 금리를 보태 되사는 조건으로 발행하는 환매조건부채권이다. 코퍼의 기반이 되는 금리로, 시장에 단기적 유동성을 공급하는
한국예탁결제원은 자사가 운영 중인 투자지원 플랫폼에 등록된 비시장성자산이 1만2000여 건을 돌파했다고 18일 밝혔다.
예탁원은 2021년 6월부터 사모펀드 시장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해 비시장성자산 투자지원 플랫폼을 가동하고 있다.
비시장성자산은 사모사채 등 비상장·비예탁 증권, 부동산, 장외파생상품, 해외자산 등 예탁원에서 중앙집중적 방식으로 보관
한국예탁결제원은 지난달 28일 시행된 미국 증권 시장의 결제 주기 단축을 안정적으로 이행했다고 5일 밝혔다.
앞서 2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미국 증권시장의 결제주기 단축을 결정하면서, 지난달 28일 거래분부터 주식·상장지수펀드(ETF) 등을 포함한 대다수 미국증권의 결제주기를 거래일 다음 날에 결제하는 ‘T+1일 결제’로 변경됐다.
예탁원
한국예탁결제원은 30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한국예탁결제원 서울사옥에서 '개인투자용 국채 업무시스템' 시작 기념행사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는 주관기관인 한국예탁결제원의 이순호 사장을 비롯해 개인투자용 국채 관계 기관인 기획재정부 김윤상 2차관, 한국은행 강남이 금융업무실장, 한국재정정보원 박용주 원장, 미래에셋증권 허선호 부회장 등 내·외빈 40여 명
한국예탁결제원 KSD나눔재단은 전날 주벨기에 유럽연합 대한민국대사관에서 ‘벨기에・룩셈부르크 한국인 입양인 대상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실시 후원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
KSD나눔재단은 교육 프로그램 실시기관인 벨기에 한인 입양인단체와 룩셈부르크 한국문화의 집에 각각 5000만 원씩, 총 1억 원을 후원할 예정이다. 현재 벨기에에는
한국예탁결제원은 이달 28일 예정된 미국 증권시장 결제주기 단축에 대비해 국내 25개 증권사와 함께 결제 이행 시스템을 준비 중이라고 16일 밝혔다.
현재 미국 주식 결제 주기는 거래일의 2영업일 후에 증권과 대금을 결제하는 ‘T+2일 결제’를 채택하고 있지만, 오는 28일부터 T+1일로 1거래일 앞당겨진다.
이는 지난해 2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