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과 경기도의 주택사업경기 전망이 '악화일로'를 걷고 있다. 대출 규제가 지속되는 가운데 계엄으로 인한 정치적 불확실성이 이어지면서 시장 상황이 괜찮은 것으로 평가되던 지역에 대해서도 부정적 시각이 확산하고 있는 것이다.
18일 주택산업연구원은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2월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가 전월보다 11.6포인트(p) 상승한 73.2를
전국에서 불 꺼진 새 아파트가 증가했다. 정치적 불안 등으로 주택 매수 심리가 크게 위축돼 기존 집을 팔리지 않은 게 주요인이다.
13일 주택산업연구원은 지난달 입주율이 63.5%로 전월보다 6.2%포인트(p) 하락했다고 밝혔다. 분양을 받고 입주하지 않은 아파트가 10가구 중 3곳 수준이었는데 4가구 정도로 늘어난 셈이다.
수도권은 79.9%에서
주택사업자들의 미분양 우려가 1년여 만에 최고조로 치솟았다. 정치적 불확실성과 금리 부담 등으로 매수세가 살아나지 않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11일 주택산업연구원은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2월 미분양물량 전망지수가 전월보다 10.7포인트(p) 상승한 113.5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1월(115.7)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주택사업자들의 사업 경기 전망이 크게 악화했다. 대출 규제 강화와 정치적 불확실성 등으로 주택 매수 심리가 심하게 위축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16일 주택산업연구원은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1월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가 전월보다 14.1포인트(p) 하락한 61.6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수도권은 65.9로 12.5p 낮아졌다. 서울(93→76.7
전국에서 불 꺼진 새 아파트가 확대될 전망이다. 대출 장벽이 높아진 데다 경기 침체 우려, 정치적 불확실성 등이 겹치면서 입주율이 떨어질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14일 주택산업연구원은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1월 전국 아파트 입주전망지수가 전월보다 20.2포인트(p) 하락한 68.4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2년 만에 최저치다.
수도권
올해 분양시장에 강한 한파가 몰아칠 모양새다. 대출 규제로 주택시장이 침체한 가운데 탄핵 정국으로 불안 심리가 커지면서 수요자들이 크게 위축되고 사업자들도 분양에 소극적일 수 있기 때문이다.
9일 주택산업연구원이 내놓은 1월 전국 아파트 분양전망지수는 10.6포인트(p) 하락한 71.4를 기록했다. 전월에 98.2에서 82로 16.2p 떨어진 데 이어
2025년 한국은 초고령화 시대에 접어들었지만 노인을 위한 주택은 턱없이 부족한 처지다. 노인전용 주택에 거주를 원하는 노인 인구는 약 30만 명에 달한다는 조사 결과도 있지만, 노인전용 주택공급은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지금까지 확보한 노인 전용 주택은 전체 노인가구 약 775만 가구의 1%에도 못 미치는 3만 가구 수준에 그친다. 여기서 주거 약자를
내년 주택시장이 적어도 1분기까지 약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전국적으로는 연간 1% 미만 하락하는 약보합세가 나타나고 서울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세는 전국적으로 오름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19일 주택산업연구원은 대한상공회의소에서 '2025년 주택시장 전망과 정책방향'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런 전망을 내놨다.
내년 전국 주택매매가격은 0.5%
주택사업자들의 사업경기 전망이 크게 악화했다. 대출 규제의 영향으로 수도권 집값이 하락세로 돌아선 데다 내수경기와 수출까지 침체할 수 있다는 우려가 더해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12일 주택산업연구원은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12월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가 전월보다 13.3포인트(p) 하락한 75.7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수도권은 78.4로 20
수도권 새 아파트 입주 전망이 크게 하락했다. 대출 규제 강화로 자금 조달이 어려워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8일 주택산업연구원은 12월 전국 아파트 입주전망지수가 88.6으로 전월보다 5.2포인트(p) 하락했다고 밝혔다.
수도권은 101.9에서 90.6으로 11.3p 떨어졌다. 서울(105.2→100)과 인천(103.4→86.2), 경기(97.0→85
아파트 분양시장을 바라보는 주택사업자들의 전망이 크게 악화됐다. 강한 대출 규제로 수요자들의 내 집 마련 부담이 커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5일 주택산업연구원은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12월 전국 아파트분양전망지수가 16.2포인트(p) 하락한 82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수도권은 108.8에서 83.4로 25.4p 떨어졌다. 서울(108
수도권 주택사업경기 전망이 크게 악화했다. 대출 규제 강화로 집을 사려는 사람이 줄고 매매가격 오름세도 주춤해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14일 주택산업연구원은 11월 전국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가 전월보다 7.4포인트(p) 상승한 89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 지수는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경기 상황 인식을 조사하는 것으로 100을 기준으로 낮을수록 부정적이
대출 규제가 강화되면서 이달 수도권의 새 아파트 입주 전망이 뒷걸음질 쳤다. 지난달 입주율도 떨어졌다.
12일 주택산업연구원은 11월 전국 아파트 입주전망지수가 93.8로 전월보다 10.7포인트(p) 상승했다고 밝혔다. 전국적으로는 올랐지만 수도권은 하락했다.
수도권 아파트 입주전망지수는 7.3p 낮아진 101.9를 기록했다. 서울(111.4→105
서울과 경기의 아파트분양전망지수가 크게 하락했다. 대출 규제 강화로 자금 조달이 어려워졌고 아파트 거래량이 줄어든 영향으로 풀이된다.
7일 주택산업연구원은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11월 전국 아파트분양전망지수가 전월보다 1.1포인트(p) 하락한 98.2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수도권은 121에서 108.8로 12.2p 떨어졌다. 인천(
지방의 주택사업자 경기전망이 악화했다. 시장 분위기가 침체한 가운데 대출 규제에 대한 우려가 커진 영향이다.
17일 주택산업연구원은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10월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가 전월보다 4.6포인트(p) 하락한 81.6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수도권은 107.4로 1.3p 올랐다. 경기(102.5→110.5)는 8p로 전국에서 가장
수도권과 지방의 새 아파트 입주 전망이 크게 엇갈렸다. 수도권은 가격 상승 기대감이 반영되면서 빈집이 없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지방은 미분양 적체 등의 영향으로 입주하지 않는 비중이 높을 것으로 보인다.
15일 주택산업연구원은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10월 전국 아파트입주전망지수가 83.1로 5.2p 하락했다고 밝혔다.
수도권은 109
수도권 아파트분양전망지수가 3년여 만에 최고치로 치솟았다. 신축 아파트 가격이 오르면서 분양에 대한 관심도 커질 수 있다는 기대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11일 주택산업연구원은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10월 전국 아파트분양전망지수가 6.1포인트(p) 상승한 99.3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수도권은 117.9에서 121로 3.1p 올랐
수도권 주택사업자의 경기 전망이 후퇴했다. 대출 규제 우려가 반영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12일 주택산업연구원은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9월 전국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가 86.2로 0.2p 상승했다고 밝혔다.
수도권은 2.2p 하락한 106.1을 기록했다. 서울(120.0→115.9)과 경기(105.1→102.5)는 하락했고 인천(100)은
서울의 새 아파트 입주율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이 어려워 지면서 자금조달에 난항을 겪는 경우가 늘어난 영향으로 해석된다.
10일 주택산업연구원은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8월 전국 입주율은 전월보다 3.5%포인트(p) 하락한 65.3%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수도권은 80.3%에서 79.2%로 1.1%p 낮아졌다. 서울이 3.5
수도권 청약시장에 대한 주택사업자들의 긍정적인 전망이 크게 확산했다. 서울과 경기도 주요 지역 단지에 대한 청약열기가 뜨거운 영향으로 풀이된다.
5일 주택산업연구원은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9월 아파트분양전망지수가 전국 평균 6.5포인트(p) 상승한 93.2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수도권은 104.3에서 117.9로 13.6p 높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