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바이오에피스(Samsung Bioepis)는 지난해 매출액 1조5377억원, 영업이익 4354억원을 기록해 전년 대비 각각 51%, 112% 증가하며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발표에 따르면 회사는 글로벌 시장에서 바이오시밀러 허가 및 판매 성과로 높은 성장을 이뤘으며, 올해도 세계 최대시장인 미국공략을 필두로 제품 판매를 확대해나갈 계획이
바이오시밀러 기업 에이프로젠이 자회사 AP헬스케어와 추진중인 휴미라 바이오시밀러(코드명 AP096)의 공동사업화 중 상업스케일에서 획기적 생산성으로 글로벌 임상시험에 사용될 임상원료약 생산에 성공했다고 7일 밝혔다.
에이프로젠의 생산기지인 에이프로젠바이오로직스는 세계 최초로 2000ℓ 배양기를 사용한 퍼퓨전(관류식 연속)배양으로 배양기 리터당 100g
노보노디스크의 ‘오젬픽’, 일라이릴리의 ‘마운자로’ 등 비만치료제가 전 세계에서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지만, 미국 MSD의 면역항암제 ‘키트루다’가 올해도 글로벌 매출 1위에 오를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23일 블룸버그 추정치에 따르면 올해 키트루다 글로벌 매출은 291억 달러(42조1833억 원) 규모로 예상된다. 지난해 키트루다는 250억 달러(36조
손발바닥 농포증이 희귀질환으로 지정되면서 고가의 치료제에 대한 환자들의 접근성이 대폭 개선된다.
17일 의료계에 따르면 최근 정부는 국가관리대상 희귀질환으로 66개 질환을 추가 지정했다. 골수질환과 암 발생 위험이 큰 선천성 이상각화증을 비롯해 이완불능증, 레이노-클라스 증후군, 소아성 폴립증 증후군 등과 함께 손발바닥농포증도 신규 지정 희귀질환에 포
외부로부터 우리 몸 지키는 ‘면역’, 바이러스‧암세포 사멸에 효과적면역항암제 키트루다, 면역세포 활용한 CAR-T 치료제 등 대표적그러나 과하면 면역체계 무너져 류마티스 관절염‧아토피 등 원인
우리 몸을 외부 세균이나 바이러스로부터 지키는 면역은 치료제의 핵심 기술로 사용된다. 면역세포를 활용하거나 면역을 촉진해 병을 치료한다. 면역을 잘 활용하면 치료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이 위탁개발생산(CDMO)·위탁연구개발생산(CRDMO) 사업의 구체적인 청사진을 제시했다. 국내에 20만 리터 규모의 생산시설을 짓고, 2028년부터 본격적인 매출을 일으킬 예정이다.
서 회장은 27일 오후(현지시간) 홍콩에서 기관투자자들을 대상으로 투자설명회를 열고 “우리 기술력을 서비스 사업에 쓰는 일이 시작됐다”라며 이같이
키트루다·옵디보 등 블록버스터 의약품 특허 만료 도래 경쟁사들은 특허 만료에 맞춰 바이오시밀러 출시 전망트럼프 정부도 복제약(바이오시밀러·제네릭)에 우호적
글로벌 블록버스터 의약품의 특허 만료 기간이 다가오면서 각 치료제 시장을 파고들기 위한 경쟁사들의 바이오시밀러 개발이 활발하다. 그동안 오리지널의약품이 시장을 독과점했지만, 특허 벽이 무너지며 무한
암젠이 개발한 프롤리아·엑스지바 바이오시밀러 2종유럽 의약품청(EMA) CHMP서 허가 긍정 의견 획득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최근 유럽 의약품청(EMA) 산하 약물사용 자문위원회(CHMP)로부터 암젠이 개발한 바이오의약품 프롤리아와 엑스지바의 바이오시밀러 ‘오보덴스’, ‘엑스브릭’에 대한 품목허가 긍정 의견을 받았다고 17일 밝혔다.
주성분 데노수맙의 프
셀트리온(Celltrion)은 24~27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가스에서 열린 2024 추계 피부과학회(FCDC 2024)에서 고농도 휴미라 바이오시밀러 '유플라이마(Yuflyma, adalimumab)'와 ‘휴미라(Humira)’ 간 교차처방(interchangeability) 글로벌 임상3상 결과를 공개했다고 28일 밝혔다.
셀트리온은 이번 임상3상
셀트리온은 ‘2024 추계 피부과학회(이하 FCDC)’에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유플라이마’(성분명 아달리무맙·개발명 CT-P17)와 ‘휴미라’ 간 상호교환성 글로벌 임상 3상 결과를 공개했다고 28일 밝혔다.
FCDC는 미국 피부질환 전문의들이 건선, 피부암 등의 지식 공유를 촉진하기 위해 설립한 국제학회로 올해 44회를 맞이했다. 이번 행사는 이달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이 미국 소화기학회에서 현지 의료진과 직접 만나 짐펜트라 등 치료제의 우수성을 알린다.
셀트리온은 25일부터 30일(현지시간)까지 미국 펜실베이니아에서 열리는 ‘2024 미국 소화기학회(American College of Gastroenterology, ACG)’에 참석해 짐펜트라의 글로벌 3상 임상 결과를 발표하고 제품 우수성을
셀트리온(Celltrion)은 25일부터 30일(현지시간)까지 미국 펜실베니아에서 열리는 미국 소화기학회(American College of Gastroenterology, ACG 2024)에 참석해 램시마 SC제형의 신약 '짐펜트라'의 글로벌 3상 임상결과 발표와 함께 제품 우수성을 알린다.
ACG는 90년 이상의 오랜 역사를 지닌 미국 소화기 관련 주
셀트리온은 ‘2024 유럽 피부과학회(EADV)’에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유플라이마(성분명: 아달리무맙, 개발명: CT-P17)'와 휴미라 간 상호교환성(interchangeability) 글로벌 임상 3상 결과를 공개했다고 26일 밝혔다.
EADV는 건선, 피부암 분야 등에서 영향력을 지닌 글로벌 전문가들이 모여 업계 최신 기술, 네트워킹, 첨단
셀트리온(Celltrion)은 26일 유럽 피부과학회(EADV)에서 고농도 휴미라 바이오시밀러 '유플라이마(Yuflyma, adalimumab)’과 휴미라(Humira) 간 교체처방(interchangeability) 글로벌 임상3상 결과를 처음으로 공개했다고 밝혔다.
EADV는 건선, 피부암 분야 등에서 영향력을 지닌 글로벌 전문가들이 모여 업계 최신기
유럽 약물사용 자문위, 오퓨비즈 품목허가 긍정 의견 제시두 번째 안과질환 파이프라인, 유럽서 포트폴리오 확대 예상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유럽 의약품청(EMA) 산하 약물사용 자문위원회(CHMP)로부터 안과질환 치료제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인 ‘오퓨비즈(성분명 애플리버셉트)’에 대한 품목허가 긍정 의견을 획득했다고 22일 밝혔다.
회사에 따르면 CHMP의 품목
셀트리온(Celltrion)은 23일 셀트리온 이탈리아법인이 이탈리아 주정부 21개 가운데 핵심지역인 라치오(Lazio)와 캄파냐(Campagna)에서 열린 아달리무맙 입찰에서 ‘유플라이마(Yuflyma, adalimumab)’의 낙찰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해당 지역은 이탈리아 아달리무맙 시장에서 20% 규모를 차지하고 있는 곳으로, 라치오는 올해 2분기
최근 미국에서 의약품 특허와 관련하여 두 가지 이슈가 있었다. 첫 번째는 지난 7월 미국 상원에서 제약사가 바이오시밀러 경쟁자를 막기 위해 소위 ‘특허 덤불(patent thicket)’을 조성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표로 한 법안이 통과된 것이다. 두 번째는 미 연방거래위원회(FTC)가 의약품 특허를 부적절하고 부정확하게 등재한 오리지널 제약사들에 대한
“투즈뉴가 10월 유럽연합집행위원회(EC)의 최종 허가를 받으면 2025년부터 본격적인 매출이 발생할 것입니다. 이를 기반으로 2030년 시가총액 30조 원을 달성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
박소연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회장은 19일 서울 영등포구 콘래드호텔에서 기업설명회를 갖고 이같이 밝혔다.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는 지난달 유럽의약품청(EMA) 산하 약
항체치료제와 세포‧유전자치료제(CGT)가 향후 바이오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매출의 90%를 점유할 것이라는 의견이 제시됐다. 성장률은 CGT가 33.1%로 가파르게 상승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에 관련 기업들은 이에 대응하기 위해 대대적인 투자에 나섰다.
한국바이오협회는 7일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CDMO 시장현황 및 전망’ 보고서를 통해 이러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