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는 29일 “박근혜 대통령과 청와대가 여당 원내대표에게 물러날 것을 종용하고 압박하는 것이야말로 국회의 자율적인 원구성에 간섭해 삼권분립의 원칙을 무너뜨리는 중대한 위헌적 처사”라고 말했다.
문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박 대통령의 최근 국회법 개정안 행사 이후 불거진 새누리당 유승민 원내대표의 거취 파동을 이같이 비판했다.
문 대표는 또 “박 대통령은 국회가 정부의 정책이 잘 되도록 견인차 역할을 해야 하는데도 법안들을 빨리 통과시켜주지 않는다고 비난했는데, 이는 의회의 기본역할이 행정부의 견제와 균형에 있다는 삼권분립의 원칙에도 어긋난다”고 박 대통령이 ‘삼권분립의 원칙 훼손’을 이유로 국회법 개정안 거부권을 행사한 데 대한 반박을 이어갔다.
문 대표는 그러면서 “박 대통령이 총선을 앞두고 특정인 심판을 국민에게 요구하고 나선 건 선거법 위반 소지도 있다”며 “박 대통령은 해야 할 일과 하지 말아야 할 일을 분명히 구분해달라”고 말했다.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 문제와 관련해선 “내일이 최저임금을 결정해야 할 법정시한으로, 최저임금은 사회적 약자를 위한 최소한의 방어선”이라며 “최소한 두자릿수가 인상돼야 마땅하다”고 강조했다.
문 대표는 “참여정부 때 연평균 10% 넘게 올랐던 최저임금이 이명박정부 때는 5%대로 줄었고, 현 정부에서도 7%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며 “최경환 경제부총리는 최임 초기엔 빠른 인상이 필요하다고 하더니 막상 인상폭을 결정할 시기가 되자 입 닫고 모른 척하고 있다. 정부의 적극적인 노력을 촉구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