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이 리스크 관리의 고삐를 바짝 당긴다.
금감원은 13일 금융회사 건전성 확보, 금융시장 안정에 역량을 집중하기 위해 리스크 관리 및 상장법인 회계감리 강화 등을 골자로 하는 조직개편과 부서장 인사를 단행했다고 밝혔다.
금감원은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조직과 인력을 보강했다.
우선 은행감독국 아래에 스트레스 테스트 등 리스크 감독·검사를 전담하는 은행리스크업무실을 1년 만에 부활시켰다. 금감원은 지난해 은행리스크업무실을 없앤 대신 일반은행국과 특수은행국에 건전성 감독 업무를 나눠 맡겼었다.
금감원은 2021년 새 국제보험회계기준(IFRS17) 및 2020년 보험자본기준(ICS) 시행에 대비하기 위해 보험리스크제도실도 신설했다.
관련 뉴스
더불어 위기상황에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하는 거시건전성연구팀(거시감독국)을 신설했다. 이로써 금감원 조직은 기존 44국 15실에서 44국 18실 체제로 확대된다.
금감원은 상장법인 분식회계에 대한 기획·테마감리 강화 및 감리주기 단축 등을 위해 회계감리 조직을 정비하고 20명의 인력을 확충했다.
이번에 신설된 회계기획감리실은 사회적 이슈가 될 수 있는 대기업 등의 회계 의혹을 전담 모니터링하고 감리한다.
금감원은 정보기술(IT) 및 신용정보 감독·검사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IT·금융정보보호단 아래에 신용정보실을 재편했다.
아울러 금융회사의 잠재 리스크에 대한 사전 모니터링 강화를 위해 권역별 건전성검사국 등에 상시감시 인력 추가 배치했다.
금융 민원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의 민원처리 전문직원도 기존 80명에서 120명으로 확충했다.
금감원은 조직개편과 함께 국·실장 인사를 시행했다.
금감원 측은 “지속적인 변화와 혁신을 추진하고 조직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적정한 세대교체와 함께 은행·증권·보험·기금·경력 등 각 출신권역에서 업무능력을 인정받은 인재들을 두루 발탁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