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청와대 춘추관에서 브리핑을 통해 “문재인 대통령은 이명박 전 대통령이 노무현 전 대통령의 죽음을 직접 거론하며 정치 보복 운운한 데 대해 분노의 마음을 금할 수 없다고 말했다”고 밝혔다.
또 문 대통령은 이명박 전 대통령이 마치 청와대가 정치 보복을 위해 검찰을 움직이는 것처럼 표현한 것에 대해 “이는 우리 정부에 대한 모욕이며, 대한민국의 대통령을 역임하신 분으로서 말해서는 안 될 사법질서에 대한 부정이고, 정치금도를 벗어나는 일이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문 대통령의 이 같은 발언에 대한 파급력과 관련해 청와대 관계자는 “정부가 모든 것을 다 인내할 수 없다”며 “(이명박 전 대통령의 입장 표명 중에) 해서는 안 될 말을 하는 것이 현재의 대한민국과 역사, 정의, 민주주의에 미칠 수 있는 파급력이 훨씬 강하다”고 설명했다. 또 이 관계자는 “문제를 빨리 정리하려면 때로는 입장을 정확하게 말을 하는 것이 오히려 혼란을 줄일 수 있는 길이라는 측면도 있다”고 덧붙였다.
적폐 청산 수사를 언제까지 할 것이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이 관계자는 “지난해 민주주의 근간을 세우는 일에 집중하면서도 경제 패러다임을 바꾸는 새로운 경제정책들의 씨앗을 뿌리는 일에 매진해 왔다”며 “올해도 국가 혁신에 대한 일은 계속 될 것이며 작년에 뿌렸던 정책의 씨앗이 열매를 맺고 성과를 내서 국민의 삶으로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내겠다는 것이 국정목표다”고 밝혀 민주주의 근간을 잡는 수사는 올해도 계속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