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둑 잡을 사람이 도둑과 한패”…올해의 사자성어 ‘묘서동처’

입력 2021-12-12 17:0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대학교수들이 2021년 사자성어로 '묘서동처'를 꼽았다. 이미지는 기사의 특정 내용과 관련 없음.  (게티이미지뱅크)
▲대학교수들이 2021년 사자성어로 '묘서동처'를 꼽았다. 이미지는 기사의 특정 내용과 관련 없음. (게티이미지뱅크)

대학교수들이 2021년 한국 사회를 정의하는 사자성어로 ‘묘서동처(猫鼠同處)’를 꼽았다. ‘고양이와 쥐가 함께 있다’는 뜻으로 ‘도둑을 잡아야 할 사람이 도둑과 한 패가 된 것’을 비유한 사자성어다.

12일 교수신문에 따르면 전국 대학교수 8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1760표 중 묘서동처가 514표(29.2%)를 받아 올해의 사자성어로 선정됐다.

묘서동처를 추천한 최재목 영남대 철학과 교수는 “각처에서나 여야 간에 입법, 사법, 행정의 잣대를 의심하며 불공정하다는 시비가 끊이질 않았다”며 “국정을 엄정하게 책임지거나 공정하게 법을 집행하고 시행하는 데 감시할 사람들이 이권을 노리는 사람들과 한통속이 돼 이권에 개입하거나 연루된 상황을 수시로 봤다”고 추천 배경을 설명했다.

묘서동처를 추천한 다른 교수들의 의견도 비슷했다. “권력자들이 한패가 돼 부정을 저지르고 있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단속하는 자와 단속받는 자가 야합하면 못 할 짓이 없다”는 의견도 나왔다.

묘서동처를 선택한 이유로 내년 대통령 선거를 걱정한 교수들도 눈에 띄었다. 이들은 “누가 덜 썩었는가 경쟁하듯 리더로 나서는 이들의 도덕성에 의구심이 가득하다”, “상대적으로 덜 나쁜 후보를 선택해 국운에 맡겨야 하는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인곤마핍(人困馬乏)’이 371표(21.1%)를 얻어 그 뒤를 이었다. 인곤마핍은 사람과 말이 모두 지쳐 피곤하다는 뜻이다. 세 번째 득표(17.0%)는 자기 이익을 위해 볼썽사납게 싸우는 것을 비유하는 ‘이전투구(泥田鬪狗)’, 네 번째(14.3%)는 판단력이 둔하여 융통성이 없고 세상일에 어둡고 어리석다는 뜻을 가진 ‘각주구검(刻舟求劍)’ 뽑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플레이브가 방송 못 나온다고?"…때아닌 버추얼 아이돌 논란, 왜? [이슈크래커]
  • '김새론 사망'에 악플러들 비판…"악플 문제, 제도장치 마련해야"[이슈크래커]
  • 금 뜨자 주목받는 은…"아직 저렴한 가격"
  • 단독 ‘백약이 무효’ 작년 상반기 보험사기액 6028억…올해 최대치 경신 전망
  • 상승 재료 소진한 비트코인…9만6000달러 선에서 횡보 [Bit코인]
  • [날씨] 다시 찾아온 '추위'…아침 최저 -8도
  • 트럼프 “러·우 둘다 싸움 멈추길 원해…푸틴과 매우 곧 만날 것”
  • 월세 내기 빠듯한 청년들 위한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제도, 신청 자격은? [경제한줌]
  • 오늘의 상승종목

  • 02.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019,000
    • -1.08%
    • 이더리움
    • 4,093,000
    • +0.71%
    • 비트코인 캐시
    • 495,900
    • -0.92%
    • 리플
    • 4,042
    • -2.46%
    • 솔라나
    • 278,200
    • -4.27%
    • 에이다
    • 1,200
    • +2.83%
    • 이오스
    • 957
    • -0.62%
    • 트론
    • 371
    • +3.06%
    • 스텔라루멘
    • 512
    • -1.54%
    • 비트코인에스브이
    • 60,300
    • +0.42%
    • 체인링크
    • 28,860
    • +1.3%
    • 샌드박스
    • 598
    • +0.1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