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부, AI 개발 동향점검 및 활용·확산 방안 회의

입력 2025-02-05 14:00 수정 2025-02-05 15:1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5일 서울 영등포구 서울보증기금 서울지점에서 열린 ‘글로벌 AI개발 동향점검 및 대응방안 회의’에서 인사말 (사진제공=중소벤처기업부)
▲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5일 서울 영등포구 서울보증기금 서울지점에서 열린 ‘글로벌 AI개발 동향점검 및 대응방안 회의’에서 인사말 (사진제공=중소벤처기업부)

최근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가 저비용·고성능 인공지능(AI) 모델을 구현해 기존의 대규모 자본 투입이 필요하다는 AI 모델 개발 시각을 파괴한 가운데 중소벤처기업부가 우리 스타트업·중소기업의 나아갈 방향과 정부의 정책을 논의했다.

중기부는 5일 오영주 장관과 국내 AI 스타트업과 전문가 2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최신 AI 개발 동향점검 및 활용·확산방안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회의에는 하정우 네이버클라우드 AI센터장이 발제를 맡았으며한 매스프레소 이용재 대표, 업스테이지 이활석 최고기술임원(CTO) 등이 참석해 다양한 의견들을 제시했다.

하정우 네이버클라우드 AI센터장은 “미국처럼 천문학적 투자가 아니라도 강력한 사고형 AI 개발 가능성을 딥시크가 보여줬다”며 “정부는 국가 AI 데이터센터의 조속한 완공, 인공지능과 다양한 분야의 융합(AI+X) 전략을 통한 산업별 전문지식과 AI 추론 역량의 결합을 통해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에 집중할 시기”라고 밝혔다.

특히, 2025년 이후는 인공지능 발전 단계상 GPU, 데이터센터 등 하드웨어 중심의 1단계를 지나 AI 스마트폰, AI 에이전트 등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는 2~3단계 진입이 예상돼 미래 AI 진화 분야에서 스타트업의 신제품·서비스 개발 전략도 중점적으로 논의됐다.

오영주 장관은 “AI 기술 도입과 활용은 중소기업의 경쟁우위 확보를 지원하고 혁신적인 성과를 창출하는 엔진 역할을 하고 있어, 향후 AI 활용 여부가 기업 경쟁력과 직결되는 상황”이라며 “정부도 AI 활용을 확산할 수 있는 정책을 고민함으로써 AI 기업과 시장을 더욱 확대하고 다시 기업들의 혁신으로 이어지는 AI 선순환 생태계 구축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삼성전자, 차세대 RGB 마이크로 LED TV 연내 출시한다
  • 취업만 되면 어디든 다니겠다는 취준생들…"원하는 연봉은 3400만 원" [데이터클립]
  • "밴댕이 소갈딱지"…속 좁은 그 생선을 아시나요? [레저로그인]
  • 불확실성 커지는 요즘…금테크로 안전자산 투자해볼까 [경제한줌]
  • “시계 부품회사에서 로봇까지”... 엡손 84년간 ‘성공 신화’ 살펴보니 [르포]
  • 넷플릭스 ‘중증외상센터’는 허구일까? [해시태그]
  • "1년 동안 기다렸는데"…'파피 플레이타임 4', 혹평 쏟아진 '진짜 이유' [이슈크래커]
  • 트럼프, 시진핑과 통화 무산...관세전쟁 장기화 조짐에 ‘트럼플레이션’ 위기감
  • 오늘의 상승종목

  • 02.0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2,815,000
    • -1.25%
    • 이더리움
    • 4,335,000
    • +1.31%
    • 비트코인 캐시
    • 519,000
    • -0.19%
    • 리플
    • 3,935
    • -1.87%
    • 솔라나
    • 319,800
    • -1.6%
    • 에이다
    • 1,177
    • +0.6%
    • 이오스
    • 968
    • +4.2%
    • 트론
    • 354
    • +1.72%
    • 스텔라루멘
    • 533
    • -1.11%
    • 비트코인에스브이
    • 64,250
    • +0.71%
    • 체인링크
    • 30,640
    • -3.13%
    • 샌드박스
    • 629
    • +0.9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