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실률법과 생존분석법에 따른 연평균 주택 수요 전망. (LH토지주택연구원)](https://img.etoday.co.kr/pto_db/2025/02/600/20250211104825_2135285_654_497.png)
11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 토지주택연구원(이하 LH연구원)에 따르면 2033년까지 연평균 41만∼46만여 가구의 신규 주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멸실률법(주택 재고량 대비 멸실비율 적용)으로 산출하면 2033년까지 필요 주택은 연평균 41만2700가구(약 3667만9000㎡)다.
주택의 경과 연수에 따른 멸실확률을 산출, 반영하는 생존분석법을 적용하면 필요한 신규 주택 수는 연평균 46만2300가구(약 4120만5000㎡)로 더 늘어나게 된다.
수도권 수요는 24만9000가구(멸실률법 기준)~27만1500가구(생존분석법 기준)로 추정된다. 전국에서 가장 큰 수요인 동시에 전체 신규 수요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정부는 지난해 ‘제3차 장기 주거종합계획’(2023∼2032년)을 통해 가구·소득·멸실 요인을 고려한 연평균 신규 수요를 39만3500가구(수도권 24만8400가구)로 제시한 바 있다. 예상 수요가 실제 공급예정 수요보다 최고 1만9000여 가구에서 최대 6만8000여 가구 많은 셈이다.
공급 주체별로는 공공이 13.8%, 민간이 86.2%를 담당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멸실률법 기준 연간 4만5100가구, 생존분석법 기준 연간 4만9300가구 공급을 담당할 전망이다.
이처럼 주택 수요 전망이 다른 것은 정부와 LH연구원의 모형 추정과 전제, 특히 멸실량 추정 방식에서 차이가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 연구원 측의 설명이다. 앞서 정부는 ‘제2차 장기 주거종합계획’(2013~2022년)을 발표하며 연평균 주택 수요가 39만1000가구일 것으로 예측했으나 실제 준공실적은 약 30만 가구에 머물렀다.
연구원은 면밀한 주택 수요 연구 필요성을 강조했다. 최대식 LH연구원 연구위원은 “저출산과 고령화의 진행, 1인 가구와 2인 가구의 증가, 소득 및 주거비용 변화 등이 장래 주택 수요의 큰 변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