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대차거래 단순 지연 과태료 ‘최대 100만→30만 원’ 완화

입력 2025-02-11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국토교통부는 주택 임대차거래 신고제와 관련한 과태료 부과 기준을 완화하는 ‘부동산 거래신고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개정안을 마련해 입법예고 한다고 11일 밝혔다.

임대차거래 신고제도는 정보 공개를 통해 임대차 시장의 투명성을 높이고 임대인과 임차인 간의 정보 비대칭을 극복함으로써 임차인의 권리를 보호하려는 취지로 2020년 8월에 도입돼 2021년 6월부터 시행 중인 제도다.

현행 시행령에는 임대차거래를 30일 이내에 신고하지 않으면 대해 계약금액과 지연 기간에 따라 최소 4만 원부터 최대 100만 원까지 과태료를 부과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다만, 거래 신고제의 과태료 부과 기준에 대한 국민의 인식을 고려할 때 최대 100만 원인 현행 과태료 기준은 임차인에게 과도한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또 단순 지연 신고한 경우에 부과되는 과태료 상한을 거짓 신고한 경우와 같이 100만 원으로 규정하고 있어 이에 대해 차별화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다.

정부는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번 시행령 개정을 통해 단순히 지연 신고한 경우에는 과태료 상한액을 최대 30만 원으로 낮추고, 거짓 신고한 경우에는 현행 과태료 부과 기준인 100만 원을 그대로 유지하는 제도개선을 추진한다.

아울러 국토부는 법령 개정과 함께 제도의 정착 및 임대차 신고율을 높이기 위해 노력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주민센터에 확정일자 부여만 신청하고 임대차거래를 신고하지 않으면 임대차 신고 대상임을 자동으로 안내하는 알림톡 발송 체계를 상반기 중에 구축한다.

공인중개사협회와 연계한 공인중개사 대상 교육, 상반기 중 온라인·오프라인 집중 홍보 등 다양한 홍보 채널을 통해 신고 의무자에게 임대차거래 신고를 독려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박정혁 국토부 주택임대차기획팀장은 “이번 시행령 개정을 통해 단순 실수로 지연하여 신고한 서민 임차인에게 과중한 부담을 지우는 것은 피할 수 있을 것”이라며 “금전적 제재 방식보다는 시스템적으로 임대차거래 지연 신고를 방지하고, 적극적인 홍보를 통해 신고율을 높이기 위해 계속 노력을 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4대궁·종묘 관람객 지난해 1300만 '역대 최대'…외국인 첫 300만 돌파
  • '최강야구' 클로징, 하와이 전지훈련 확정…이번 시즌 MVP는?
  • 트럼프, 철강·알루미늄 관세 25% 부과 발표…“반도체·자동차도 검토”
  • 국내주식, 어디다 투자해야 할지 모르겠다면…국민연금 포트폴리오 참고해볼까 [경제한줌]
  • "대전 초등생 피습 가해교사, 교육청 현장 지도 나간 당일 범행"
  • 단독 첨단학과 '수도권 쏠림’ 사실로...경쟁률 지방의 3배 이상 [첨단인재 가뭄]
  • 새해부터 몰아치는 솔라나·리플 ETF 러쉬…지난해 상승장 재현하나 [블록렌즈]
  • '2025 정월대보름' 부럼과 오곡밥을 먹는 이유 [그래픽 스토리]
  • 오늘의 상승종목

  • 02.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8,156,000
    • +0.09%
    • 이더리움
    • 4,093,000
    • +2.27%
    • 비트코인 캐시
    • 515,500
    • +2.18%
    • 리플
    • 3,784
    • +3.13%
    • 솔라나
    • 309,600
    • +0.26%
    • 에이다
    • 1,228
    • +15.74%
    • 이오스
    • 978
    • +1.24%
    • 트론
    • 372
    • +3.91%
    • 스텔라루멘
    • 507
    • +5.63%
    • 비트코인에스브이
    • 61,900
    • +3.25%
    • 체인링크
    • 29,700
    • +4.17%
    • 샌드박스
    • 623
    • +5.4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