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수자원공사(K-water)가 보츠와나의 220억 원 규모 통합물관리시스템 구축사업을 수주했다고 16일 밝혔다.
K-water는 이틀 전인 14일 보츠와나 수도 가로보네에서 보노 쿠모타카 보츠와나 수자원주택부 차관과 통합물관리시스템 구축사업 계약을 체결했다. 수도 인근 림포포강 유역의 수위·강수 등 원격 계측과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및 통합물관리 상황실을 구축하는 사업으로 2028년까지 3년간 진행된다.
보츠와나는 만성적인 가뭄을 겪고 있으며, 국경에 인접한 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은 3년간 지속된 가뭄으로 2018년 수돗물 공급을 전면 중단하는 '데이제로'를 선포하기로 했다. 이에 보츠와나 정부는 효율적인 수자원 관리를 국가 최우선 과제로 선정하고 해당 사업을 발주했다. 대규모 사업비용을 공적원조(ODA) 방식이 아닌 100% 국가 재정으로 부담하는 이례적인 방식이다.
K-water는 보츠와나와 2017년부터 국가 수자원관리 마스터플랜 수립, 통합물관리시스템 구축 타당성조사 사업에 참여하며 국가 물관리 계획 협력을 이어왔다. 2023년 12월 두바이 제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8)을 계기로 열린 윤석대 K-water 사장과 케펜체 므주반딜레 보츠와나 수자원주택부 장관 간 면담이 해당 사업 수주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사업은 2019년 K-water가 타당성조사 결과로 제안한 총 600억 원 규모의 통합물관리시스템 사업의 일환으로 보츠와나 수도권 지역에 우선 시행된다. 후속 사업 수주 가능성도 있다. 댐 상·하류를 가상공간에 복제해 댐 운영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물관리 디지털트윈'을 포함한 통합물관리는 K-water가 보유한 글로벌 초격차 기술이다.
오네체 라모가피 보츠와나 수자원주택부 장관은 "빠른 경제성장을 지속하기 위해 물안보가 절실한 상황에서 K-water의 초격차 물관리기술 도입이 물 위기 경감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윤석대 K-water 사장은 "기후변화로 물문제를 가장 극심하게 겪으며 물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는 아프리카 대륙에 최초로 초격차 물관리 기술을 수출한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우리 기업과 동반 진출의 기회로 삼아 기회의 땅으로 조명받고 있는 아프리카 경제협력에도 마중물이 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