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태균 시즌2 시작”...오세훈·홍준표 대선 ‘빨간불’ 켜지나

입력 2025-02-18 15:2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명태균 사건, 서울중앙지검으로 이송
홍준표 “샅샅이 조사해보라” 발끈
오세훈 “사기꾼 거짓말, 대가 치를 것”

▲오세훈 서울시장(왼쪽)과 홍준표 대구광역시장이 6일 강원도청에서 열린 '8회 중앙지방협력회의'에 참석해 회의 시작 전 대화하고 있다. 2024.11.6. (연합뉴스)
▲오세훈 서울시장(왼쪽)과 홍준표 대구광역시장이 6일 강원도청에서 열린 '8회 중앙지방협력회의'에 참석해 회의 시작 전 대화하고 있다. 2024.11.6. (연합뉴스)

검찰이 명태균 씨 사건을 창원지방검찰청에서 서울중앙지방검찰청으로 이송하면서 관련 수사가 윤석열 대통령 부부에서 여권 주요 정치인들로 확대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이에 오세훈 서울시장, 홍준표 대구시장 등 여권의 잠재적 대권주자들의 정치 행보에 영향을 미칠 것이란 관측도 함께 제기됐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18일 페이스북에 “중앙지검이건 특검이건 나는 상관없으니 샅샅이 조사해보라”며 “나는 명태균 같은 여론조작 정치 브로커 따위와는 어울린 일도 없고 관계도 없다”고 반박했다. 그는 특히 “수만 통의 황금폰에도 내 목소리, 카톡 한자도 없으니 민주당도 폭로할 게 없을 것”이라고 했다. 2021년 6월 국민의힘 전당대회 당시 이준석 국민의힘 당대표(현 개혁신당 의원)를 도와달라며 대구 수성을 사무실에 찾아와 마주쳤던 것이 전부라는 게 홍 시장의 주장이다.

오세훈 서울시장도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사기꾼의 거짓말은 반드시 대가를 치를 것”이라며 “명태균의 터무니없는 허위 주장이 기정사실인 양 보도되는 데 대해 강한 유감을 표한다”며 입장을 밝혔다. 그러면서 “저와 명 씨, 김 모 씨 3자가 함께 만났다는 주장은 말 그대로 새빨간 거짓말”이라고 했다.

오 시장은 “명태균과 그 일당은 13차례 미공표 여론조사 결과를 언제 누구에게 전달했는지 밝히라는 우리의 요구에 수개월째 답변조차 내놓지 못하고 있다”며 “그것이 전달되었다고 가정해도, 공표하면 처벌받는 미공표 여론조사가 일반 국민 여론조사로 승부가 결정되는 당내 경선과 단일화에 무슨 도움이 되겠나”라고 했다.

오 시장은 2021년 4월 서울시장 보궐선거를 앞두고 명 씨로부터 여론조사 13건을 받은 뒤 자신의 후원자로 알려진 김 씨에게 비용을 대납하게 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검찰은 김 씨가 명 씨 측에 5차례에 걸쳐 3300만 원을 보낸 계좌 내역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전날(17일)에는 오 시장과 김 씨, 명 씨가 3자 회동을 했다는 보도까지 나왔다. 홍 시장도 2022년 6월 대구시장 선거를 앞두고 명 씨 측이 시행한 여론조사 비용을 측근인 박 씨에게 대납하게 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김건희 여사 공천 개입 의혹 핵심 당사자인 명태균 씨가 9일 오전 2차 검찰 조사를 받기 위해 경남 창원시 성산구 창원지방검찰청으로 출석하고 있다. 2024.11.09.  (뉴시스)
▲김건희 여사 공천 개입 의혹 핵심 당사자인 명태균 씨가 9일 오전 2차 검찰 조사를 받기 위해 경남 창원시 성산구 창원지방검찰청으로 출석하고 있다. 2024.11.09. (뉴시스)

관련해 해당 의혹들을 수사해오던 창원지검 전담수사팀은 이날부터 서울중앙지검 공공수사2부에 소속돼 수사를 진행하게 됐다. 나아가 더불어민주당은 등 야당은 ‘명태균 특검법’을 통과시켜 수사에 박차를 가하겠다는 입장이다.

여권에선 이들의 정치 행보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정성국 의원은 BBS 라디오에서 “야당이 명태균 특검을 통해 ‘국민의힘의 많은 의원이나 (차기 대선) 후보들이 부정한 일을 한 사람들 아니냐’, ‘이재명만 사법 리스크가 있는 게 아니다’라는 식으로 계속 선전전을 할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다만 재선의 한 국민의힘 의원은 “이미 명 씨 사건은 수사가 어느 정도 진척됐다”며 변수가 되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일각에선 현재까지 드러난 의혹 외에 추가 리스크가 나올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놨다. 금태섭 전 의원은 18일 CBS 라디오에 나와 “(명 씨는) 더 큰 파괴력을 가지고 여권을 궤멸시킬 수 있다는 얘기를 하는 것”이라며 일종의 ‘경고’라고 분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안전자산에 '뭉칫돈'…요구불예금 회전율 5년 만에 최고
  • ‘항암백신’ 연구개발 성과 내는 국내 바이오 업계
  • 김동선의 한화, 8700억 자금조달 난관...아워홈 인수 차질 없나
  • 기약 없는 ‘반도체 특별법’…“골든타임 놓치면 미래 없다” [반도체 ‘린치핀’ 韓의 위기]
  • ‘나솔사계’ 22기 옥순·경수, 2세 언급에 얼어붙은 분위기…17기 현숙·상철 근황은?
  • ○○법사ㆍ○○아씨 넘쳐나는데…요즘 '무당집', 왜 예약이 힘들까? [이슈크래커]
  • 새 학기 전 내 아이 안경 맞춰줄까…‘서울 어린이 눈건강 지킴이 사업’ 신청방법은 [경제한줌]
  • "TV만 틀면 나온다"… '다작의 아이콘' 전현무가 사는 '아이파크 삼성'은 [왁자집껄]
  • 오늘의 상승종목

  • 02.21 09:06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796,000
    • +1.13%
    • 이더리움
    • 4,065,000
    • +0.27%
    • 비트코인 캐시
    • 483,800
    • +0.56%
    • 리플
    • 3,974
    • -2.98%
    • 솔라나
    • 261,100
    • +3.61%
    • 에이다
    • 1,190
    • +2.59%
    • 이오스
    • 953
    • +1.06%
    • 트론
    • 366
    • +1.1%
    • 스텔라루멘
    • 508
    • -0.59%
    • 비트코인에스브이
    • 57,250
    • +0.97%
    • 체인링크
    • 27,070
    • +0.82%
    • 샌드박스
    • 553
    • +1.28%
* 24시간 변동률 기준